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 치매의 침구치료
(脳梗塞が引き起こす軽度認知症に、「鍼灸」を併用した治療が効果を示す)
*ノウナウ/ 2016.10.12
http://www.nounow.jp/dementia/3029/
중국 天津中医薬大学, 침구 부문 Wang박사 등 연구진이 2016년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혈관성 치매(인지증)'에 침구 치료를 병용하면 약물로만 치료하는 경우 보다 인지기능의 회복에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치매 치료에 침술?
왕박사팀이 실시한 무작위 비교시험의 대상자는 보름에서 반년 사이에 뇌경색을 일으켜 가벼운 정도의 치매 증상을 보인, 50세에서 80세의 126명이다. 대상자는 무작위로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첫 번째 그룹에는 칼슘길항제 "니모디핀"만으로 치료하고, 두 번째 그룹은 침 시술만 하였고, 세 번째 그룹에는 이 두 치료를 병행하였다. 치료 기간은 각각 3개월이다.
치료 시작 전과 치료기간 종료 후, 인지 기능 테스트 성적을 비교 한 결과, 어느 그룹도 치료 기간 종료 후에 테스트의 성적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그룹간에 비교하면 약물과 침구 치료를 병용한 그룹은 다른 그룹 보다 인지 기능이 현저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된 사람의 비율이 가장 많았던 것도 약물과 침구 치료를 병용한 그룹이었다.
또한 치료 기간이 지난고 난 3개월 후 다시 인지기능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개선된 인지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관성 치매란?
뇌경색이나 뇌출혈이 발단이 되어 이후에 발생하기 쉬운 치매가 '혈관성 치매'이다. 뇌경색을 일으키는 약 30% 가까운 환자가 4년 이내에 경증의 치매 또는 치매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혈관성치매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병발하는 경우가 많아 정상적인 치료는 알츠하이머 병에 사용되는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니모디핀(Nimodipine)"는 혈관을 확장하여 혈류를 촉진하는 기능이 있다. 예를 들어 지주막하 출혈의 경우에는 혈관이 움출어 들어 혈액이 흐르지 못하게 됨으로써 심각한 신경 장애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지주막하 출혈을 일으킨 후 96시간 이내에 니모디핀를 투여하면 이러한 심각한 장애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중국이나 유럽에서는 혈관성 치매의 치료에도 니모디핀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중국에서는 침구 치료의 연구도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번 병용 연구가 진행되었다.
침술의 효과 메카니즘?
치매에 대한 침구치료는 어떻게 효과를 가져올까? 경증의 치매 증상을 보이는 쥐를 사용한 실험에서는 침술을 실시하면 해마의 기억에 관련된 단백질의 합성이 촉진되어 기억력이 향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해마의 CA1라 불리는 영역의 신경세포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치매의 치료는 현재 특효약이나 확립된 치료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번 연구에서처럼 제각기 달라 보이는 치료법의 장점을 합친다면,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예는 향후 더욱 늘어날 것이다.
*(역자주) "니모디핀(Nimodipine)"은 칼슘길항제(calcium channel blocker , CCB)으로 혈관 평활근의 칼슘 채널의 기능을 길항(억제)하고 혈관확장 작용을 나타내는 약물을 말하며, 고혈압, 협심증 등에 사용된다
(*芝雲 譯)
'동의학 이야기 > 해외 동의학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복통을 침술로 치료할 수 있을까? .. 영국 (0) | 2017.11.29 |
---|---|
침의 불안 해소 작용.. 영국 (0) | 2017.11.27 |
침술, 그 이면의 과학.. 미국 (0) | 2017.11.27 |
침/뜸 치료는 어디에 좋을까? ..일본경제신문 (0) | 2017.11.24 |
부교감신경 활성법.. (0) | 2017.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