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사집 (經歷思集)
經歷思集 / 高濟完(朝鮮) 著 筆寫本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 1冊(61張)
年紀 : 光武十一年丁未(1907)五月十七日始隆熙元年同年6月畢
의관(醫官) 고제완(高濟完)이 임진년(壬辰年) 경성에 머물면서 고종황제와 황후 및 태자의 질병을 치료하게 된 배경과 과정, 자신의 경력을 기록한 국한문혼용체로 된 자서전 형식의 기록이다.
형태적인 면을 보면, 장정은 오침안(五針眼)으로 표지에는 光武十一年丁未五月十七日始 / 隆熙元年同年 六月畢抄 / ...高濟完이라 하여 3행으로 필사되어 있으며, 왼쪽 상단에 경력사집(經歷思集)이라고 묵서되어 있다. 목차와 서문 등은 없으며, 표지 다음 장에는 임진년분류경시실적(壬辰年分留京時實績)이란 소제(小題) 하에 의관 신 고제완(醫官 臣 高濟完)이란 함자가 기록되어 있으며, 본 소제의 말미에 ‘光武十一年丁未陰曆五月十七日經歷思集始 / 隆熙元年同年 六月 畢抄 / 忠淸南道 石城郡 縣內面 陽村里 前主事 臣高濟完 稿’라 하여 본인이 글을 쓴 시기와 완성한 시기 및 거주지를 상세히 밝히고 있다.
본 내용은 임진년분류경시실적(壬辰年分留京時實績, 1892), 갑오년 사적(甲午年 事績, 1894), 경력사집(經歷思集) 등으로 구성되었다.
임진년분류경시실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묘년(辛卯年, 1891)에 공주에서 초시에 급제하고 회시(會試)를 보려고 상경하였는데, 의학에 조예가 깊다는 소문이 나자 모 대갓집에서 병의 치료로 초청하여 수세보원의 심정으로 치료하여 효과가 있었다. 이웃집에서도 초청하여 치료한 바 효과를 본 것이 허다하였다. 회시(會試) 후에 귀향하려고 했지만, 모두들 만류하여 남북촌에 출입하면서 귀향을 잊고 있었다. 홍대장 (洪大將) 집에 머무르고 있을 때인데 임진년(壬辰年,1892) 음력 윤유월 초파일에 궁궐 안에서 부른다는 어명을 홍대장이 전해주었다는 등의 내용으로 시작되었으며, 궁궐 입시 준비, 입시하면서의 궐내의 상황, 진맥당시의 황태후와 황태자의 모습, 이 두 분을 보좌한 주위상황, 태후마마의 진맥상황, 진맥 후에 병의 증상을 상세히 기록하여 홍대장을 통해 알리라는 내용, 진료기록을 보고 탕제(湯劑)를 내리라는 내용을 받고 고제완(高濟完)이 처방한 내용, 즉, 그 당시 절기에 따라 오운육기(五運六氣), 음양승강성쇠(陰陽乘 降盛衰), 오행상생상극(五行相生相剋)으로 인한 허실(虛實)의 원인을 참고하여 ‘조중순기탕(調中順氣湯)’ 을 처방하여 보고한 내용, 그러나 어의(御醫)들이 진찰은 잘 했으나 처방이 합당하지 않다고 반대하여 직접 어의들을 만나 해명한 뒤 그 처방을 올렸다는 내용, 그 후 음식을 하사받고, 얼마 후 다시 궐로 들어가 약 1첩을 올리고 궐내를 구경한 내용, 또 한약 한 첩을 올린 후 황후가 식사도 잘 하고 변도 순조롭게 잘 봤다면서 본인을 신의(神醫)로 칭찬했다는 내용, 홍대장 집에 너무 오래 머물고 있어서 만류에도 불구하고 고향으로 내려간다는 내용과 홍대장 집에 머무르면서 쓴 시, 홍대장의 시, 박주사(朴主事)의 시, 홍대장 사위인 유주사(柳主事)의 시, 홍대장이 써준 감사의 글 등이 기록되어 있으며, 갑오년 동주지난(甲午年 東走之亂)에는 홍대장의 부름으로 군의관(軍醫官)으로 활동했던 사적이 기록되어 있다.
마지막에는 경력사집(經歷思集)이라 편명을 정하여 본인이 의원으로 활동했던 중년의 실적과 임진년에 궁궐에서 진료했던 일을 회상하며 기록한 내용들이 소개되어 있다. 내용 안에는 임천군 서변면 발산리(林 川郡 西邊面 鉢山里)에 거주하는 신태연(申泰淵)이 쓴 글이 포함되어 있으며, 신축년 음력 8월에 심의정 대감(沈議政大監)에게 보낸 문건에는 소재지인 심군수(沈郡守)와의 금전관계, 심군수의 행실 등을 심군수의 부친인 심대감에게 탄원형식으로 보고하는 내용도 있다.
본 해제본은 시골의 의관이 회시를 보기 위해 서울에 잠시 머물면서 지인의 도움으로 궁궐에 들어가 황제와 황후, 황태자를 진료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개인의 사적을 기록한 것으로 이 기록을 통해 당시 궁궐이 일반인에게 비춰졌던 광경이나 저자가 살고 있는 고향의 실정을 참고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김중권)
'동의학 이야기 > 古醫書 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각침의참보마경대전 (新刻針醫參補馬經大全) (0) | 2020.05.10 |
---|---|
마경초집언해 (馬經抄集諺解) (0) | 2020.05.10 |
증수무원록대전 (增修無寃錄大全) (0) | 2020.05.10 |
맥결이현비요 (脉訣理玄秘要) (0) | 2020.05.10 |
찬도방논맥결집성 (纂圖方論脈訣集成) (0) | 2020.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