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성가 (藥性歌)
藥性歌 / 康命吉(朝鮮) 編撰 筆寫本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 1冊(26張); 25.2 x 19.8cm
1799년(정조 23) 내의원 수의(首醫) 강명길 (康命吉, 1737-1801)이 왕명으로 저술한 �제중 신편(濟衆新編)�8권 5책 중 8권의 약성가 부분만 별도로 필사하여 1책으로 엮은 것이다.
강명길의 자는 군석(君錫), 본관은 승평(昇平), 양주목사(楊州牧使)를 역임하고, 숭록대부와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정조(正祖) 때 전의(典醫)가 되어 정조 18년(1794) 11월과 24년(1800) 6월에 수의(首醫)로서 정조의 병을 치료하였으나 완쾌되지 못하고 사망하자 순조 1년(1801)에 그 책임으로 동료의관들과 함께 사형을 당하였다. 그의 저서로는 �제중신편�외에 �통현집(通玄集)�5책이 필사본으로 전한다.
강명길은 명대(明代) 공정현(龔廷賢, 1522-1619)의 �만병회춘(萬病回春)�(1587), �수세보원(壽世保 元)�에서 인용한 약성가 303수에다 저자 본인이 83수를 증보하여 총 386수로 구성하였다.
내용은 인삼(人蔘), 황기(黃芪), 백출(白朮), 복령(茯笭), 감초(甘草), 당귀(當歸), 천궁(川芎) 등의 약 성과 효능을 사언절구(四言絶句)로 표현한 다음 각각의 용도와 사용법 등을 설명하고 있으며, 약재마다 한글로 표기하였다.
저자가 증보한 83종은 오적어(烏賊魚, 오징어), 방어(魴魚), 여어(蠡魚), 교어(鮫魚), 궐어(鱖魚), 석어 (石魚), 치어(鯔魚), 노어(鱸魚), 점어(鮎魚), 비목어(比目魚, 가자미), 공어(䱋魚, 가오리), 하돈(河豚, 복), 대구어(大口魚), 팔초(八梢), 소팔초어(小八梢魚), 연어(鰱魚), 백어(白魚), 은조어(銀條魚), 범제어자 (凡諸魚鮓), 범제어회(凡諸魚膾), 석결명육(石決明肉, 생복), 해(蟹, 게), 정(蟶, 맛), 담채(淡菜, 홍합), 해삼 (海蔘), 와롱육(瓦壟肉), 하(鰕), 해채(海菜), 해대(海帶, 다시마), 곤포(昆布), 감태(甘苔), 녹각채(鹿角菜, 청각), 대두(大豆), 적두(赤豆), 속미(粟米), 나미(糯米, 찹쌀), 청양(靑梁), 황양(黃梁), 서미(黍米, 기장 쌀), 직미(稷米, 피쌀), 소맥(小麥), 대맥(大麥), 교맥(蕎麥), 출촉(秫薥, 수수), 임자(荏子, 들깨), 장(醬), 두부(豆腐), 작육(雀肉), 치육(雉肉), 순육(鶉肉, 메추라기), 단육(猯肉, 오소리고기), 감자(柑子), 유자(柚 子), 포도(葡萄), 앵욱(櫻薁), 율자(栗子), 앵도(櫻桃), 여지(荔枝), 이실(李實), 미후도(獼猴桃, 다래), 해 송자(海松子), 진자(榛子), 우자(芋子, 토란), 만청(蔓菁, 순무), 내복(萊菔, 단무), 숭채(菘菜), 죽순(竹 筍), 서과(西瓜), 첨과(甛瓜), 동과(冬瓜), 호과(胡瓜), 남과(南瓜), 사과(絲瓜), 와거(萵苣, 상치), 가자(茄子), 수근(水芹, 미나리), 궐채(蕨菜), 목숙(苜蓿), 인동(忍冬), 감저(甘藷), 해동피(海桐皮), 황매(黃梅), 연초(煙草) 등이다. 종류별로 보면 어류(魚類), 무린어(無鱗魚), 방합류(蚌蛤類), 원금(原禽), 숙두(菽豆 類), 마맥도(麻麥稻), 산과(山果), 과채(瓜菜) 순으로 나열하였다.
본 약성가(藥性歌)는 �제중신편�의 8권의 내용이지만 간행된 이후 별도로 분책(分冊)되어 계속해서 많은 의원들에게 애송(愛誦)되어 왔다. 1884년에는 황도연(黃度淵, 1807-1884)이 사언절구(四言絶句)인 386수 를 총510수로 증보하여 �방약합편(方藥合編)�의 「손익본초(損益本草)」에 칠언절구(七言絶句)로 발표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 책은 사언절구(四言絶句)의 특징을 지니고 있고, 당시에 사용된 한글표기가 그대로 남아 있으므로 본초연구는 물론 한글연구에도 가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김중권)
'동의학 이야기 > 古醫書 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평혜민화제국방 (太平惠民和劑局方) (0) | 2020.05.05 |
---|---|
침구신묘방 (鍼灸神妙方) (0) | 2020.05.05 |
약성가 (藥性歌) (0) | 2020.05.05 |
제중신편 (濟衆新編) (0) | 2020.05.05 |
제생보결 (濟生寶訣) (0) | 2020.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