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古醫書 해제

동화보감(東和寶鑑)

지운이 2020. 5. 9. 21:52

동화보감(東和寶鑑)


東和寶鑑 筆寫本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 1冊(56張); 21.3 x 19.8 cm


본 의서는 침구에 관한 의서로 총 56장의 필사본이다. 간기, 서문, 발문 등이 없어 필사시기를 알 수 없으며, 다만 표지에 양명환(梁明煥)이란 인명이 기재되어 있어 이 사람이 필사자로 판단될 뿐이다.


내용의 구성은 인(寅) 폐(肺)에서는 수태음폐(手太陰肺) 11혈과 묘(卯) 수양명혈(手陽明穴), 위(胃) 진(辰) 41혈, 비(脾) 사(巳) 21혈, 심(心) 오(午) 9혈, 소장(小腸) 미(未)에서는 수태양혈(手太陽穴) 13혈, 신(申) 장(腸)에서는 족태양혈(足太陽穴) 67혈, 유(酉) 신(腎) 에서는 족소음혈(足少陰穴) 270혈, 술(戌) 심포(心胞) 9혈, 해(亥) 삼초(三焦) 23혈, 자(子) 담(膽) 43혈, 축(丑) 간(肝) 14혈 등 오장육부에 대한 각각의 혈의 위치를 설명하였는데, 각 장부(臟腑)마다 12지(支)로 그 순서를 정하였다. 부록으로 잡병(雜病)에 대한 혈법(穴法)의 설명에 이어 침구자오유주법(鍼灸子午流注法), 관합언(關闔言), 서씨유가(徐氏有歌)와 시침(施鍼)시 금해야할 혈, 부인맥법(婦人脈法), 오장병증허실론(五臟病症虛實論), 진맥법(診脈法), 성음론(聲音 論), 유주총론(流注總論), 병맥역순론(病脈逆順論), 혈기론(血氣論) 등이 있다.


이 책은 필사자가 여러 가지 침구서(鍼灸書)를 참고하여 간략하게 정리한 내용이지만 침구에 대한 연구 자료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 (김중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