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장상 및 병인병기

변비에 대한 사고와 침구치료

지운이 2025. 2. 24. 14:08

변비란 大便秘结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대변의 불통, 즉 대변이 곤란한 증상이다.  대변이 장에 너무 오래 머물러 있아, 건조하고 딱딱해 주고 변의 배출이 곤란해 지는 증상을 한 것을 말한다. 또는 배변의 충동이 잘 나타나지 않거나, 배출력이 너무 약해서 배출되지 않거나, 대변이 드물고 배변 간격이 2일 이상 지속되는 것이다. 왼쪽 하복부에 종종 충만감이나 통증이 수반된다.

 

장기간의 변비를 습관성 변비라고 한다. 이 병은 장에 위치하지만 비, 위, 폐, 간, 신의 기능 장애와도 관련이 있다. 외감의 한열의 사기, 식이와 감정으로 인한 내상, 음양기혈의 부족 등으로 인해 장폐색이나 온기와 수분 손실이 발생하고 대장의 전조가 원활하지 않아 변비가 발생한다. 임상적으로는 허실의 부조로, 血虚阴亏、肝脾气滞、脾肺气虚、脾肾阳虚、胃肠实热  등 5가지 증후군이 있다. 

 

이 병은 신체의 정허사실의 부조가 근본 원인인데..

 

《伤寒论》에서는, "大便难"、"脾约"、"不大便"、"不更衣"、"阳结"、"阴结"을 지적하고 있고, 朱 卷九에서는, 脾胃大肠에 발병이 있으면 腹胀满이 肠呜과 短气를 지적하였다. 第七에서는 腹中不便애는 三里를 취하고 盛则污之, 虚则补之라 하였다. 

 

《备急千金要方>卷十五上에는, 옥천 외방 2촌에 뜸을 뜨데 나이만큼 뜨라 했다. 또 대돈에 4장,

 

《备急千金要方》卷三十 心腹第二, 곤륜이 변비를 주관한다. 황수는 대변이 드믄 것을 주한다. 복부 절통은 석관이 주한다.

 

《外台秘要》卷三十六,  소의 변비 치료에 효과가 있는 처방으로, 입 양쪽에 1장 뜸을 뜬다.

 

《针灸资生经》第三 , 승산.. 태계.. 변비를 치료한다... 변비에는 대둔에 4장

 

《针经摘英集>治病直刺法 , 변비 치료에는 임맥 기해 1혈을 자하고... 이어 족양명경의 삼리 2혈을 자한다.

 

《神应经>肠痔大便部 , 불편한 배변에는 증산, 태게, 조해, 태충, 소장수, 태백, 장문, 방광수. 무거운 배변에는, 승산, 해계, 태백, 대맥.

 

《针灸大全》卷四-窦文真公八 , 부인이 변비에는, 조해.. 신맥 2혈, 음릉권 2혈, 음교 2혈, 태계 2혈.

 

《针灸大成》治症总耍 , 변비에는 장문, 조해, 지구, 태백을 쓴다. 비허로 인한 변비에는 상구, 삼음교를 30장.

 

《针灸十川经治疗诀》 , 변비에는 천추, 중극, 복결. 대횡, 대장수와 지구, 족삼리, 대돈을 취한다.

 

[임상적용 사례]

- 침뜸으로 25년 변비가 치료되었다

류 씨, 남성, 79세. 그는 25년 동안 변비를 앓았고, 8~10일마다 배변을 했다. 그는 또한 온몸에 현기증과 가려움증이 있었다. 주혈은 천추, 족삼리, 상거허(양쪽 모두)였고, 베혈은 기해 관원을 교대로 사용했다. 보법으로 침을 20분간 유침하고 각 경혈에 15분간 뜸을 더하였다. 하루에 한 번. 15회 치료 후 그는 5~6일마다 배변을 했다. 또한 메밀씨 스티커를 사용하여 대장, 직장 하부, 변비점, 피질하, 교감신경의 귀 경혈을 눌러 주었다. 스티커는 3일마다 교체했고, 두 귀를 번갈아 가며 사용했다. 치료를 ​​반달 더 받은 후 그는 2~3시간마다 배변을 했고, 아무 문제가 없었다.

 

-습관성 변비에 대한 침 치료

22세 여성인 모씨. 2년 전부터 변비가 시작되어 일주일에 한 번씩 배변을 했다. 병원에서 습관성 변비로 진단을 받았다. 과일 완하제를 투여하자 배변이 원활해졌다. 약을 끊은 후 다시 변비가 생겼다. 집중적인 공부로 인해 약을 복용하여 건강을 유지했다.

증상: 변비, 복부 팽창, 배변 시 힘주기 어렵고 수렴성, 혀가 붉고, 털이 약간 노랗고, 맥박이 매끄럽고 단단합니다.

진단: 변비.

경혈: 천추, 대장수, 지구, 상거허, 곡지.

조작: 사법, 하루 한 번. 10회가 치료 과정이며, 규정에 따라 배변 습관을 키우고 하루 한 번 화장실에 가도록 조언. 1회 치료 후 3~4일에 한 번씩 배변할 수 있었고 배변이 원활해짐

 

-지구와 상거허를 주치료로 한 변비증례

남자, 27세의 李모씨, 1976년 11월 25일 병원에 입원. "좌골신경통"으로 병원에 입원해는데 변비 증상을 보임. 

진찰: 혀가 붉고, 두껍고 기름진 노란 털, 맥박이 가늘고 빠르다.

취혈: 지구, 상거허

조작: 위 2혈에 사법의 침. 20분 유침, 1회 침술 후, 환자는 같은 날 오후에 배변을 했고, 편안함을 느꼈다. 그는 한 달 이상 입원했고, 다시는 변비로 고생하지 않았다.

주: 이 병은 热秘型에 속하며, 치료 원리는 열을 제거하고 장을 윤택하게 하는 것이며,지구를 비록 수소양삼초경의 경혈을 취한다. 삼초의 불을 제거하고 변비를 완화하는 기능이 있다. 변비를 치료하는 중요한 경혈로, 대장경의 상거허와 하거허혈이 있다. 내경에 "내장의 부를 합치한다"고 되어 있으며, 위경의 관할 하에 있으므로 위와 장의 과도한 열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다. 두 혈은 서로 보완되므로 효과적이다.

 

*침술은 이 질환에 좋은 효과가 있다. 치료의 핵심은 침술 기술이다. 침 감각이 강해야 한다.  비교적 강한 痰、麻、重、胀、热感이 없으면 효과가 좋지 않다. 물을 더 많이 마시고, 야채와 과일을 더 많이 먹고, 매운 음식과 자극적인 음식을 덜 먹는 등 식단과 생활 습관의 조정이 요구된다. 적절한 신체 활동을 하고, 오랫동안 앉거나 눕지 말고, 제때 배변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한다.

 

대장 전도 기능의 약화로, 위장의 적열, 기기울체, 기혈음양 허쇠, 음탈응결 등의 증

장중경은 한, 열, 허 실의 부조를 병기로 언급

이동탄은 음식노일(劳逸)과 변비의 관계를 강조. 

程钟龄《医学心悟·大便不通》에는, 实秘、虚秘、热秘、冷秘 4종으로 구분

 

* 岐黄针의 활용

<천추, 기해, 비수>, <대거, 대장수, 기해수>를 교대로 사용

주 2회

 

-천추/ 변비 치료의 기본혈. 대장기의 집합점이자 위장관을 양쪽으로 조절. 통상이 변비에 자주 활용(약 90%). 임상연구에서 대장 운동성을 촉진한다고

-기해/ 시부에 소장, 표층에 상복 동정맥 분지와 하복부 동정맥의 가지가 분포. 설사, 요실금 치료의 효과. 위기를 보하고 비기를 올려주고 원활하게 해준다고.. 

-대거/ 천추하 2촌. 복직근이 있고 11늑간 동정맥의 가지. 하복벽 동정맥의 외측이다. 11늑간신경도 분포, 안쪽으로 소장. 하복의 팽창, 배뇨곤란을 치료

-비수/ 11늑간 동정맥의 후가지, 11후 흉추신경 후지, 광배근. 비위 질환의 치료. 비위는 후천성 체질의 기초가 되는, 기혈의 근원. 비수는 위 질환과 사지 허약을 치료, 비기를 보하고 강화. 비신의 양기 허약의 변비(노화)에 효과

-기해수. 기혈 순환 촉진. 2요추 동정맥의 후가지, 2요추신경의 후지, 깊게는 1요추신경총. 후천성 기의 보양

-대장수/ 4요추 동정맥 후가지 3요추신경 피지, 깊게는 요추신경총. 복부 팽창, 설사, 변비에 효과. 위장관 운동성 개선으로 변비 완화

 

*차료 중료 하료의 팔료혈 활용(沈怡婷 외,  八髎穴治疗疑难病症验案三则)

자침 시 항문으로의 침감 득기. 30분 유침(중간에 작탁 등 운침 활용). 골반 장기의 조절에 유효

장운동을 촉진하여 배변을 원활하게 하고 장폐색, 복부팽창, 복통 등의 증상을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