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방합편(醫方合編)
醫方合編 筆寫本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 3冊; 34.9 x 23.2cm
이 책은 저자나 필사자를 알 수 없으나 <삼의방(三意方)>, <촌가구급방(村家救急方)>, <경험방(經驗方)>, <잡방(雜方)> 등을 합편하여 모두 3책으로 편찬한 한의서이다.
<삼의방>은 <삼의일험방(三意一驗方)>이라고도 하는데 잘 알려지지 않는 의서이며, <촌가구급방>은 조선조 중종 33년(1538) 6월에 김안국(金安國, 1478-1543)의 동생인 사재(思齋) 김정국(金正國, 1485-1541)이 고양(高陽)의 망동 (芒洞)에서 저술하여 전라감사로 있을 때 현 전라북도 남원 (南原)에서 간행한 의서이다. <경험방>은 이석간(李碩幹), 채득기(蔡得己), 박렴(朴濂), 허임(許任) 등의 경험방과 <본초(本草)>, <동의보감(東醫寶鑑)>, <문견방(聞見方)� 등을 인용하여 편찬한 �사의경험방(四醫經驗方)�을 말한다. �잡방 (雜方)�은 저자의 임상경험방을 모아 놓은 것을 말한다.
내용은 1책에는 두부(頭部), 면부(面部), 이부(耳部), 목 부(目部), 비부(鼻部), 구부(口部), 치문(齒門), 인후부(咽喉部), 성음부(聲音部), 함협항부(頷頰項部), 흉부(胸部), 심부 (心部), 복부(腹部), 음식부(飮食部), 견배부(肩背部), 요부 (腰部), 신부(身部), 수부(手部), 족슬부(足膝部) 등 18부 1문 으로 구분하여 인체의 형태별로 다양한 병증과 처방을 밝혔 다. 2책에서는 풍부(風府), 궐역부(厥逆部), 광란부(狂癎部), 학질부(瘧疾部), 대소변부(大小便部), 산부(疝部), 치질부 (痔疾部), 곽란부(癨亂部), 해수부(咳嗽部), 담음부(痰飮部) 등 10부로 나누었으며, 3책에서는 두역문(痘疫門), 창종문 (瘡腫門), 중독 및 제상부(中毒及諸傷部), 제상부(諸傷部), 조양문(調養門), 구황벽곡방(救荒辟穀方), 구황방(救荒方), 양주방(釀酒方), 육마육축병(六馬六畜病), 잡방(雜方) 3문 2부와 처방을 상세히 다루었다. 구황벽곡방에서는 잡방을 인용하여 구황약품으로 여의초(如意草), 사계용흑두(四季用黑豆), 밀(蜜), 백면(白麪), 소황미(小黃米), 향유(香油), 백복령(白茯苓), 지마(芝麻), 감초(甘草), 천문동(天門冬), 숙지황(熟地黃), 적송환(赤松丸), 연지법(煉脂法), 복복령법(服茯苓法), 연뿌리와 꿀과 함께먹는 방법[藕與蜜同食], 갱속미(粳粟米) 등 16종의 단방약을 소개하였으며, 구황방(救荒方)에서는 굶어 죽어 가는 사람 살리는 방법, 솔잎가루 내는 방법, 곡식가루 내는 방법 등 12종의 구황법을 나열하였으며, 양주방(釀酒方)에서는 �삼의방�과 �사의경험방(四醫 經驗方)�을 참고하여 녹파주(綠波酒), 벽향주(碧香酒), 부의주(浮蟻酒), 일일주(一日酒), 잡곡주(雜穀酒), 화향입주법(花香入酒法) 등 29종 이상의 술 담그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잡방(雜方)에서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상식이나 간단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단방약들을 소개하였다.
표지에는 ‘의방합편(醫方合編)’ 이라고 세로로 묵서되었으며, 표지 뒷면에는 조선총독부 도서관 등록일자와 번호(소화17년 12. 15. 古24022)가 묵인 되어 있고, 각 책마다 목록이 있다. 목록에서는 각 부와 병 명에 인용서를 병기하였으며, 1책 목록 끝 부분에는 �촌가구급방�서문을 삽입하였다. 목록에 나와 있는 각 항목에 있어서는 인용서별로 먼저 밝히고 병증을 나열하였으며, 문장에 있어서는 사의(四醫)의 경험방이나 타 의서를 인용했을 때 반드시 그 서명의 첫 자 아니면 저자의 성을 말미에 밝혀놓아 서로 비교해서 볼 수 있도록 편집한 것이 특징이다.
본 해제본은 저자의 경험방은 물론 기존의 의방들의 중요한 병증과 처방을 모아 저술하면서 각 인용서를 정확히 밝힘으로 인해 알려지지 않은 의서 등을 복원하는데 상당히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며, 특히 술 담그는 방법을 다양한 재료로 소개한 바 민속주 연구에도 활용가치가 높다하겠다. (김중권)
'동의학 이야기 > 古醫書 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덕총요 (入德總要) (0) | 2020.05.09 |
---|---|
의학대서 (醫學大書) (0) | 2020.05.09 |
의방합편 (醫方合編) (0) | 2020.05.09 |
의림촬요속집 (醫林撮要續集) (0) | 2020.05.09 |
요람별방 (要覽別方) (0) | 2020.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