易學大盜傳/ 학문 팔아 먹는 큰 도적에 대한 傳
世降衰季 세강쇠계
崇飾虛僞 숭식허위
詩發含珠 시발함주
愿賊亂紫 원적난자
逕捷終南 경첩종남
從古以醜 종고이괴
*원할 원,
세상이 말세로 떨어져
허위만 숭상하고 꾸미네
시를 읊으며 함주나 기대하고
도적질이나 바라며 예를 어지럽히네
쉽게 벼슬길에 오르려 하니
예로부터 추하게 여겨왔었네
*박지원 朴趾源, 1737~1805
*放璚閣外傳(방경각외전, 박지원)ᆢ 外傳이라하여 주로 하층민들의 이야기를 傳으로 적은 것(소설). 그중 하나인 易學大盜傳은 自序(서문)에만 있고 본문은 소실. 타락한 유학자를 지칭한 듯 함
*含珠ᆢ 입에 물고 있는 구슬이니 ᆢ용이 물고 있는 구슬로 선물을 의미하기도 하고, 시신을 묻을 때 입에 물려주는 것으로 이것을 훔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亂紫의 紫는 예복 관복을 의미
*終南捷經종남첩경ᆢ 쉽게 벼슬길에 오르려 함
'도전 한시읽기 > 오늘의 한시(2020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6/4일, 꽃 지는 때ᆢ -懸鶉老人 (0) | 2020.06.04 |
---|---|
6/3일, 해당화ᆢ -李原 (0) | 2020.06.03 |
6/1일, 새벽ᆢ -李山海 (0) | 2020.06.01 |
5/29일, 阮郞歸(완랑귀).. -李植 (0) | 2020.05.29 |
5/28일, 멋진 흥취ᆢ -尹善道 (0) | 2020.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