동의학 이야기/古醫書 해제

잡병찬요 (雜病纂要)

지운이 2020. 5. 5. 13:16

잡병찬요 (雜病纂要)

雜病纂要 / [編者未詳] 筆寫本
扶餘 :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 1冊(87張) : 行字數不定; 22.0 x 21.5 cm
卷末 : 忠南扶餘郡內山面溫蟹里 表題 : 醫書


이 책은 충남 부여군 내산면 온해리(忠南 扶 餘郡 內山面 溫蟹里)에 거주한 김씨(金氏)라는 사람이 명대(明代)에 남풍(南豊) 이천(李梴)이 편찬한 <의학입문(醫學入門>권4 「단계선생잡병 찬요(丹溪先生雜病纂要)」의 ‘잡병제강(雜病提綱)’ 에 대한 내용인 풍(風), 한(寒), 서(暑), 습(濕), 조(燥), 화(火) 등에 대해 필사한 의서이다. 

 

내용의 구성은 병의 증상을 크게 외감(外感)과 내상(內傷)으로 구분하여 외감(外感)에서는 다시 풍(風), 한(寒), 서(暑), 습(濕), 조(燥), 화(火)로, 내상(內傷)에서는 비위(脾胃), 기(氣), 혈(血), 담(痰), 울(鬱), 적열(積熱), 제증(諸症), 고냉(痼冷)으로 분류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풍(風)에서는 모풍(冒風), 두현(頭眩), 두통(頭痛), 두풍(頭風), 안병(眼病), 이부(耳部), 비부(鼻部), 구병(口病), 설병(舌病), 순병 (脣病), 아치(牙齒), 통풍(痛風), 비풍(痺風), 마목(麻木), 반동(班疼), 적백유풍(赤白遊風) 등 16항목, 한(寒)에서는 해수(咳嗽), 곽란(藿亂), 심통(心痛), 복통(腹痛) 등 4항목으로 나누고 부록으로 복중착협(腹中窄狹)을 두었다. 그리고 서(暑)에서는 학질(瘧疾)과 이질(痢疾)로 구분하였으며, 습(濕)에서는 비통(痞痛), 설사(泄瀉), 탄산(呑酸), 황달(黃疸), 수종(水腫), 고창(鼓脹), 적백리(赤白痢), 요통(腰痛), 산통(疝 痛), 각기(脚氣), 근통(跟痛) 등 11항목, 조(燥)는 소갈(消渴)과 조결(燥結)로, 화(火)는 협통(脇痛), 몽유☆♧(夢遺), 오림(五淋), 소변불통(小便不通), 소변불금(小便不禁), 탈항(脫肛) 등 6항목으로 구분하여 병증과 병의 원인 및 그 처방을 상세히 밝히고 있다. 그 밖에 진맥으로 질병을 진찰하는 진맥경중(診脈輕重)과 음성을 듣고 병을 분별하는 청음변병(廳音辨病)의 항목을 두었다.


내상(內傷)에서는 비위(脾胃), 기(氣), 혈(血), 담(痰), 울(鬱), 적열(積熱), 제증(諸症), 고냉(痼冷) 8항목으로 대구분한 뒤에 조리비위(調理脾胃)에서는 상식(傷食), 적취(積聚), 비괴(痞塊), 고장(蠱瘴)으로, 기 (氣)는 기체(氣滯)와 기자통(氣刺痛), 혈(血)은 토혈(吐血), 구혈(嘔血), 뉵혈(衄血), 수타각(嗽唾咯), 익혈(溺血), 변혈(便血)로, 담(痰)은 천(喘), 효(哮), 오심(惡心), 조잡(嘈雜), 애기(噯氣), 구토(嘔吐), 포역 (飽逆), 격일(膈噎), 관격(關格), 질(疾), 간(癎), 전광(癲狂), 경계(驚悸), 정충(怔忡), 건망(健忘), 인후(咽喉), 실음(失音), 골경(骨鯁) 등 18항목, 울(鬱)과 적열(積熱)은 단일 항목, 제증(諸症)에서는 발열(發熱), 오한(惡寒), 자한(自汗), 도한(盜汗), 위(痿), 궐(厥), 노채(勞瘵), 제충(諸虫), 구사(救嗣), 양노(養老) 등 10항목, 마지막으로 고랭(痼冷) 항목을 두어 각각의 증상과 처방을 소개하였다.


형태적인 면에 있어서는 표지서명으로 ‘의서(醫書)’라고 기재되어 있으며, 목차는 없고 내용의 문두에 ‘잡병찬요(雜病纂要)’라 하였다. 권말에는 필사자의 주소인 충남 부여군 내산면 온해리(忠南 扶餘郡 內山面 溫蟹里)라 기재되어 있으며, 그 우측으로 책주(冊主) 김씨(金氏), 속주(續主) 박씨(朴氏)라고 기재되어 있다.


본 해제본은 기존의 <의학입문>‘잡병제강’의 내용을 필사한 자료로써 당시 시골에서 책을 구입하지 못한 자들을 위해 분과별로 필사하여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김중권)

'동의학 이야기 > 古醫書 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생보결 (濟生寶訣)  (0) 2020.05.05
상한부 (傷寒賦)  (0) 2020.05.05
장부총론 (臟腑總論)  (0) 2020.05.05
의학입문 (醫學入門)  (0) 2020.05.05
편주의학입문집 (編註醫學入門集)  (0) 2020.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