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암이야기

메벤다졸의 항암기전(그림)

지운이 2019. 11. 15. 16:38

그림으로 보는 메벤다졸의 항암기전

 

 

 

 

 

 

위 그림을 통해 메벤다졸의 항암 메카니즘을 정리하자면..

 

- 세포분열 시 복제된 DNA(염색체)는 미세소관에 의해 각각의 세포로 나뉘게 된다(①).

 

- 미세소관은 α튜부린와 β튜부린이 결합한 이종이량체를 기본 단위로 구성되어 튜부린 이종이량체가 섬유상으로 연결된 것을 프로토 필라멘트라고 부르며, 이것이 13개 모여 관 구조(직경 25nm)를 이룬 것이 미세소관이다. 메벤다졸은 튜부린에 결합하여 미세소관의 중합을 억제하고 세포 분열의 M기를 정지시켜 세포사멸을 일으킨다(②).

 

- 혈관 내피세포의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2(VEGFR-2)에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VEGF)가 결합하면 VEGFR-2는 이량체를 형성하고, 티로신키나제 도메인에 존재하는 티로신 잔기의 자기 인산화가 발생하여, 세포 내 신호전달계가 활성화되어 혈관 내피세포의 증식 및 혈관 형성이 촉진되어 혈관 신생을 촉진한다(③).

 

- 메벤다졸은 VEGFR-2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혈관 신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④).

 

- Wnt 수용체의 Frizzled와 LRP5/6에 결합하여 Wnt 신호가 활성화되면 β-카테닌이 세포질 내에서 증가하고 핵 내로 이동하여 전사인자의 TCF에 결합하여 β-카테닌/TCF의 타겟 유전자(c-myc 및 사이클린 D1 등)의 전사를 촉진하여 세포의 증식을 항진시킨다(⑤).

 

- 메벤다졸은 TCF를 활성화하는 키나제의 TNIK(Traf2- and Nck-interacting kinase)를 억제하여 TCF의 전사 활성을 억제한다(⑥).

 

- 이렇게 메벤다졸은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芝雲 정리) 

 

 

*<銀座東京클리닉(일본)>에서..

(https://blog.goo.ne.jp/kfukuda_ginzaclinic/e/84bc23d96b106a21b463269a0c898aab)

 

 

참조

구충제 메벤다졸의 항암기전

구충제 메벤다졸의 함암효과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