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뜸을 뜨자!

뜸요법의 핵심포인트 : <马氏温灸法>에서ᆢ

지운이 2021. 10. 1. 17:14

뜸요법의 핵심포인트 : <马氏温灸法>에서ᆢ

 

*《马氏温灸法》은, 天津의 명의인 马少群(1903~1992)의 50년 이상의 뜸 치료 경험을 요약 정리한 책이다. 상/하 2편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1편에는 뜸의 역사와 그 작용기전, 임상촉진법, 경혈선택의 규율, 뜸치료의 핵심, 뜸의 양, 뜸 조작법과 상용혈 등을, 2편에서는 각종 질병에 대한 뜸법과 일부 의료기록을 소개하고 있다. 马氏는 그의 뜸요법을 '马氏温灸法'이라 칭하며, 그 적용 범위가 넓고, 특히 뇌혈관 질환에 효과가 좋을 뿐만 아니라 급성 및 만성 내장 질환, 난치성 질환, 노인성 질환, 부인과 질환에도 좋은 치료 효과가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 글은 위 책에서 설명해 주고 있는 뜸법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참조하기 바랍니다.

 

 

뜸요법의 핵심포인트 : <马氏温灸法>에서 정리

 

뜸의 열쇠는 연습을 통해 숙련을 갖추는데 있다고 강조하면서 시작한다.

 

 

I. 뜸쑥의 효능

 

뜸쑥은 뜸치료의 주원료로, 冰台、艾蒿、医草 등으로도 알려져 있다.

 

《名医别录》:쑥은 味苦,微温,无毒의 성질을 가지며, 거의 모든 질병에 뜸재료로 쓰인다. 달여서 복용하면 설사, 토혈, 부인의 누혈 등을 그치게 할 수 있고, 阴气를 돋우고,肌肉을 생하며,风寒을 막아,아이를 가질 수 있게 한다.

 

《本草纲目》:쑥잎은 약재로 쓰이는데, 性温、味苦、无毒、纯阳의 성격이 있어, 十二经을 통하여 阳을 회복하고 气血을 조절하며, 湿寒을 제거하여 止血安胎 등의 효능이 있다

 

艾附丸은 心腹少腹의 제반 통증을 치료하고, 부인과의 제병을 조절하는데 효과가 매우 좋다. 老人의 丹田气弱,脐腹이 냉한 경우, 묵을 쑥을 포에 담아 脐腹에 올려주면 좋한 효능이 있다. 寒湿으로 脚气인 경우 양말에 넣어 쓰면 좋다.

 

 

II. 개인 보건을 위해 뜸을 뜨자

 

쑥뜸은 너무 크게 효과를 기대해서는 안된다. 뜸은 心血이 넘쳐오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 파고를 타코 흘러가게 하는 것으로 고황입병(죽을 병)에만 생각할 수 있는 요법이 아니며, 뜸은 제한된 시간에 얼마간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데는 필요치 않다. 뜸이 모든 질병을 치료하는 것은 아니지만 모든 질병을 조리하는 효능이 있다.

 

"뜸의 핵심은 기(氣)가 이르면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뜸은 변증에 따라 시구하여야 하고, 热敏穴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悬灸法”, “直接灸” 등을 써서 쑥열을 체내 깊숙이 투과하여 压、麻、重胀、痛을 일으키고 寒气外散 등을 통해, 뜸의 득기감이 병소에 전해져 치병과 양생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艾”는 “爱”로 통한다. 오늘날 우리의 삶이 휴대전화에 지배당하는 시대에, 모두가 멈추고 진정하고서 뜸을 뜨면 좋을 것이다. 향을 경건하게 피우고 성심을 다하여 몸과 마음을 일깨우면 스스로에게는 일종의 닦음이고, 다른 사람에게는 따뜻함일 것이다. 뜸은 사람들 사이의 의사 소통과 배려이기도 하다!

 

 

III. 뜸의 핵심

 

기가 이르면 효과가 있다. 뜸 치료의 핵심은 그 치료 경험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1、병 초기에는 국소부에 뜨고, 병이 만성이 되면 몸 전체를 조절한다

 

병의 초기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邪正相争”의 모순이 국지에서 전개되므로, 이 때는 환처 국부 경혈에 시구해 주면, 종종 병세를 멈출 수 있으니, 간이의 빠른 뜸법이면 족하다. 그러나 만성 질환은 이러한 방식으로 치료할 수 없다. 이 경우는 오래전부터 퍼져나갔기 때문에 상하 음양의 부조화로, 왕왕 여러 경락, 여러 장부가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整体를 중시한 배혈이 필요하며 뜸으로 장부, 경락을 통하게 해야 한다. 뜸을 뜨면 상하를 통하게 하고 음양을 조정하여 질병을 뿌리뽑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2、뜸은 초기에도 소중하고, 언제나 소중하다

 

뜸은 초기에 소중하니, 일반적으로 급성 질환에 쓸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만성 질환의 뜸 치료는 지속적이어야 한다. 노년기의 일부 만성질환은 몇 달 동안 뜸을 지속하지 않으면 효과가 없다. 따라서 의사와 환자 모두 뜸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뜸 치료를 일정 기간 동안 하고서는 문제가 심각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뜸을 중단하게 되는데, 만성질환의 경우 그렇게 하면 증상이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马씨는 만성질환 환자라면 적어도 2~3개월, 6개월 또는 그 이상 동안 질병을 제거하도록 뜸을 뜰 필요가 있다. 증상이 사라졌다고 질병이 완치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확인이 필요하다. 거듭 확인하라고 주문한다. 병이 나은 후에도 몸에 약간의 증상이 있으면 뜸을 계속하여 활력을 길러야 한다. 간단히 말해서 뜸은 단순히 증상을 제거해 주는 것이 아니어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몸을 건강하게 하는 것이 궁극의 목적이므로 꾸준히 지속해야 한다.

 

3、뜸은 6부의 기를 통하게 하는데도 소중하다

 

각종 만성질환은 병이 오래도록 장부로 전파된 상태이므로 일반적으로 6부의 기가 침체된 데에까지 이르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위와 장의 흡수 및 배설 기능이 정상이 되는 경향이 있고, 신체의 기와 혈액이 생화학적으로 활성화되어 체내의 정체 및 병리적 산물이 쉽게 해소되고 배출되며 이에 따라 각종 질병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중완과 족삼리는 각종 만성질환 치료에 꼭 필요한 뜸자리이다.

 

4、뜸은 인도(引导) 작용에도 소중하다

 

만성질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질서정연하게 신체의 상은 성하고 하는 허약하고 상은 덥고 하는 차가워지는 경우가 많으며, “盛” 및 “热”이 환자를 가장 고통스럽게 한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뜸은 병든 신체의 중/하부의 경혈로 집중한다. 중하의 뜸이 성공하면 “上盛” “上热”의 사기가 내려와 풀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병정 역시 풀리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뜸의 인도 기능을 적용한 것이다. 중,하부를 통하게 한 다음 다시 상부의 경혈에 대한 뜸 량을 증가시켜주면 상하가 조화를 이루게 된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말하는 뜸법의 선후를 가리킨다.

 

내열이 성하고 장부의 적체가 심한 병례에 대한 뜸법 역시 유사하다. 먼저 사지경혈에 뜸을 뜨고 그 다음 몸통의 뜸자리를 더한다. 이렇게 하면 치료가 더 원활해진다.

 

5、오랜병의 허약자는 “小火”를 우선한다

 

장기간의 질병으로 몸이 허약하고 음식을 적게 먹고 몸이 더운 경우(喜凉恶热)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5일 동안 뜸 치료를 해주도록 한다 : 1일/ 중완, 족삼리. 2일/ 환도, 양릉천. 3일/ 풍시, 신맥. 4일/ 견우, 곡지. 5일/ 풍지, 절골.

 

5일 후에는 다시 병이 어느 장부인지를 살펴 관련 경혈을 배하여 뜸 치료를 해 준다. 병이 오래되어 몸이 허약하고 음식을 적게 먹고 몸이 찬 경우(喜热恶寒)에는, 다음과 같이 4일 동안 뜸 치료를 한다:1日/ 中脘、足三里. 2日/ 下脘、天枢、气海. 3日/ 关元、三阴交. 4日/ 内关、照海. 4일 후에 병이 어느 장부인지 살피고 관련 경혈을 배하여 뜸 치료를 한다.

 

이러한 환자의 경우 첫 15일 동안의 뜸량은, 복부는 매 혈에 매회 20분, 배부 및 사지는 매혈에 매회 15분으로 한다. 환자가 더 많이 먹고 몸이 가벼워지면, 평소의 양의 뜸을 사용한다. 이것은 허가 심하고 또 체가 심하기 때문이므로 먼저 조금

통하게 하고 그런 다음 보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렇지 않으면 환자가 뜸쑥의 영향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구강 건조, 인후통, 현기증, 식사 거부 등이 발생할 수 있다.

 

6、병을 겸하면 치료도 겸하여 하되, 급한 것부터 먼저 치료한다

 

단일 질병에 대해서는 이 책의 하편에서 각각에 대한 일반적 뜸 요법을 적시해 주고 있다. 그러나 만성질환과 겸병이 더 흔한데, 예를 들어 고혈압을 앓고 있는 사람은 당뇨병을 동시에 앓고 있다거나, 기침과 천식을 앓고 있는 사람은 또한 건선 등을 앓기도 한다. 이런 식이라면 다른 질환의 뜸법의 경혈을 결합하여 뜸을 뜰 수 있다(물론 중복된 경혈은 중복하여 뜰 필요는 없다). 물론 겸병의 경우 한가지 질환이 주를 이룰 경우 변불통, 소병불리 및 수종 등의 “急所症”이 있다면 이를 먼저 고려해야 하며, 다음과 같이 뜸 치료를 할 수 있다.

 

(1) 治外感:灸 风门(背部), 阳陵泉(下肢) 각 25분, 1일 2~3회,기볍게 땀이 날 정도로 한다(하편의 “感冒”治法 참조)

 

(2) 治大便不通:灸 承山(下肢) 25분,左大横(腹部) 30분. 1일 2회, 대변을 볼 수 있을 정도로 한다(일반적으로 밤에 뜨면 다음날 새벽에 변을 본다)

 

(3) 小便不利와 水肿의 경우, 아래와 같은 뜸법으로 치료한다

 

1、水肿이 가벼우면, 위 1,2 경혈에 뜨면 효과가 있으며, 나머지 경혈은 필요치 않다.

2、위의 뜸법이면 보통 水肿에 유효하지만, 특별한 경우에 뜸 후 그 효과가 느린 경우에는 명문혈에서 장강혈까지 독맥 및 방광경에 뜸을 더한다. 이 뜸법은 경혈에 상관없이 뜸기구로 위에서 아래로 설치하여 뜨는 방식으로, 먼저 독맥에 이어 방광경에 한다. 매일 2회, 매회 2~4곳, 매처에 60분. 또한 돌아가며 뜸을 뜬다. 하지가 많이 부은 경우에는 부종 부위를 따라 위쪽에서부터 아래로 다리 내외측에 뜸을 뜬다.

3. 매일 배꼽 뜸.

 

<艾灸의 선혈 원칙>

1. 腧穴을 먼저 취하고,그런 다음 本经穴을 취한다

2. 躯干部에서 먼저 취하고,이어 四肢部에서 취한다

3. 심장에 가까운 경혈을 먼저 취하고,그런 다음 심장에서 먼 경혈을 취한다

4. 원근배합,좌우배합,전후배합

 

<*뜸의 조작방법 : 溫灸盒>

1) 사전 준비 : 뜸상자의 내통을 꺼내 약용뜸쑥을 가볍게 눌러가며 넣어주고, 이 내통을 다시 외통에 넣어준 다음, 쑥의 중앙에다 불을 붙여서 실외에서 18~25분 정도 두었다가. 어느정도 연기가 적어지면 뚜껑을 덮어 뒤집어서 뜸부에 올릴 준비를 한다. 이때 과도하게 많이 태우면 뜸이 오래가지 않으므로 열을 잘 관리하여야 한다

2) 시구 : 뜸 상자를 해당 부위에 올려준다. 환자가 서서히 열감을 느끼고 피부에 손상없이 발까지 열이 이른다고 느끼면 좋다. 열이 강하다면 뜸상자와 피부 사이에 면포 등을 넣어주고, 열이 약해주면 제거해 주는 등 적절히 관리해 준다.

3) 식후나 공복은 피한다. 뜸 후에 풍한을 피해 풍한 사기가 경혈을 타고 침입하는 것을 막아준다. 뜸 후 보온에 주의를 기울인다

4) 부작용 : 부작용은 거의 없지만, 일부 환자에게서 현기증, 구갈, 인후건조, 비출혈, 소화불량, 피로 등이 나타날 수 있는데, 뜸 량을 늘려주도록 한다. 이외 환자의 특별한 반응이 나타나는 경우는 뜸을 중지하고 의사와 상의토록 한다.

 

 

IV. 뜸쑥은 각기 다르며, 맞게 선택한다

 

明代 李时珍《本草纲目》에, “凡用艾叶,须用陈久者,治令细软,谓之熟艾. 若生艾,灸火则易伤人肌脉”라 했다.

 

悬灸에 가장 적합한 재료

 

艾条悬灸는 간접구로, 거친 艾绒을 써서 오래 연소되는 것이 좋다.

 

“艾条”의 품질은 주로 “陈”과 “纯"에 달렸다

 

여기서 “纯”이란 시장에서 사용되는 황금 뜸쑥이 아니며, 뭉친 것이나 불순물이 없는 것을 말한다.

 

金艾绒을 순도가 매우 높아 연소 속도가 매우 빨라, 그 재를 자주 털어줘야 하고 빠르게 타버려서 灸疗의 “久”의 본의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周楣声가 이르길, “灸者,久之用也,久者,灸之法也”라 했다. 연속성을 유지할 수 없고 뜸의 감각이 간헐적으로 되면 뜸의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艾灸의 补泻

 

灸法은 火补火泻라고도 한다

 

《灵枢.背腧》에, “以火补者,勿吹其火。须自灭也;以火泻之者,疾吹其火,传其艾,须其火灭也”라 했다. 火力은 적은 데서부터 커져 가고, 천천히 들어가도록 불이 다 타도록 기다려 열이 皮肉을 손상케 하는 것이 보법이며, 温阳补虚의 작용을 한다. 입으로 바람을 불어 빠르게 연소시켜 환자가 연소감을 느끼지 못하고, 불이 皮肉에 이르길 기다리지 않고 애주를 제거하는 것이 사법으로, 祛寒散结의 작용을 한다.

 

《黄帝内经太素》杨上善의 注에, “火烧其处,正气聚,故曰补也;吹令热入以攻其病,故曰泻也”라 했다. 현대의 뜸요법大师 周楣声 선생은 임상에서 뜸법을 疾徐强弱补泻法과 疾徐开阖法으로 구분하였다.

 

泻火、补火

 

疾徐强弱法은 애주에 입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 공기를 전달하여 뜸이 왕성하게 연소시키니 疾火 및 强火가 되며, 이러한 强火强刺激은 모두 泻의 작용으로 邪气가 火气를 따라 흩어지게 하니, 泻火라 부른다.

 

뿔이 저절로 꺼지도록 하니 곧 徐火 및 弱火가 되며,이러한 弱火弱刺激은 모두 补의 작용으로 阳气가 깊이 들어가니, 补火라 한다.

 

疾徐开阖이란 艾炷가 저절로 탄 다음 눌러주는 것으로 补泻作用을 도모하는 것이다.

 

灸法의 주의사항 :

 

1. 뜸을 남용하지 말라. 삼양병증에는 뜸을 적게 쓴다. 뜸을 하더라도 장수를 적게 하고 크게 뜨지 않도록 한다. 몸이 뚱뚱한 사람은 대부분 양허에 속하니 重灸가 가능하며, 마른 체형인 경우에는 피육이 얇고 대부분 음휴에 속하고 목화가 왕성하니 뜸을 적게 한다. 또한 뜸불은 쉽게 청양을 어지럽히고 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목화가 왕성한 사람은 피해야 한다.

2. 뜸 뜬 후에는 찬 음식을 삼가하여 뜸불의 힘이 효과를 막지 않도록 한다. 적당히 따스한 물을 마시면 음액을 도와 뜸쑥으로 인한 음의 손상을 보충할 수 있다.

3. 며칠 동안 방사를 경계하라. 뜸 후에는 양이 번성하여 뜸불의 효과가 형성되지만, 방사로 양동이 불가하면 真精의 손상이 된다. 며칠 동안 방사를 삼가하면 양기를 안으로 수렴하는데 도움이 된다.

4. 뜸 후 휴식에 주의하고, 피로하여 무리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양을 고갈시킬 수 있으므로 며칠 동안은 쉬어야 한다.

5. 뜸 후에 음이 상하거나, 불면증이 생기거나, 짜증이 나거나 불안이 생길 수 있다.

 

艾灸는 하나의 생활태도이다

 

《医宗金鉴:刺灸心法要旨》에, “凡灸诸病,要持之以恒,必火足气到始能愈”。

 

艾灸는, 손에 익혀 두면 자신의 양생보건은 물론 경각에 달린 사람을 살릴 수도 있는 등, 그 공을 어디에도 비교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구급 상황에서 약물이나 기타 치료법 어느 것도 뜸만큼 빠르지 않다. 내 경험에 따르면 뜸은 병을 고칠 수 있을 정도로 효과적이며 종종 보는 이들을 놀라게 한다.

 

또한 뜸의 장점은 우리의 삶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모두가 병원에 ​​가기만을 기다리고 있다면 환자는 얼마나 많은 고통을 감내해야 하는지 모르고 응급처치의 기회를 잃을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위해 뜸 기술을 배워야 하지 않을까?라고 결론지운다.

 

 

V. 马氏温灸法의 상용혈

 

-백회 : 만성 질환인 경우 대부분 하한/상열, 하허/상실을 보이는데, 백회 등의 두부혈에 뜸을 뜬다. 일부 현기증, 이명 등의 반응이 나타난다면 뇌의 긴장 상태를 살핀다. 뜸량은 20~25분

 

-풍지 : 편두통에 쓰며, 고혈압에도 비교적 효과적임. 현구를 배함. 30~60분

 

-곡골 : 각종 부인병(자궁하수, 자궁근종 등), 빈뇨 등. 30~60분

 

-신궐 : 뇌일혈 뇌혈전증에 유효. 만성이라면 특히 뜸이 유효. 원기를 보호하는 역할. 30~50분.

 

-장문 : 비기 문제에 유효(비허, 비기응체). 각종 간/담의 병. 치료 범위 넓음. 30분

 

-기문 : 간기 성, 간염, 간연화, 신염, 흉막염, 비종대, 상한 등. 대부분의 장부의 어체, 간을 치료함에는 태충을 배함. 30분

 

-영대 : 기침 발작에 신속히 뜨고 신주, 태계를 배함. 30분

 

-풍문 : 양릉천을 배하여 감기 치료. 변급에 즉효, 감기로 인한 고열에도

 

-조해 : 고혈압, 반신불수, 관절염, 변비, 수종. 주야발작 등. 25~30분

 

-현종 : 고혈압 및 상열/하한, 상실/하허의 질환. 25~30분

 

*고혈압, 반신불수 및 관절염의 치료 예

 

1일/ 중완, 30분. 족삼리(양쪽) 30분

2일/ 환도(양), 25분. 양릉천(양) 30분.

3일/ 풍시(양) 25분. 신맥(양) 25분

4일/ 견우(양) 25분. 곡지(양) 25분

5일/ 풍지(양) 25분, 현종(양) 25분

6일/ 신주(단) 30분, 요양관(단) 30분, 삼음교(양) 25분

7일/ 위중(양) 30분, 조해(양) 25분

8일/ 백회(단) 25분, 아문(단) 25분, 열결(양) 25분

 

*고혈압 환자의 경우 1-7의 혈에 4회 뜸을 뜬 후, 8의 혈인 백회와 아문에 뜸을 뜨면혈압이 떨어지고 두훈, 두통에도 효과적임. 경맥 불통으로 뜸불이 제대로 작용하지 못한다면 두부의 제혈을 더해준다. 그런 다음 신궐 30분을 추가한다

 

 

 

《马氏温灸法》 주요 목차

上篇 总论

一、灸史沿革
二、灸疗法应为大众所掌握
三、灸疗作用机制、适应证、禁忌证、禁灸穴辨
四、触诊法
五、选穴规律
六、灸治要诀
七、灸量掌握
八、马氏温灸筒的优点及灸筒制法
九、灸药配制
十、施灸的操作及有关事项
十一、取穴法
十二、常用穴
(一)头颈部
(二)胸腹部
(三)背、腰骶部
(四)上肢部
(五)下肢部

下篇 各种病证的常规灸法

一、风湿性心脏病
  ~ 八十二、泪囊炎 까지

다양한 많은 질병에 대한 뜸요법에 대해 정리함

 

 

 

참고자료

-灸法要诀(重点节选自《马氏温灸法》)/ https://zhuanlan.zhihu.com/p/139613510

-马少群與《马氏温灸法》 등등

(*芝雲 역ㆍ정리)

 

--------

*책 소개ᆢ

코로나19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중국에서 전개되었던 동의학 요법의 활약과 그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아래의 책을 소개합니다

https://blog.daum.net/hooclim/4934

 

책 소개 : 코로나19와 동의학 그리고 침뜸요법

blog.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