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암이야기

췌장암의 이해(2) : 혈당강하제 ‘메트포르민’의 항암효과

지운이 2019. 12. 2. 16:47

췌장암의 이해(2) : 혈당강하제 ‘메트포르민’의 항암효과

 

 

혈당강하제 ‘메트포르민’의 항암효과

 

혈당강하제로 ‘메트포르민’이라는 약물이 있다. 이 약물은 미토콘드리아에서 이루어지는 ATP 생산을 저해하여 체내 ATP 양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렇게 되면 우리 몸은 ATP를 늘리기 위해 포도당의 분해(이화)를 촉진하고, 포도당 신생합성(동화)을 억제하기 때문에 혈당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런데 메트포르민이 혈당강하제로 사용되어 온 가운데, 암 예방 및 항암에도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005년에 메타포르빈을 복용한 제 2형 당뇨병 환자 그룹에서 모든 암의 발생률이 저하되었다는 연구보고가 있었고(British Medical Journal 330 : 1304-1305, 2005), 2009년에는 메트포르민이 당뇨병 환자의 췌장암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되기도 하였다(미국 텍사스대학 MD앤더슨암센터, Gastroenterology 137 : 482-488, 2009)고 한다.또한 메트포르민 복용으로 위암, 대장 암, 간암, 췌장암 등의 발병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는 보고도 있다(BMC Cancer 2011 Jan 18 : 11 (1) : 20). 


 

최근의 메타분석에서는 모든 종류의 암을 대상으로 메트포르민의 사용이 암의 발생률을 31% 감소시켜 암 사망을 34%나 감소시켰다는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Metformin and cancer risk and mortality :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taking into account biases and confounders. Cancer Prev Res. 7 : 867-885, 2014).

 

많은 암에서 메트포르민의 암 예방 효과와 항암 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비당뇨병 암 환자에 대한 메트포르민의 항암작용에 대해서도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메트포르민이 암 세포와 암 줄기 세포의 항암제 감수성을 높이는 작용, 전이를 억제하는 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 중 메트포르민을 동시에 복용하면 종양 축소 효과가 높아진다는 것이 유방암과 식도암과 대장 암 등 많은 암에서 확인되고 있다.

 

혈당강하제 메트포르민의 항암작용의 메카니즘 이해

 

메트포르민의 항암 효과의 메커니즘은 간접작용과 직접행동으로 나누어 설명된다.

1) 메트포르민은 간에서 포도당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인슐린과 인슐린유사 성장인자-1(IGF-1) 의 분비를 저하시켜 인슐린/IGF-1 의존성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간접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2) 미토콘드리아 호흡효소복합체I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저해함으로써 산화적 인산화 및 물질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 ATP 생산 감소에 의해 AMP활성화 프로틴키나아제(AMPK)를 활성화하면 mTORC1 신호전달계가 억제되고, 이는 저산소유도인자-1(HIF-1)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직접적인 항종양 효과를 나타낸다고 한다. 또한 암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포도당과 글루타민의 이용을 저해하여 물질합성을 억제하는 효과도 보고되고 있다.

 

또 메트포르민이 췌장암을 억제하는 작용과 관련한 연구도 있다.

(*Metformin Reduces Desmoplasia in Pancreatic Cancer by Reprogramming Stellate Cells and Tumor-Associated Macrophages(메트포르민이 膵星細胞 및 종양 관련 마크로파지를 재구성하여 췌장암의 경합조직 증식을 줄여준다)PLoS one. 2015; 10(12))

 

즉 메트포르민이 膵星세포 및 종양 관련 대식세포를 조절하여 비만 또는 당뇨병이 췌장암 환자의 암 조직의 섬유화나 염증성 미세환경을 완화함으로써 질병의 진행을 억제한다는 것이다. 비만 및 당뇨병이 있는 췌장암 환자의 치료전략의 일환으로 메트포르민의 효과에 대해 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 강조된다.

 

또 다른 연구는 메트포르민에 의한 AMP활성화 프로틴키나아제(AMPK) 활성화가 췌장암 조직의 결합조직의 생성을 억제한다고 한다. 따라서 종양의 성장이 억제된다는 주장이다.

(*Desmoplasia suppression by metformin-mediated AMPK activation inhibits pancreatic cancer progression (메트포르민에 의한 AMPK 활성화에 의한 결합 조직 증가 생의 억제는 췌장암의 진행을 저지하는) Cancer Lett. 2017 Jan 28; 385 : 225-233)

 

더 나아가 메트포르민이 당뇨병의 유무와 관계없이 AMPK의 활성화에 의해 췌장암 간질의 결합조직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 비타민D 병용이 AMPK의 활성화에 시너지효과를 가져온다는 보고도 있다.

Metformin suppresses cancer initiation and progression in genetic mouse models of pancreatic cancer (메트포르민은 췌장암의 유전자 변형 마우스의 실험 모델에서 암의 발생과 진행을 억제) Mol Cancer . 2017; 16 : 131)

 

요컨대 혈당강하제인 메트포르민을 활용한 췌장암 예방 치료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에 주목하자는 것이다.

 

 

 

*블로그의 다른 글 "췌장암의 이해(1) : 그 특징"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