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자료는 다소 시간이 경과된 것이기는 하나, 미국의 침술 현황과 관련 제도 전반에 대해 개관하고 있다. 자료는 아래 일본의 침구의료보급기구 사이트에 게재된 것이다.
(*일본, 침구의료보급기구/The Japanese Association for Promoting Medical Care by Acupuncture and Moxibustion, https://harikyuiryo.or.jp/)
6. 미군과 침술 Acupuncture and the US Military
6-1. 미군에서 침술이 퍼진 경위
Acupuncture in the U.S Armed Forces: A Brief History and Review of Current Educational Approaches에서
미군에서는 1965년 2명의 군의관이 베트남 병원에서 침을 사용한 보고가 있다. 침이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의사를 위한 침(medical acupuncture)을 연수받은 방사선 종양의사인 Niemtzow가 1995년 공군병원에 첫 침술 클리닉(military medical acupuncture clinic)을 설치하면서 높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국방부 유방암 컨퍼런스에서 수행한 유방암에 대한 침의 역할에 대한 강의가 호평을 받아 Niemtzow는 국방부의 첫 번째 상근 군의 침 시술자(military medical acupuncturist)가 되었고, 2002년에는 Andrews 공군기지에 상설로 의사의 침 진료소(medical acupuncture clinic)가 개설되었다. 여기서 Niemtzow들은 복합성 동통증후군의 침 효과를 계발 보급시켜 공군군의총감의 주목을 받고 귀환병사들의 동통관리에 이용되게 되었으며, 나아가 2009년에는 44명의 군의관 침 시술자에게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하게 되었다.공군, 육군, 해군에서 이 강습회에 파견된 수강생들은 넓은 영역에서 의학전문가로 활동했다.
이 시범적인 프로그램으로 침의 효과로 평가된 것은 1진통, 2전장에서의 마약성 진통제 의존 개선, 3전장의 심한 부상자에 대한 외상성 뇌손상 조기 판단 촉진 등. 그리고 이에 따라 여러 환경의 배속처에서 의학의 보조로서 침을 실천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는 전장 등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조정한 300시간의 침 기본 평생교육이 군의관에게 이뤄지고 있다. 공군에서는 의료업무 중 신경구조를 기초로 한 '전장 침술'(battlefield acupuncture*) 기술을 포함한 단시간 교육을 하고 있다. 군인보건과학대 의학교 4학년 의학생들은 현대군진의학에서의 침술의 역할을 체험하고 있다. 또, 선택 과목으로서 Andrews 공군 기지의 보완대체의료 클리닉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헌
Arnyce R. Pock. Acupuncture in the U.S Armed Forces: A Brief History and Review of Current Educational Approaches. Medical Acupuncture. 2011;23(4):205-8
http://www.google.co.jp/url?sa=t&rct=j&q=&esrc=s&source=web&cd=4&ved=0ahUKEwjImviskM7QAhWJvrwKHTV4BqsQFgg3MAM&url=http%3A%2F%2Fwww.dtic.mil%2Fcgi-bin%2FGetTRDoc%3FAD%3DADA554535&usg=AFQjCNHQgD5oe2lBZ1ZWGpzcBgYkfBZWPg&sig2=KoDtAYIU-TdoLrHTO6jyEA&bvm=bv.139782543,d.dGc (2016-11-30)
(보충) *전장 침술(battlefield acupuncture)
공군의 군의관인 Colonel Niemtzow가 2001년에 이름 붙인 침법으로 동통관리에 유용하다고 알려진 귀 부위에 침을 놓는다. 귀는 전쟁터나 병상에서 자침하기 쉽고, 즉효를 위해 미군 군의관을 대상으로 한 침 평생교육에서도 교육되고 있다.
참고 문헌
Richard C. Niemtzow. Battlefield Acupuncture. Medical Acupuncture. 2007;19(4):225-8
http://online.liebertpub.com/doi/pdf/10.1089/acu.2007.0603 (2016-11-29)
6-2. 미군 의료시설에서의 침 이용
Valerie F. Williams, Leslie L. Clark, Mark G. McNellis. Use of Complementary Health Approaches at Military Treatment Facilities, Active
Component, U.S. Armed Forces, 2010 – 2015. Medical Surveillance Monthly Report. 2016; 23 (7): 9-22에서 인용
http://www.health.mil/Military-Health-Topics/Health-Readiness/Armed-Forces-Health-Surveillance-Branch/Reports-and-Publications/Medical-Surveillance-Monthly-Report/View-Past-Reports (2016-11-29)
방법
조사 기간은 2010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미국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에 속하는 개인을 대상으로 방위의료감시시스템에 저장된 조사 기간의 입원외래 기록을 조사했다. 시스템에서는 보완대체의료의 시술로는 침술, 카이로프랙틱/오스테오퍼시, 바이오피드백으로 분류되어 기록되어 있다. 분석은 미군 의료시설의 진찰에 한정해 분석하고 있어 민간 시설의 진찰은 포함되지 않았다.
결과
6년간 미군 의료시설을 진료한 2,410,729명 중 14.9%(358.394명)가 보완대체의료를 받고 있었다. 12.8% 307,897명이 카이로프랙틱/오스테오파시를 받았고, 약 2%, 46,950명이 침을 맞고 있었다(그림 1).
침의 치료횟수(1년간 100명당 진료횟수)는 2010년부터 2015년에 걸쳐 4배로 증가했다(그림 2). 연령이 높고(그림 3), 군의 계급이 높으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그림 4), 침의 시술비율이 높았으며 군대 내에서는 여성 및 헬스케어 관련 직종에서 시술비율이 높았다.
총 240개 군 시설 중 78.8%에서 침을 처치하고 있었다. 또 침 시술이 많은 상위 20개 시설에서는 침 시술이 76.7%를 차지했다.
침 시술자의 첫 진단명으로 가장 많은 것은 '기타 특정불능의 등의 질환' 25.8%, 2위는 '급성, 만성동통' 10.4%였다. 3위는 적응반응 7.4%였다.
그림 1 미군 의료시설에서의 보완대체 처치의 의료자수(2010년-2015년) 인용문헌인 TABLE 2에서 작성
그림 2 미군 의료시설에서의 침수료 횟수의 경시 변화 인용문헌인 TABLE 4에서 작성
그림3 미군 의료시설에서의 연령계급별 시설수료자 비율(2010-2015) 인용문헌인 TABLE 2에서 작성
그림4 미군 의료시설 의료자의 교육 수준별 침수료 비율(2010년-2015년)인용 문헌인 TABLE 2에서 작성
'동의학 이야기 > 해외 동의학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형코로나의 동의학 치료/ 에디오피아 (0) | 2020.06.25 |
---|---|
영국에서 침술 현황 (0) | 2020.05.26 |
미국의 침술 현황(5) 의사에 의한 침 시술 (0) | 2020.05.18 |
미국의 침술 현황(4) 물리치료사에 의한 침 시술 (0) | 2020.05.18 |
미국의 침술현황(3) 임상면허자 수 (0) | 2020.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