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성신방 (鳳城新方)
鳳城新方 / [著者未詳] 筆寫本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 1冊(38張) : 行字數不定; 24.3 x 21.0 cm
두창에 관련된 여러 가지 원인 및 증상과 진단, 처방법 등을 필사한 의서이다. 우리나라에서 두창에 관한 의서로는 조선조 임원준(任元濬)의 �창진집(瘡 疹集)�(세조조)을 비롯하여, 김안국(金安國)의 �언 해창진방(諺解瘡疹方)�(중종조), 허준(許浚)의 �언 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선조조), 박진희(朴震禧) 의 �두창경험방(痘瘡經驗方)�(효종조, 현종년간), 이번(李蕃)의 �용산요두편(龍山療痘編)�(현종조) 등이 있다.
본 필사본은 주로 허준의 �언해두창집요�와 박진희의 �두창경험방�등을 토대로 하여 작성한 것이나 저자가 누구인지 확실치 않다. 다만 한국한의학연구원에 소장된 필사본에는 저자의 서문 말미에 ‘봉성윤(鳳城尹)’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저자의 성 (姓)이 윤씨(尹氏)인 것으로 판단된다.(본 필사본에는 서문만 있고 서문 작성자에 관련한 근거가 전무하다.) 서명에서 봉성(鳳城)이란 이름은 지명인지 저자의 자(字)나 호(號)를 뜻하는지는 확실치 않다. 만약 지명 이라면 경남 삼가(三嘉)인지, 경북 봉화(奉化)인지 아니면 전남 구례현의 고지명인지도 밝혀져야 할 문제 이다.
저자는 서문에서 자신은 의술에 어두워 고방서(古方書)에만 의존하여 시술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처음에는 효과를 보지 못하다가 여러 번의 경험을 쌓으면서 스스로 두창(痘瘡)을 터득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저자는 서문에서 두창의 증상과 처방 및 용량을 밝히고 있다.
내용 구성에서 필사자가 서명을 봉성신방으로 하고 봉성신방 서문 앞에 장부보사온량약성미(臟腑補瀉溫 涼藥性味), 홍진치방(紅疹治方: 發熱三朝, 出痘三朝, 氣脹三朝, 貫膿三朝, 收靨三日), 두창경험방발(痘瘡經 驗方跋), 두창찰증목록(痘瘡察症目錄) 등을 필사한 것을 보면 봉성신방의 본론 앞에 타 두창관련 의서를 참고하여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그 뒤를 이어서 봉성신방의 서문[鳳城新方序], 발열삼조(發熱三朝), 출두삼조(出痘三朝), 기창삼조(起脹三朝), 관농삼조(貫膿三朝), 수엽삼조(收靨三朝), 통치법(通治法), 두후제증 (痘後諸症: 辨痘形色, 辨痘虛實, 辨痘陰陽症, 辨聲音, 咽喉症, 腰痛, 腹痛, 驚搐, 泄瀉, 喘痰 附 咳逆, 煩渴, 痒痛, 腹脹, 自汗, 癍爛, 寒戰, 咬牙症, 尿澁, 倒靨, 黑陷, 護眼), 두후잡증(痘後雜症), 두후예막(痘後翳膜), 두후옹절(痘後癰癤), 두후이증(痘後痢症)을 소개하고, 부록으로 잉부두창(孕婦痘瘡)을 붙였다. 다음 병증 으로는 변두증(辨痘症), 두창치법(痘瘡治法), 두창일한(痘瘡日限), 발열길흉증(發熱吉凶症), 출두길흉증(出 痘吉凶症), 기창길흉증(起脹吉凶症), 관농길흉증(貫膿吉凶症), 수엽길흉증(收靨吉凶症), 해독(解毒), 보호식물(保護食物), 금기(禁忌), 해독면두법(解毒免痘 法), 양법(禳法), 조등영법(照燈影法), 실혈(失血), 욕법(浴法) 등을 기재하고, 약제록(藥劑錄)에서는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 신해탕(神解湯), 가미해 독산(加味解毒散), 투기탕(透肌湯), 화독탕(化毒湯), 보원탕(補元湯), 사령산(四苓散), 연교승마탕 (連翹升麻湯) 등 83개 처방을 소개하였다. 그 밖 에 약성주치 및 수제법(藥性主治及修製法), 기류범 사십오품(氣類凡 四十五品)과 두진심법경험제방 (痘疹心法經驗諸方) 32개 처방을 두었다. 이처럼 저자는 주로 내용편성을 �언해두창집요�의 체계를 따르면서 그 중 중요한 병증과 처방을 제시하고, 말미에 기존의 여러 처방과 경험방들을 일련번호 를 부착하여 소개하였다.
상기의 내용을 한국한의학연구원 소장의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소장본(78면) : 臟腑補瀉溫涼藥性味, 紅疹治方(發熱三朝, 出痘三朝, 氣(起)脹三朝, 貫膿三 朝, 收靨三日), 痘瘡經驗方跋, 痘瘡察症目錄, 鳳城新方序, 發熱三朝, 出痘三朝, 起脹三朝, 貫膿三朝, 收靨三 朝, 通治法, 痘後諸症(辨痘形色, 辨痘虛實, 辨痘陰陽症, 辨聲音, 咽喉症, 腰痛, 腹痛, 驚搐, 泄瀉, 喘痰 附 咳 逆, 煩渴, 痒痛, 腹脹, 自汗, 癍爛, 寒戰, 咬牙症, 尿澁, 倒靨, 黑陷, 護眼), 痘後雜症, 痘後翳膜, 痘後癰癤, 痘後痢症, 附孕婦痘瘡, 辨痘症, 痘瘡治法, 痘瘡日限, 發熱吉凶症, 出痘吉凶症, 起脹吉凶症, 貫膿吉凶症, 收靨 吉凶症, 解毒, 保護食物, 禁忌, 解毒免痘法, 禳法, 照燈影法, 失血, 浴法, 藥劑錄, 藥性主治及修製法, 氣類凡 四十五品, 痘疹心法經驗諸方
한국한의학연구원 소장본 (56면) : 祝痘詩, 經驗方序, 初熱三朝, 出痘三朝, 起脹三朝, 貫膿三朝, 收靨三朝, 通治, 痘後雜症, 辨痘形色, 辨痘虛實, 辨痘陰陽症, 痘後癰癤, 痘後翳膜, 聲音, 咽喉, 腰腹痛, 驚搐, 泄瀉, 喘痰, 煩渴, 痒痛, 腹脹, 自汗, 癍爛, 寒戰, 咬牙, 失血, 尿澁, 大便秘, 倒靨, 黑陷, 痘後雜症, 痘後痢症, 辨痘症, 痘瘡 治法, 痘瘡日限, 發熱吉凶症, 出痘吉凶症, 起脹吉凶症, 貫膿吉凶症, 收靨吉凶症, 解毒, 飮食, 附 古方, 小兒痘殺
두 필사본이 내용상 병증은 거의 비슷하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은 한국한의학연구원의 소장본에 비해 필사자가 내용을 더 첨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서문의 내용도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의학연구원 소장본의 서문에서는 약재 5,6첩(貼)으로 국립중앙도서관은 2,3첩(貼)으로 기재되어 있다.
형태적으로도 보면 한의학연구원 소장본은 1책 56면이고, 계선 없이 12행이며, 본 해제본은 1책 72면 (36장)으로 계선 없이 14행이다.
따라서 본 해제본은 후대로 내려오면서 봉성신방(鳳城新方) 원본에 필사자의 견해나 타 두창 관련 의서 의 내용을 첨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김중권)
'동의학 이야기 > 古醫書 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종통편 (時種通編) (0) | 2020.05.05 |
---|---|
수생신감 (壽生新鑑) (0) | 2020.05.05 |
매정보감 (梅亭寶鑑) (0) | 2020.05.05 |
마방통휘 (麻方統彙) (0) | 2020.05.05 |
마과회통 (麻科會通) (0) | 2020.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