艾灸의 補瀉 구별, 몇 명이나 알고 있을까
艾灸分补泻,有多少人知道
2021-10-02文章标签:
(https://www.pinmou88.com/article/VlBXW1IHDQIBWgBWBFㅂㆍㅡVSBg.html)
뜸에도 보사가 있는데, 이 뜸의 보사방법을 몇 사람이나 알고 있을까? 뜸법의 보사 구분, 사법의 원리와 방법에 대해 뜸을 하는 사람들의 90%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뜸법은 원시사회에서부터 유래한 것으로 경락의 전도를 통하여 气血、阴阳、虚实을 조절하고인체의 내부 균형조절 기구를 자극하여 疏通经络、扶正祛邪의 작용을 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통상 뜸법은 补虚만 가능할 뿐, 泻实은 불가하다고 하여, 매우 주관적으로 사고한다.
1. 입론의 근거
어떤 사람들은 뜸은 보만 있고 사는 없어, 뜸법은 虚证、寒证에 적용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의 일면성은 중의학의 整体观念과 辨证论治를 무시하고 뜸법은 温热性 刺激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喉痹鼻衄에 少商을 뜨고,外感发热에 大椎를 뜨며, 肝阳上亢에 涌泉에 뜸을 뜨는데, 이들은 모두实证、热证에 뜸법을 쓴 것으로, 이는 뜸법도 사의 작용이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치료 경험은 모두 역대 의학서에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唐代 《黄帝明堂灸经》에는, “灸三壮,主热病汗不出“이라 했다.
孙思邈의 《千金要方》은, “五脏热及身体热,脉弦急者,灸第十四椎与脐相当五十壮”이라 했다.
王怀隐 등의 《太平圣惠方》에서는, “小儿热毒风盛,眼睛痛,灸手中指本节头三壮“이라 지적하고 있다.
'내경'에도 实证、热证에 뜸법을 이용하여 치료한 예가 적지 않게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보자. “大风汗出,灸意喜”,“灸寒热之法,先灸项大椎,以年为壮数,次灸橛骨,以年为壮数“,“痈发四五日,逞火芮之”,“狂而新发......... 灸骨骶二十壮。”
이렇게 보면, 뜸법은 外感、内伤은 물론, 寒病、热病,病情의 属虚属实에 관계 없이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근대의 뜸법 대가인 承淡安은 이렇게 말했다. "뜸의 요체는 결허증이나 만성질환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또한 뜸은 보는 있고 사는 없다고 말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그 효과는 침과 다르지 않습니다.“
2. 메커니즘 논의
뜸의 질병 치료는, 최종적으로 通利经络의 귀결되는데, 그 한가지 작용은 뜸숙의 通利经络 효과를 전제로 화력의 자는 힘을 빌어다가 경혈을 시구점으로 하여 경락을 통해 실현하는 것이다.......
경락의 불통은 허실 양면을 포괄하여 水渠干涸로 불통이라 한다. 水流滞涩을 또한 불통이라 한다. 허를 보하고, 실을 사하고, 한은 온하며 열은 량하는 것 모두가 통경락하는 의미이다.
《医学真传》에서 말했듯이 "통하게 하는 법이란 각기 다르다. 调气로 和血하거, 调血로 和气하면 通이 된다. 거꾸로 내리는 자는 끌어올려주고 중간에 결린자는 주변으로 풀어주는 것 역시 通이 된다. 허한 자는 도와 통하게 하고 한한 자는 온으로 통하게 해 주니, 통이 아닌 법은 없다. 반드시 下泄만이 통이라 하는 것은 망령된 것이다.“ 따라서 저자는 泻热、散寒、补虚、泻实을 함에 있어 쑥뜸으로 通利经络을 도모하는 것, 이것이 바로 그 중심을 완성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3. 操作方法
《内经》에서 처음 灸法의 補瀉를 논했다. 《灵枢·背腧》에서 艾灸의 补泻 操作方法에 대해 논술하였다. “以火补者,毋吹其火,须自灭也;以火泻者,疾吹其火,传其艾,须其火灭也”이라 했다. 분명히 《灵枢》에서는 艾火의 燃烧 속도와 火力의 완급으로 补泻을 구분햇다. 또한 《针灸大成》은 유사한 언급을 하엿다. “以火补者,速吹其火,开其穴也”라 하여, 开合補瀉를 함께 말하고 있다.
현대 임상에서 각종 实为의 질환에 대해 뜸사법으로 누런콩 애주에 불을 붙인 후 바람을 불어주어 뜸불이 빨리 강하게 타버리게 하면, 매 장의 반쯤 이르면 환자가 작통을 느끼고 참기 어려운 정도에 이르면 뜸불을 옮긴다. 연속으로 8—10壮 뜨고 끝난 다음 혈자리를 누르지 않는다.
임상 경험에 따르면 艾条温和灸는 扶正에 치우쳐 补가 되고, 雀啄灸는 祛邪에 편중하여 泻가 된다고도 한다.
4. 작용 메커니즘
4.1 祛邪逐实,疏经却病
“实者灸之,使实邪随火而发散也。“
뜸의 사법은 빠르게 불에 바람을 불어 화력이 맹렬하게 타서 그 힘이 강하게 통하게 하고 그 경혈을 눌러주지 않아 사기가 나가도록 한다. 따라서, 火气已通,血脉乃行“하여 육음의 사기가 저절로 밖으로 흘러나간다.
4.2 宣通发散,以热引热
“热者灸之,引其郁热外发,火就燥之义也”
열은 양사이기 때문에 가볍게 오르락 내리락하고 돌아다니기 쉽고 흩어지기도 쉽다. 火는 울체된 것을 풀어 제경락을 통하게 하고, 쑥의 쓰고 신 맛은 열을 생성하고 숙성시키는 순양의 성질이 있다. 쓴 맛은 열을 씻어내고 신 맛은 열을 흩어낸다. 温热하면 혈중의 기, 기중의 체를 돌게 하니, 뜸의 질병 치료란 “그 열을 풀고 흩고 올리고 떨치는 것이다. 마치 그 창을 열고 덮인 것을 우울증을 부드럽게 풀어주고, 모든 경전을 스며들고, 쑥은 쓴맛을 내고, 따뜻하고 성숙한 열을 생성하고, 순수한 양 자연, 쓴맛은 열을 방출 할 수 있고, 매운 에너지는 발산열러주는 것과 같다”
5. 임상적용
뜸의 사법은 泻毒散瘀을 가능케 한다. 대상포진, 유행성 이하선염 등의 임상 치료에서는 주로 국소 경혈을 사용하여 비교적 좋은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뜸법은 虚寒证 뿐만 아니라 实热证도 치료할 수 있다. 내장열 뿐만 아니라 피부열도 치료할 수 있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낮출 수 있고, 혈압이 낮은 사람은 높여줄 수 있다.
病例:张某,男,48세. 岁,기혼, 농부.
初诊:1992年6月20日。2년 이상 반복되는 치질로 인해 그는 다른 병원에서 여러 차례 消痔灵 국소 주사를 맞았고, 한번 호전되기도 하였다. 그후 피로 누적으로 재발하여 변비에다 때로 혈액이 동반된다. 평소에 술 담배를 즐겼다.
진단 : 항문 바깥쪽 3시와 6시 방향에 약 0.5cm 크기의 치핵이 있다. 질감이 딱딱하고 누르면 아프고 혀가 붉고 맥은 삭이다.
치료: 뜸쑥을 서서 장강혈과 치핵처에 동시에 훈구를, 매일 1회, 약 30분 동안 하였다. 다섯 번째 진료 후 치질은 현저히 감소되었고 대변에 피가 섞인 증상도 사라졌다. 그런 다음 공고성 요법으로 격일에 한 번 뜸으로 변경했다. 열 번째 방문에서 치질은 사라지고 딱지만 남아 있었다. 4개월 후 추적관찰 결과 치질의 재발은 발견되지 않았다.
참고 : 본 병레는 장기간의 고된 노동과 매운 음식 중독으로 인해 항문의 气血不调,络脉瘀滞,蕴生湿热로 치질이 발병한 것이다. 장강혈은 독맥에 속하며 뜸을 뜨면 항문의 瘀滞气血을 풀어주고 치핵에 훈구하면 항문직장의 습열을 없애고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완화하며 치질을 말라붙게 한다.
6. 다양한 관점에 대한 논의
6.1 艾灸治热과 《内经》“热者寒之”의 矛盾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热者寒之”란 热证 治疗의 기준이 되는 것이지만, 그것은 뜸이 “通经络”의 작용을 통해 补泻를 실현한다는데서 오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약 지침과는 다르다. 한편으로 “通经络”과 “火”는 구별되는데, “通经络”은 뜸쑥의 작용이고, “火”는 단지 이 작용이 인체에 가해지도록 하나의 수단이다. 그런 까닭에 쑥뜸을 일종의 温热性의 物理적 刺激 혹은 温法이라고만 이해할 수는 없다.
6.2 열병에 관한 논문에서 열증후군을 동반한 뜸의 설명을 이해하는 방법
『열병에 관한 논고』는 열에 관한 특서로 체액 관리를 강조하고 있으므로 열 증후군에 뜸을 권하지 않는다. 실제로 뜸은 실제로 체액을 손상시키는 것으로 의심되고 있다.예를 들어 뜸 치료 중 변이 마르고 구강이 건조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는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양한 금기 사항이 있으므로 Zhang Ji의 체액 관리의 의미만 파악하면 됩니다.
6.2 《伤寒论》에서 热证에 뜸을 기피한다는 언급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伤寒论》은 一部 热病의 전문서로, 그 책에서 津液의 관리를 강조하며, 热证에 뜸 사용을 권하지 않고 뜸열이 진액을 손상시킬 것을 우려한다. 사실 뜸은 진액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뜸 치료 과정에서 大便干结、口干等 등이 나타날 수 있지만, 그 치료작용에는 영향이 없다. 장중경이 진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지만, 여러 가지 금기사항을 말하고 있으므로 그가 진액의 중요성을 강조한 의미만 잘 파악하면 될 것이다.
(*芝雲 역ㆍ정리)
ㅡㅡ
참조
-----------
코로나19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중국에서 전개되었던 동의학 요법의 활약과 그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아래의 책을 소개합니다
https://blog.daum.net/hooclim/4934
책 소개 : 코로나19와 동의학 그리고 침뜸요법
blog.daum.net
'동의학 이야기 > 뜸을 뜨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종 질병의 뜸자리 취혈 (0) | 2022.07.04 |
---|---|
침뜸 고수들만 안다는 비밀, 뜸의 '보사(補瀉)' (0) | 2021.10.11 |
뜸요법의 핵심포인트 : <马氏温灸法>에서ᆢ (0) | 2021.10.01 |
뜸의 안전성 문제에 대하여.. (0) | 2020.02.14 |
격물구 : 소금뜸, 마늘뜸 그리고 생강뜸 Ver.2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