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동의학 에세이

책 소개 : 코로나19와 동의학 그리고 침뜸요법

지운이 2021. 5. 16. 08:34

코로나19를 동의학 약물과 침뜸요법으로 치료한다! 과연 가능할까?

여기 그 현장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지난해 중국에서 숨가쁘게 전개되었던 동의학에 기반한 코로나19 치료 임상과 그 효과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정리한 책이 나왔습니다. 동의학 치료에는 중의학 약물과 침뜸요법이 함께 하였습니다. 침구인들의 임상 활용에 많은 도움 되길 바랍니다.

 

《코로나19와 동의학 그리고 침뜸요법》, 지난 6/14일, SBS뉴스 '문화현장'에서도 소개된 바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면 뉴스의 소개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6/14일, SBS뉴스 '문화현장'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책 소개

2019년말 중국에서 코로나19가 발병한 후 2020 1~3월 사이에 감염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던 일에 대해서는 누구나 기억이 선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때를 지난 다음 중국의 확진자 수가 현저히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래서 중국하면 ‘코로나바이러스의 오염국’이라든가 ‘코로나19의 발병국’이라고만 생각하기 쉽다. 

 

이 위기적 상황에서 중국 당국과 의료계는 이 전염병의 예방과 치료에 ‘전투적’으로 나섰고, 그 결과 2개월 여 만에 신규 확진자 수가 급감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한다. 흥미롭게도 이후 중국에서는 코로나19의 확산이 저지되고 안정적으로 관리되어 온 반면, 코로나바이러스는 전 세계 곳곳으로 확산되어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재앙을 낳으며 오늘에 이르렀다.

 

중국에서는 이 짧은 기간 동안 무슨 일이 일어났던 것일까? 중국의 코로나19, 그 진실은 과연 무엇일까? 또한 중국에서는 과연 어떻게 이렇게 안정된 관리가 가능했을까? 여러 가지 궁금증이 생긴다. 

 

그런데 이 궁금증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우리들의 눈을 사로잡는 특이한 점을 볼 수 있는데, 코로나19에 대응한 항역의 과정에서 동의학 요법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한다. 놀랍게도 코로나19의 예방 및 치료에서 동의학 약물과 침뜸요법 등의 동의학 요법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이다. 중국에서 이루어진 이른바 ‘동의학 요법에 의한 예방 및 치료’란 어떠한 것이고, 그와 더불어 이루어진 침뜸요법은 어떻게 적용되었을까? 그리고 과연 이들 요법이 실제 코로나19 치료와 방어에 유효한 것이었을까? 이제 그 궁금증을 하나하나 풀어가 보려 한다.

 

그들의 주장에 의거하자면, 2020 1~3월 코로나19 감염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위기적 상황에서, 동의학요법이 코로나19의 예방과 치료에 폭 넓게 활용되며 상당한 성과를 올렸다고 한다. 중국에서 흘러나오는 정보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지만, 코로나19에 대항한 중국인들, 특히 의료진들의 노력은 눈물겨운 전투였고, 그 결과도 매우 성과적이었다.

 

이 책은 중국에서 코로나19 항역 과정에서 확인된 동의학의 역할과 성과에 대해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당장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도 또한 미래에 반복될지도 모를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충실히 검토할 만한 가치를 가진다. 

 

다행히 ‘백신’이 개발되고 전 세계인이 백신을 접종할 수 있게 되어, 긴 어둠의 터널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큰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우리에게 남긴 가장 비극적인 것은 당장의 고통을 넘어 다가올 미래에 유사한 감염병이 얼마든지 반복해서 출현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불안감일 것이다. 

 

어떠한 바이러스에도 효과적인 ‘전천후’의 백신이 개발된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우리는 감염병의 위협에 반복해서 노출될지도 모를 일이다. 동의학 요법을 활용한 대응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필자는 특히나 「간단」 「편리」 「안전」 「유효」 「저렴」 등을 특징으로 하는 침뜸요법이 감염병의 예방과 치료에서 많은 임상 성과를 거두었다는 보고에 주목한다. 독자 제위의 진지한 분석 검토와 많은 토론을 기대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머 리 말

코로나19라는 감염병이 이토록 지루하게 또 지독하게 인류의 삶을 위협하리라고는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전 인류가 코로나19의 위험에서 벗어나고자 전력을 다하며 지난 1년여의 세월을 살아 왔다. 수많은 사람이 감염되고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죽어 나갔다. 코로나19의 종식 가능성은 아직 그 누구도 장담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다만 다행스럽게도 백신이 만들어져 지구촌 각지에서 접종이 시작되었다. 백신에 대한 불안감도 있지만, 다수의 지구인이 접종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백신이 이 긴 어둠의 터널에 한줄기 빛이 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여명이 밝아올 날이 언제가 될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필자는 우연한 기회로 ‘침뜸’과 인연을 맺게 되어 침뜸요법을 중심으로 동의학을 공부해 온 재야의 연구자로, 침뜸요법의 ‘대중화’ 및 ‘과학화’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해 왔다. 그러던 중 2020년 돌연 만나게 된 코로나19라는 이 엄청난 감염병은 ‘돌팔이’ 침쟁이에게도 깊은 무력감을 안겨주었다. 하지만 오랜 인류 역사에서 반복되어 온 감염병과 그에 대응한 동의학의 개입도 있어 왔던 만큼, 이렇게 무력하게만 머물 일은 아니었다. 이 악독한 바이러스를 퇴치할 요법이 동의학에는 없을까 라는 문제의식이 뇌리를 떠나지 않았다. 감염병에 대한 동의학 고전을 들쳐보는가 하면, 한국을 비롯한 동의학 요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는 동아시아 3국의 상황도 살펴보게 되었다. 그렇게 만나게 된 것이 중국의 특별한 경험이었다.

 

중국에서는 2020 1~3월 코로나19 감염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위기적 상황에서, 동의학 요법이 코로나19의 예방과 치료에 폭 넓게 활용되며 상당한 성과를 올렸다고 한다. 중국에서 흘러나오는 정보의 신뢰성 문제로 인해 중국과 관련된 이야기라면 서방 세계는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쉽게 무시되는 경우가 많지만, 코로나19에 대항한 중국인들, 특히 의료진들의 노력은 눈물겨운 전투였고 그 결과도 매우 성과적이었다. 그런 중국의 경험에서 확인된 동의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코로나19 항역의 이야기는 충분히 검토되고 소개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느꼈다.

 

필자는 코로나19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될 만한 침뜸요법에 관심이 있었고, 이를 중심으로 자료를 찾고 정리하던 중, 문제의식을 공유했던 허임기념사업회를 통해 관련 자료를 정리하여 발표하기도 하였다(‘코로나시대 침뜸 활용 국제동향’, 2020 923일 및 9 29일 등 2). 물론 필자의 게으름 탓에 사회적 관심을 얻진 못하였다.

 

 이 책은 위의 발표 자료를 기초로 작성된 것이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의학 지식이 크게 부족한 필자의 능력만으로는 제대로 다루기가 어려울 만큼 폭 넓다. 하지만 침뜸요법의 활용에 대해서만 정리하는 것은 코로나19에 대응한 중국에서의 경험을 단편화불구화해 버릴 수 있다는 우려에서 그 항역의 전 과정을 함께 이해하고 그 속에 활용되었던 침뜸요법을 위치지우고자 하였다. 따라서 다루는 범위는 넓어진 반면 그 내용에는 크게 부족함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필자의 과문함 탓임을 고백하며 그저 부끄러운 마음으로 세상에 내 놓는다. 그럼에도 코로나19의 대응은 물론 향후 감염병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동의학 요법이 갖는 의미를 드러내는 것도 적지 않은 가치가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변명으로 삼는다. 나아가 감염병에 대한 동의학적 이론과 실제 그리고 동의학 및 침구요법의 이론과 실제와 관련해서도, 한 가지 공부 거리가 되리라는 바램도 가져 본다.

 

코로나19에 대응한 동의학 요법을 함께 고민하며, 줌으로 진행된 세미나를 마련해 주신 손중양 대표(허임기념사업회), 진행을 맡아주신 이국렬 선생님(동사업회 국제협력위원장), 그리고 유익한 토론을 해 주신 황경호 교수님(전북대), 신풍호 선생님(동사업회 침뜸학교 강사), 윤명석 중의사(중국 침구의학 박사), 송달용 회장님(스페인 침구협회), 한성수 학장님(미국 킹스톤대학) 등 세미나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특히 세미나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주신 전세일 박사님께 깊이 감사드린다. 당시 발표 및 토론 자료는 유튜브를 통해 공개되어 있으므로 참고할 수 있다. 하지만 누구보다 감사드려할 분은, 묵묵히 침뜸 봉사활동도 하시고 침구사제도를 합법화하기 위해 노력하시며 저에게 침뜸요법에 눈을 뜨게 해 주신 수많은 재야의 침뜸요법사 선생님들이다. 오랜 세월 민족적 자산의 하나인 침뜸요법을 계승 발전시키는데 헌신적으로 노력하고 계신 이들 선생님들께 이 책을 바친다.

2021 5

임 휘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차  례

머 리 말 5

프롤로그 : ‘코로나시대’의 동의학과 침뜸요법의 활용 11

 

1장 중국의 코로나19 항역의 이야기 17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폐렴의 출현 17

  전염병과의 전쟁이 시작되다 19

  코로나19 항역 전투부대의 파견 : ‘중의의료대’ 22

  코로나19 항역 전투에서 동의학의 역할 24

  동의학 외치요법과 침뜸요법의 역할 25

 

2장 코로나19에 대응한 동의학 접근의 기초 29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의 출현과 COVID-19 29

  동의학 고전의 전염병 인식과 그 함의 30

  항 감염병의 현대적 임상연구 34

  SARS 때의 경험 35

  [보론] 코로나19의 병인(病因)과 병기(病機)에 대하여 38

  코로나19의 병인(病因), 병기(病機) 38

  코로나19 사망 환자의 해부 40

 

3장 동의학적 개입의 의의와 ‘중서의결합’ 시스템 43

  동의학적 개입의 의의와 그 가치 43

  동의학적 접근의 강점 43

  중서의결합 시스템을 기초로 한 중의학 치료 

    : 1+1>1’ 작전 44

  1차 중의의료대와 중서의결합 치료 46

  임시병원(方艙醫院) 설립과 그 역할 49

  중서의결합 치료의 강점 : 未病先防, 旣病防變’ 51

  중서의결합 치료의 임상관찰 연구 52

  중환자의 중서의결합 치료 사례 53

  노래하고 춤추며‥ 55

 

4장 동의학의 치료 전략과 중의약 57

  「코로나19의 진료 방안」과 동의학 치료 전략 57

  동의학 약물의 치료 성과 59

  ‘33방’(三藥三方) 61

  청폐배독탕(淸肺排毒湯)의 임상과 그 활용 63

  화습패독방(化濕敗毒方) : 새로운 처방의 개발  66

  혈필정(血必淨) 주사액 : 중증 환자에 병용 67

  다양한 약물의 활용 68

  동의학 약물의 약리기전에 대하여 69

  면역체계의 강화 71

  동의학 약물의 활용과 그 효과 72

 

5장 동의학 외치요법과 침뜸요법 74

  동의학 외치요법 74

  「코로나19의 침구 개입 가이드라인」 제1판 75

  「코로나19의 침구 개입 가이드라인」 제2판 77

  침구 개입을 위한 취혈과 그 성격 80

  ‘사범막원’(邪犯膜原)의 관점과 침뜸요법 85

  병증의 발전단계와 침뜸요법 86

  침뜸요법의 활용 가치와 의의 88

  침뜸요법의 효과 기전 89

 

6장 침뜸요법 : 그 활용의 현장 91

  중의약과 침뜸요법의 병용 91

  상해 중의의료대의 치료 성과 91

  전형적인 치료 사례 92

  중의의료대 광동팀 93

  중증 및 위중증 환자의 침구 치료

      : 추욱(鄒旭)의 중의학 결합펀치(組合拳) 94

  추욱(鄒旭)의 침술 개입 방식 95

  추욱(鄒旭)의 코로나19 치료 3대 경혈 

      : 태계혈, 대사혈, 지천혈 96

  침술 개입에서 유의할 포인트 : , 대변, 소화, 수면 98

  침술 개입의 전형 사례 98

 

7장 코로나19 항전에서 뜸요법의 가치와 그 활용 101

  뜸요법의 의의 101

  뜸요법의 효과는? 102

  쑥 및 뜸요법의 의의에 대한 고전에서의 인식 102

  뜸요법의 효과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연구 104

  뜸의 ‘천연백신’ 생성 효과 106

  뜸요법의 항염증 효과 106

  뜸요법의 면역기능 조절 107

  쑥 훈증에 의한 소독 및 방역 108

  뜸요법 활용의 기본전략 예시 111

  폐섬유화증과 뜸 112

  뜸요법에 의한 치료 사례 114

  중국 뜸요법의 대가 진일신(陳日新)과 열민구(熱敏灸)의 활용 116

  코로나19 치료에서 열민구의 임상효과 118

  뜸 기구의 개발과 발전 119

  뜸요법의 재가 활용 119

  뜸요법의 안전성에 대하여 120

 

8장 동의학 외치요법의 재가 활용 121

  동의학 외치요법 활용의 의의 121

  동의학 요법의 재가 활용 121

  응급시의 재가 대처 124

  뜸요법의 재가 활용 125

  동의학 기공요법의 활용 127

  기타 재가요법 130

 

9장 비판의 목소리와 과제 133

 

에필로그 : 종합 및 토론 140

  ‘중국적 경험’의 함의 140

  사족 같은 이야기 : 동의학과 서양의학 143

  보론 1 : 뜸요법의 재가 활용 

  보론 2 : 기타 재가요법 147

 

[부록1] 「코로나19의 침구 개입 가이드라인」(1) 151

[부록2] 「코로나19의 침구 개입 가이드라인」(2) 156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독립출판이라 온라인서점에서만 판매됩니다. 부크크에서 구매 가능하며, 교보문고 온라인, 알라딘, 예스24, 네이버 등에서도 구매할 수 있습니다.

구매를 하시려면 아래 링크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부크크)

https://m.bookk.co.kr/book/view/109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