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중국 침구 이야기

고대 중국의 침술에 대한 의문?

지운이 2020. 7. 24. 17:17

고대 중국의 침술 : 실제 얼마나 중시되었을까?

 

Acupuncture needles found in Ming dynasty tomb (replica), Dojindo Museum, near Beijing, China,

 

*이 글은 다소 충격적일 만큼 동의학 전통침술의 근본을 뒤흔들려는 시도의 하나로 보이는 글이다. 저자가 동양인 아닌 독일의 자연요법 연구자여서 더욱 그러하다. 그는 고대 중국의 침술이란 중의학 전반에서 그 역할이 미미하였다고 주장하는 한편, 오늘날 중국의 침술이란 것이 전통 침술과는 거리가 먼 '새로운 침술'이라고 주장한다. 그 접근방법, 패트 체크 등의 면에서 시시비비가 될 만한 부분도 적지 않지만, 곰곰히 씹어볼 만한 측면도 없지 않다. 오늘날 중국의 침구가 '중서의결합'이라는 관점에 서 있어, 전통 침구술이 점점 희석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는데 실마리를 주는 측면도 있고, 이러한 입론이 침구의 폐기로 연결되기 보다는 '침구의 과학화'라는 관점에서의 침술 연구를 한층 자극하는 의미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 글은 침술을 괴멸시키고 싶어하는 자들에 의해 인용/활용되는 자료의 하나이기도 하므로, 잘 살펴 파악해 둘 가치가 있어 전문을 번역해 올려 둡니다. 

 

 

 

고대 중국의 침술 : 실제 얼마나 중시되었을까?

Acupuncture in ancient China: How important was it really?

/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January 2013, Vol.11, No.1

 

/ Hanjo Lehmann

  Deutsches Institut für TCM, Cranachstr. 1, D-12157 Berlin, Germany

 

 

 

침술 이론은 황제내경에서 매우 근본적인 부분에 해당하지만, 고대 중국에서 실제 침술요법의 임상 적용은 언제나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초기부터 침술이 해를 끼칠 수 있다는 경고가 있어 왔다. 장중경의 상한론과 같은 책에서는 침술이 극히 미미한 역할 밖에 하지 못한다. 중국 역사상 400명의 황제 가운데 침술이 적용된 경우는 거의 없다. 1757년 徐大椿과 같은 이가 침술을 "잃어버린 전통"이라고 한 후, 1822년 태의원에서 침술과 뜸을 폐지하게 되는데, 이는 급진적이지만 일관된 행동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1954년 이후 전통중의학이 부활했을 때의 '새로운 침술'은 고대 중국에서 있었던 것과는 완전히 달랐다. 그러나 이 결론은 긍정적인 것이다. 지금껏 침술이 가장 좋았던 시기는 송나라나 원나라가 아니라 지금이다. 그리고 침술의 미래는 오래된 대본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자신 속에 있다.

 

중국에서 적용되어 온 전통의학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항상 약물요법, 특히 대부분 약초요법이었다. 대부분의 서양 국가에서는 사정이 다르다 : 침술(이론적으로는 뜸을 포함하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침요법)이 가장 먼저 도입되었고, 전통 중의학(TCM)의 약물은 여전히 정치인과 의료 압력 단체의 심한 저항을 이겨내야 한다.

 

그러나 침술을 사용하고 가르치고 연구하는 데는 많은 의문을 제기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어떻게 하면 과학의학 교과과정에 침술을 접목시킬 수 있을까.

- TCM 이론에서 명백하게 쓸모없다고 여겨지는 부분들은 어떻게 제거할 수 있을가?

- 오래된 임상경험의 핵심을 침해하지 않고 어떻게 침술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을까.

 

물론 마지막 질문에는 한 가지 전제조건이 있다. 즉 이 "오래된 임상경험"이 실제로 존재하거나, 적어도 존재했는가 하는 점이다. 대부분의 TCM 부류의 사람들은 그것을 확신한다. 그러나 수백만의 신봉자들이 공유한다고 해도 그것만으로 증거가 되진 못한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의문을 낳는다 : 고대 중국에서 침술은 실제로 얼마나 중요했을까? 이론이나 책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1 돌, 침, 뜸

소문 12편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돌(폄석)요법은 동쪽에서, 약물요법은 서쪽에서, 그리고 뜸요법은 북쪽에서 왔고, 9침의 침술은 남쪽에서, 마사지와 신체운동은 중앙에서 나왔다고 한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의심받을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소문에서는 돌요법, 뜸요법, 침요법이 각기 완전히 다른 방법이라고 생각했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즉 각각 나라의 다른 지역에서 발명되고, 개발되고, 사용되어 온 것이다(그러므로, 이것이 곧 침술 “acupuncture”은 침뜸(침과 뜸)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경우 "침요법"만을 의미하는 하나의 이유이다). 그리고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야 한다.

 

-돌요법, 침, 뜸은 언제 어떻게 복합요법을 형성했을까.

-모두 처음부터 경락시스템과 관련을 가졌을까.

- 침술은 언제 중국 전역에 퍼졌는가, 그것은 정말일까.

- Paul Unsuld[1]가 추측하는 바와 같이, 침술은 원래 피를 뽑는 종류의 것이었는가?

- 아니면 루와 니덤[2]의 지적대로, 중국 침술은 결코 피를 뽑지 않았다는 것이 사실인가?

- 중국에서 약물 없이 침술만을 유일한 요법으로 삼았던 시대나 지역이 있었는가.

- 시대별, 지역별로 침 치료를 받은 환자의 비율이 어느 정도인가.

- 고대 중국에서 침술로 치료된 질병은 어떤 종류가 있나.

- 어떤 경혈이 사용되었나? 가장 자주 사용한 경혈이 오늘과 같은가?

- 한 번에 몇 개의 침을 사용했는가. 얼마나 깊게 자침했나?

- 어떤 조작 기법이 사용됐나. 침은 그 자리에 얼마나 오래 유침하였까?

- 침 세션은 몇 회 이루어졌나 - 한 번 또는 여러 번 또는 아주 많이

- 침으로 유발된 염증 및 화농에 관한 기록은 남아 있는가?

 

2. 책과 전설 – 임상적 현실, 그 수 및 비율에 관한 것은 거의 없음

 

불행히도 그러한 질문에 답하려는 책은 매우 드물고, 그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거의 없다. 承淡安의 《中国针灸学》[3]이나 Zhu Lian의 《新针灸学》[4]과 같은, 신중국의 아주 오랜된 저작도 아니다. 영어로 된 중국의 첫 번째 침술책인 중국 침술의 개요[5]도 아니다. 중국 침술의 핵심을 정리한[6] 혹은 침술 및 뜸의 전승자로서[7], 외국인들을 위해 정리된 두 번째 "공식" 교재도 아니다. 전통중의학의 14권짜리 실용 영-중 백과사전[8]도 아니다. 21권짜리 실용 영-중 중의학[9]도 아니다. 새로 편찬된 14권짜리 실용 영중 중의학도서관[10]도 아니다. 492쪽의 《针灸学》도 아니다[11]. 4권으로 된 《中国医学通史》도 아니다[12]. 992쪽의 《中国针灸学史》도 아니다[13].

 

이 모든 책에 제시된 침술의 역사는 거의 전적으로 사상, 저작, 그리고 유명한 침술사에 대한 역사이다. 하지만 그들은 우리에게 고대 의료 현실에 대해서는 거의 말해 주지 않는다. 만약 우리가 운이 좋다면, 우리의 TCM 책들은 우리에게 옛날의 여러 종류의 의료 종사자들에 대해 말해준다. 《周礼》에 따르면, 4종류의 의사, 즉 내과 의사, 즉 상처와 뼈를 다룬 이른바 ‘외과의사’, 영양사, 수의사[14]가 있었다고 한다. 또는 우리는 太医院에서 일하고 가르치는 황실의 의사들부터 약초를 섞어 만든 환약이나 탕약이 기적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문맹의 돌팔이의사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교육수준이 있었음을 듣게 된다.

하지만 숫자와 백분율은 어떨까? 그것을 알 수 있다면 그 시대에 대해 좀 현실적인 생각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당나라, 송나라,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때의 모든 의료인 가운데 학자는 어느 정도였을까? 얼마나 많은 의사가 약국에 고용되었는가? 스스로 돌아다니는 의사들은 몇 퍼센트였을까? 하루, 한 달, 일년에 평균적으로 벨 의사가 치료한 환자는 몇 명인가? 의료업에 종사하는 모든 남성들 중 몇 퍼센트가 글을 쓰고 읽을 줄 알았으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문맹이었을까? 그들이 평소 알고 있던 의학서적이나 대본은 몇 권이었을까? 당나라, 송나라,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때의 의료인 가운데 황제내경, 난경, 상한론 또는 다른 의학 고전을 아는 사람은 어느 정도였을까? 그리고, 이 에세이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이기도 한데, 그들 중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정기적으로 침술을 사용했을까?

불행히도, 나는 다음과 같이 진술하지 않을 수 없다 : 일반적인 침술 책들 중 어떤 것도 숫자, 양, 백분율에 대해 의미 있는 것을 말해주지 않는다. 추정치 조차도..

 

3 유물, 사실 그리고 상식

 

하지만 중요한 역사적 유물, 문서, 그리고 잘 알려진 사실들이 있다. 다른 질문들은 상식을 통해 답을 구할 수 있다.

 

시작해 보자. 이른바 "돌침"이다. 그리고 우리는 진술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돌들을 "침"이라고 부르는 것은 단지 희망적인 생각일 뿐이다. 그것은 종기를 여는 데 사용되었을 수도 있지만, "침술acupuncture"이라고 불리는 어떤 것으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1968년 서한릉에서 출토된 침이 있다. 거기서 발견된 은침은 썩어서 판단하기 힘들지만 금침은 이용 가능하다. 그 사진들은 많은 출처에서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中国针灸史图鉴》[15]이 있다. 이 금침은 지름이 1밀리미터가 넘으므로 삽입이 상당히 고통스러웠을 것이다. 이 침은 현대의 침술과는 전혀 다른 종류의 치료에 사용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영추에 언급된 "9침"이 있다. 분명히 그것들은 첫 장에서 그리고 또 78장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것이 그것들 모두가 정말 널리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될까? 다시 말하지만, 우리는 의심해야 할 이유가 있다. 한 가지 이유는, 그것들이 영추에서 필요했던 것은 임상적 필요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우주적 추측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9는 하늘과 땅에 있는 숫자로, 1에서 시작하고 9에서 끝난다. 첫 번째 종류의 침은 하늘의 예를 따르고, 두 번째 종류의 침은 지구의 예를 따르고, 세 번째 종류의 침은 인간의 예를 따르고 ... [16]

 

이상하게도, 그 9개의 바늘을 보여주는 삽화는 대개 명 왕조에서 온 것인데, 예를 들어 1601년[17년]에 출판된 《针灸大成》에서 나온 것이다. 거기에 나타난 세 개의 바늘(3번, 6번, 7번)은 길이만 다를 뿐 거의 똑같아 보여, 《针灸大成》의 저자인 杨继洲조차 그 '9개의 침'이 어땠는지 확실히 알 수 없지 않았을까 하는 인상을 준다. 침 사용에 관한 또 다른 측면은 상식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보통, 사람들은 고통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나 내가 말했듯이 지름 1밀리미터 이상의 침을 꽂는 것은 고통스러웠을 것이다. 그러나 진정한 편평한 침을 만들기 위해서는 진보된 강철 제조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그러나 제철업자들이 그런 좋은 침을 생산할 수 있었다 하더라도 당시에는 스테인리스강이 없었다. 그래서 그 편평한 바늘도 얼마간 사용한 다음에는 부식되어 원래의 부드러움을 잃었을 것이다.

 

4. 고대 침술은 환자에게 위험했다.

 

어떤 바늘을 사용하든 - 일단 피부에 구멍을 뚫으면, 항상 두 가지 위험이 있다. 첫째, 해부학적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깊은 구멍을 뚫을 경우 내부 구조나 내부 장기가 손상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둘째, 이러한 침은 대개 침도 피부도 소독하지 않아, 염증, 화농, 감염을 유발할 위험성이 있다.

 

비록 고대 사람들은 미생물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지만, 그들은 자침이 신체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아주 잘 알고 있었다. 예를 들어, 《针灸聚英》(1537)[18]은 철에 포함된 "독"에 대해 이야기한다. 독이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던 horse bits and bridles의 철을 권하고 있는데, 그것은 물론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듯이 단순한 희망이었다. 하지만, 언제나 몸에 삽입된 인공물에 대한 인간의 타고난 혐오가 있었는데, 물론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따라서 상식적으로 보자면, 고대 중국에서 침술이 표준요법이 되기 어려웠을 것으로 보이지만, 보통 특별한 경우를 위한 치료법이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소문 13장에서는 분명히 외과적 질환에 대한 침술을 보류하고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요즘 환자들은 내과적으로 약물로 치료받고 외과적으로 침술을 받는다(今世治病, 毒药治其内,针石治其外).

 

게다가, 항상 자침의 위험에 대한 경고가 있었다. 기원전 81년에 이르면 《盐论》에서는 무능한 의사들을 다음과 같이 비판한다. 그들은 병에 대한 최소한의 유용한 작용도 없이 무작위로 침을 찌르고, 오직 페쉬와 근육을 손상시키는 데만 성공한다[19].

 

그리고 王燾는 그의 《外台要》(752년 간행)에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침술은 건강한 사람을 죽일 수 있고, 죽은 사람을 되살릴 수는 없다. 만약 누군가가 이 기술을 채택하고 싶다면, 나는 그가 생명을 해칠까 두렵다. [따라서] 이 편집본에서는 침술 고전의 [기법]을 채택하지 않고 뜸만 채택한다.[20] 또는 루와 니덤이 요약한 바와 같이, 그러나 왜 어떤 의사들은 항상 이 기술을 두려워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왜냐하면 부주의하거나 무지한 취급으로 인해 신경줄기나 혈관을 뚫을 위험성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무의식적으로 병원성 세균에  감염될 위험성도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멸균의 필요성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었고, 모든 전문의가 체계적인 절차를 수행하지 않았다[21].

 

5. 고대 침술은 침술사에게 위험했다.

 

게다가 법적인 측면도 있었다. 그것은 항상 중요했지만, 부잣집 식구들을 치료할 때, 그리고 무엇보다도 황제와 그 가족을 치료할 때 결정적이었다.

 

우리가 알고 있듯이 고대 중국의 의사들은 환자가 죽으면 책임을 져야 했다. 황제가 중병을 앓았을 때, 누가 혼자서 책임지려 했겠는가? 환약과 탕제를 함께 사용하면 그 책임은 나눌 수 있다. 한 의사가 처방을 추천하면 다른 의사들은 각기 의견을 말할 것이다. 만약 그들이 동의한다면, 그들 역시 책임의 일부를 받아들였을 것이다. 침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정이 달랐다. 아무리 많은 의사들이 동의했더라도 침을 꽂는 것은 언제나 한 사람의 손이었다. 환자가 죽으면 이 손을 소유한 사람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누가 그런 짐을 기꺼이 짊어졌을까?

 

이상하게도 이런 측면은 우리 침술 책에서는 결코 논증되지 않는다. 나로서는 이것이 왕이나 왕자를 침술로 치료했던 유명한 의사의 이야기 대부분이 믿을 수 없다는 점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6. 상한론의 침술

 

고대 중국에서 침술이 갖는 부차적 역할은 고대 TCM의 최고 권위자 중 하나인 상한론으로 확인된다. 약 400개의 문장에서, 침술, 온침, 뜸 등이 약 30번 언급된다. 그러나 그 중 3분의 1은 추천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온침이나 뜸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경고였다. 그리고 온침을 추천하는 3개의 문장이 있다. 5개 문장은 뜸을 권한다. 그리고 내 계산이 정확하다면 398개 가운데 9문장만이 정상적인 침의 사용을 직접 권하였다.

 

위에서 나는 고대 중국에서 사용된 경락이 오늘의 그것과 같은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와 관련한 상한론의 선호는 놀랍다. 상한론에는 현대 침술의 3대 '빅 포인트'(ST36-족삼리, LI4-합곡, SP6-삼음교)의 어느 하나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가장 중요시된 포인트는 LR14-기문으로, 5회 추천한다(문장 108, 109, 143, 216, 171 등). 한 가지 예외(문장 171)를 제외하고 유일한 경혈로 추천하고 있다. 두 차례 추천된 경혈은 DU14-대추, BL13-폐수, BL18-간수이다. 한 차례 언급된 경혈은 GB20-풍지와 DU16-풍부이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말해도 과하지 않을 것이다. 비록 장중경이 침술의 이론과 적용에 대해 모든 것을 알고 있었을 것으로 보이지만, 그의 임상적 권고에서 침은 단지 미미한 역할만 할 뿐이다.

 

7 침술과 황제

 

다음 질문으로 가보자. 고대 중국에서 침술은 실제로 얼마나 중요했을까?

반대의 의견도 있을 수 있다 : 우리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당나라 때 병든 농민이 약초나 침술로 치료를 받았는지, 아니면 전혀 치료받지 못했는지를 누가 받아 적으려 했겠는가.

그러나 그런 보고가 적혀 있는 고귀한 가계도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중국의 황제들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내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면 중국 역사에는 단명했던 진나라부터 청나라 말기까지 모두 400여 명의 황제가 있었다. 어떤 황제들은 단지 며칠 동안만 통치했고, 그들 중 몇몇은 반세기 이상 통치하기도 했다. 황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었다. 그가 무엇을 하든, 공개적으로 말을 하든, 명령을 하든 모두 기록되었다. 그는 최고의 음식, 최고의 옷, 최고의 예술가, 가장 아름다운 후궁들 – 물론 최고의 의사들, 또는 적어도 최고라고 생각되는 사람들을 얻었다.

 

그렇다면 병든 황제를 치료할 때 침술은 어떻게 했을까?

그 대답은 절망적이지는 않지만 우울하다. 그 400명의 중국 황제들 중 한 명도 침술을 받은 적이 없는 것 같다. 중국 통치자가 침술 치료를 받았던 몇 안 되는 예로는 조조가 있다(자신을 '황제'라고 부르진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명의 황제로 간주할 만하다). 화타가 두통을 치료한 다음 조조는 그를 궁중 의사로 두기를 원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화타는 이를 거절했다. 그러나 이것은 화타가 복부 수술을 성공했다고 주장하는 이야기처럼 전설일 수도 있다.

 

그러나 침술을 정말 높이 평가한 황제가 한 명 있었다. 송나라 4대 황제 인종. 왕위에 오른 지 1년 후인 1023년에 궁중의사 王惟一은 침-뜸 치료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작성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게다가 왕 교수는 교육과 연구의 목적으로 저 유명한 침술동인형 모형을 만들었다.

그러나 침-술 편찬과 동인형 제작을 지시한 것이 과연 인종이었는지 의심할 만한 이유가 있다. 1010년에 태어난 인종은 황제가 되었을 때 12세 소년이었고, 王惟一이 침-뜸요법에 관한 일을 명령을 받았을 때는 13세였다. 그래서 아마도 王惟一에게 연구를 지시한 것은 왕후인 류씨이거나, 고관 중의 한 사람이었을 것이다.

 

8. Xu Xi는 황제의 심장 근처에 침을 꽂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종이 직접 침을 사용했다거나, 또는 자신의 몸에 침을 쓰게 했다는 두 가지 이야기가 있다. 놀랍게도, 대부분의 중국 침술 책에는 이들에 대한 언급이 없다.

 

첫 번째 이야기부터 보자. 1034년에 인종은 몸이 좋지 않았던 모양이다. 그의 주치의들이 반복적으로 약을 투여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백성의 가슴은 걱정과 공포로 가득 찼다. 허베이성 왕후는 Xu Xi[황제 치료를 위해]를 추천했다. Xu Xi는 황제를 진찰하고, "심장의 아래쪽과 심장 봉투 접합부 사이를 자침하면 회복이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방 안의 관찰자들은 그럴 수 없다고 다투었다. 몇 명의 궁중 인사들은 치료법을 시험하기 위해 자신들의 몸을 사용해 달라고 애원했다. Xu는 그들에게 자침을 했고 아무런 해악도 없었다. 그 뒤 Xu가 인종에게 자침했고, 황제의 병이 완치되었다. 그리고 그는 Xu에게 의학연구소로 출두하도록 명령하고, 그에게 붉은 겉옷과 장식품, 그리고 상금을 내려주었다. [22]

 

화타와 조조의 경우처럼 이 이야기 역시 어쩌면 전설일 것이다. 황제의 병증, 진단의 단서, 명확한 치료 정보(자침한 곳 포함)가 전혀 없는 것이 눈에 띈다. 1034년 인종은 24세였다. 이게 무슨 병이었을까? 그리고 만약 침술이 인종 황제의 생각에 그토록 지배적이었다면, 왜 그의 궁중 의사들 중 누구도 그것을 생각하지 못했을까? 왕후는 왜 외부인에게 제안해야 했을까?

 

이 시기에 가장 호평을 받았던 인종의 주치의로 유명한 王惟一는 어디에 있었을까? 그는 바로 몇 년 전에 침-뜸 치료와 저 유명한 동인형 제작에 대한 그의 위대한 업적을 끝마친 사람이었다. 그의 황제가 "몸이 좋지 않았을 때" 그는 어디에 있었을까?

 

아무래도 이 이야기는 요상스럽다. 의심의 여지 없이 분명한 한 가지는, 신료들이 심장에 가까운 황제의 몸에 침이 삽입되는 것을 두려워했다는 점이다. 그 외 나머지는 물론이고 용기조차도 의심스럽다. 침이 해를 끼칠까 봐 두려워하면서도 노예나 하인들에게 먼저 자침해 보지 않았을까? 게다가 위에서 제기된 의문도 남는다. Xu가 자침을 했을 때 비록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곤 하지만, 만약 침을 조금만 더 깊게 삽입했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지 누가 알았겠는가?

 

9. 인종 황제가 직접 자침을 했다.

 

두 번째 이야기는 더 이상하다. 1056년에 인종은 병이 나서 드러눕게 되었다. [그는] 스스로 뒤통수에 침을 꽂았다. 그는 침을 떼자마자 눈이 뜨이고 '머리가 맑아졌다(惺惺)'고 말했다. 다음날 황제는 기분이 좋았다. 그는 자신이 자침했던 경혈의 이름을 '머리 맑아짐' 또는 '惺惺'으로 정했다. [23]

 

황제 자신이 뒤통수에 침을 꽂고... 보이지도 않는 곳에... 정말 이상하다. 그는 어디서 침을 얻었는가? 주변에 놓여 있었을까? 그런데 황제는 무엇 때문에 의사를 두었을까? 만약 인종의 궁정에서 침술의 역할이 王惟一에 관한 이야기에서 우리에게 생각하는 것 만큼 정말로 중요하였다면, 모든 궁중 의사들은 침술을 할 줄 알았어야 하지 않을까?

 

이 이야기를 하는 골드슈미트는 다음과 같이 말하며 역시 의심을 품게 된다. 그것은 아마도 침술의 사용을 황제에게 적용하므로써 침술의 지위를 높이려는 시도일 것이다[23]. 나 역시 동의한다.

 

그리고 중국 역사상 나머지 400명의 황제들은? 만약 우리가 계속 수색을 한다면, 나는 여기 저기서 가끔 침술 치료를 받았던 몇몇 황제들에 대한 보고가 더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그러나 12개의 추가 보고서를 작성한다고 해도 이는 기본적인 사실을 바꿀 수 없다. 병든 황제를 치료할 때 고대 중국의 침술은 그 중요성이 극히 미미할 뿐이었다.

 

10. 침술을 단일요법으로 사용한 사람이 있었나?

 

화타가 조조를 치료하고 Xu Xi가 인종을 치료했다는 이야기는, 약초를 넣거나 추가적인 영양학적 권고를 하지 않고 침술을 단일 치료법으로 사용한 것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이것이 사실이라고 해도, 여전히 질문은 남는다. 침술은 정말 추가 약물 없이 자주 사용되었을까?

 

다시 말하지만, 이런 일이 자주 일어나지 않았다고 생각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 현실적이고 중요한 한 가지 측면은, 우리의 침술 저작들에서는 결코 언급되지 않았지만, 성공과 실패 그리고 비용을 둘러싼 심리적 측면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책에서 제안된 치료법은 항상 정확하며, 성공이 확실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 성공은 결코 확신할 수 없으며, 특히 심각한 경우 – 의사에게 (고대 중국에서 흔히 일어났던 것과 같이)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단 한 번의 기회만 주어졌다면, 그리고 만약 그가 실패하면 다른 의사가 호출되었을 것이다.

 

자, 이제 실패한 침술 치료와 실패한 약물 처방을 비교해 보자. 약에 대해 의사는 항상 약간의 변명이 가능하였을 것이다. 아마도 약제상에서 열등한 약초를 팔았을 것이라거나, 아니면 탕약의 준비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다거나ᆢ

 

그러나 의사가 직접 선택한 곳에 자신의 손으로 자신의 침을 꽂으며 침술 이외 다른 것은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될까? 실패한다면 그건 혼자만의 몫이 되고, 그 자신 외에는 아무도, 아무것도 비난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항상 법적 책임이 따랐다. 약물을 처방할 때는 환자와 그 관련인들과 더불어 처방전에 대해 의논할 수 있다. 그러나 침술의 경우에는 달랐다. 의사가 미리 어떤 경혈을 쓸 것인지 미리 말해 두더라도 가족은 침을 정확한 지점에 찌르지 못하거나 정확한 깊이로 할 수 없을 수 있다. 그리고 뭔가 잘못되었을 경우 침 자국만 있을 뿐, 그 구멍의 깊이에 대한 증거는 없다. 이처럼 침술이 단일 치료법으로 자주 사용되었는지 의심할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11 "잃어버린 전통"이라고 한탄하는 침술

 

보통 송나라에서 원나라에 이르는 시간은 중국 침술사의 절정으로 간주된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었다 하더라도, 우리는 그것을 제대로 알 수가 없다. 위에서 말했듯이, 현재 우리는 특정 시간에 얼마나 많은 환자가 약으로 치료받았는지, 얼마나 많은 환자가 침으로 치료받았는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환자가 약과 침으로 치료받았는지에 대한 통계도 믿을 만한 추정치도 가지고 있지 않다. 우리는 송원시대에도 침술이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했다는 증거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래서 1757년 徐大椿이 침술을 '잃어버린 전통'이라고 한탄했을 때, 이는 그의 시대에 널리 쓰이지 않았다는 방증일 뿐, 지난날 그것이 정말로 매우 중요했었다는 것을 증명하진 못한다. 기억하라. 고대인들의 의학 기술이 사라졌다고 불평하는 것은, 초창기부터 중국의 의학 글의 일부가 되어 온 것이다 – 황제내경 자체가 아무 역할도 하지 않는다는.

 

12. 터닝 포인트 1822 : 침술의 폐지

 

마침내 1822년에 TCM 역사상 가장 흥미로운 사건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일이 일어났다. 道光帝는 재위 2년, 이때 40세였는데, 다음과 같이 선포하였다.

 

침술과 뜸술은 황제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서 태의원에서 영원히 금지된다(针刺火灸,终非奉君 之所宜,太医院针灸一科着永远停止).

 

정말 놀랍다. 624년 장안에 태의원이 설립되었을 때 약학부와 의학부가 있었는데, 후자는 4개 부문으로 다시 나뉜다. 医科, 针科, 按摩科, 咒禁科 등이 그것이다. 거의 1200년 동안 침술은 제국의 의학교육에서 기본적인 부분이었다. 이제 그것이 왕실에서 영원히 금지되게 된 것이다.

 

그것을 흥미롭게 하는 한 가지 이유는 이 법령이 제정된 시점이다. 이 시기는 중국 역사상 TCM을 과학적 의학에 비교해 볼 필요 없이 의학적인 측면을 논의해 오던 마지막 시기였다.

 

실제로 서구 국가들과의 갈등이 이미 시작된 상태였다. 그러나, 외국인 선교사들이 "중국에 기독교를 소개하면서 의학의 실천을 보조적으로 활용하려는 생각"[24]을 채택한 것은 1830년 이후에나 나타난다.

 

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든(예를 들어 王清任의 《医林改错》(1930)는 TCM 문헌의 많은 오류들 중 일부를 바로잡으려 했다), 전통적 의료인들은 과학의학의 우월한 방법론에 맞서 TCM 이론을 방어하려 했던 영원한 투쟁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우리는 이렇게 말할지도 모른다. 황실의 침술 금지는 전통 중의학 역사에서 마지막 독립적 행위였다.

 

道光칙령을 흥미롭게 하는 또 다른 측면이 있다. 침술이 금지된 후 제국 의학아카데미에서 TCM이론은 어떻게 가르쳐졌는가? 그들은 여전히 경락을 "기와 혈이 흐르는 그릇"이라고 가르쳤을까? '5수혈'나 '원혈', '낙혈' 등과 같은 기능적 범주를 여전히 가르쳤을까. 약물의 성질을 관계층(태양, 양명, 소양, 태음, 소음, 궐음)에 따라 기술하는 이론은 어떨까? 불행하게도, 나는 내가 아는 어떤 TCM 책에서도 이런 질문들을 한 것을 본 적이 없다.

 

13. 우리가 보는 책은 1822년에 대해 어떻게 설명하나

 

갑자기 고전 중의학의 근본이 궁중과 태의원에서 퇴치되었다. 어떻게 그런 결정을 내릴 수 있었을까?

대부분의 TCM 저자들은 이 질문에 대해 생각하는 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지 않는다. 全国高等中医药院校外 国进修生教材(해외유학생을 위한 교재)에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이유를 명시하고 있다. 청나라 당국은 침술의학을 짓밟고, 태의원에서 침술의학과를 폐지하여 청나라 말기에 침술과 뜸의 감퇴를 초래하였다.(清王朝对针灸医学采取歧视态度,停止了太医院的针灸科。所以至清代末叶,针灸乃走向 衰落)[25]

 

그런데 왜 이런 짓을 했을까? 왜 그들은 "태도를 바꾸었고"(중국어 텍스트), "자극의 과학을 짓밟았는가"(영어 텍스트)? 그저 할 일 없는 황제의 갑작스런 생각이었을까. 믿기 어렵다.

 

사실 칙령의 발상이 원래 황제 혼자만의 생각에서 나온 것은 아닐 것이다. 보통 그런 규례는 그의 조언자들이나 황제에게 편지를 쓸 용기가 있는 외부인이 제언한다. 복잡한 문제라면 황제도 혼자서 쉽게 결정하지 않았을 것이다. 오늘처럼 그런 것들은 황실의 위원회에 맡겨졌을 것이다. 그곳에서 전문가들이 그 문제를 토론하고 제안을 했다. 의학교육의 근본적인 부분이었던 과목을 폐지하는 것은 언제나 정말로 큰 문제였다. 그래서 우리는 왕싱 고문들, 의사들, 그리고 칙령이 결정되기 전에 제국 의학아카데미의 선생님들 사이에서 광범위한 토론이 있었을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이 문제를 결정하는 사람들은 당대의 중요한 학자들이었을 것이다. 비록 그들 중 몇몇이 의학 전문가가 아니었다 하더라도, 우리는 그들은 의사들과 제국 의학아카데미의 선생님들의 말을 매우 주의 깊게 들었을 것으로 확신할 수 있다. 그리고 확실히 이 선생님들과 의사들 모두는 그들 직업의 기초적인 책들을 알고 있었다. 그들은 침술 폐지를 제안하는 것이 다음과 같은 진술과 동일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道光帝 2년 찬란한 청나라의 궁중 의사인 우리는 황제내경 영추, 침구갑을경 또는 침구대성과 같은 책을 쓸데없는 추측으로 여긴다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위원회가 침술의 폐지를 권고했다면, 우리는 한 가지를 확신할 수 있다 : 그들은 침술의 폐지를 위한 아주 좋은 이유를 보았을 것이다.

 

14 침술의 금지 : 그 이유에 대한 추론

 

그러나, 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외국인을 위한 중국의 세 번째 "공식적" 침술 교과서인 ‘중국 침구학’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대목을 읽을 수 있다. 청나라 건국부터 아편전쟁까지(1644~1840년) 약초제를 침술보다 우월한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침술과 뜸이 점차 실패로 돌아섰다[26년]. 또는, 중국 원문에서는 清代从开国到鸦片战争这一 历史时期 ( 公元 1644 ~ 1840 年 ), 医者重药轻针,针 灸逐渐转入低潮 [27].

 

재미있는 대목이다. 이 책의 저자는 TCM 병원에 가본 적이 없었을까? 만약 그랬다면 그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조차도 소독과 무위험 요법으로, 자기 병원의 침술 부서는 하루에 20명에서 100명의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 반면, 다른 TCM 부서에서는 이 숫자의 10배가 넘는 수에 "허벌 약물"이 투여될 것이다. 이 수치들은 오늘날에도 대부분의 경우 TCM 의사들이 "약초약물을 침술보다 뛰어난 것"으로 간주한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는 것이 아닐까?

물론 程莘农(이 대목을 쓴 사람이 그였다면)이 한 가지 측면에서는 옳았다. 즉 청나라의 의사들이 침술과의 폐지를 권고했을 때, 실제로 그들은 한약을 "우월한" 것으로 여겼던 것이다. 그러나 침술이 '열등한' 것으로 여겨졌다 하더라도 특별한 경우에는 얼마간 가치가 있었을지도 모른다. 분명히 청나라의 의사들은 이 가치를 보지 못했다. 그들은 침술이 전혀 쓸모없다고 확신했음에 틀림없다 – 혹은 침술의 위험성이 그것의 가능한 치료 효과를 결코 정당화하지 않았다는 것을 확신했음에 틀림없다.

 

그리고 1822년에 이러한 신념이 갑자기 그들의 마음에 들어왔을 것 같지는 않다. 우리는 이것이 이미 수세기는 아니더라도 수십 년 동안 공통된 의견이었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모든 사람들은 TCM이 얼마나 보수적인지 그리고 항상 그래왔었다는 것을 안다. 그래서 道光帝의 의사들이 의학 교과과정에서 학과 전체를 없애려는 용기를 냈다는 사실은 실로 놀랍다.

 

개인적으로, 나는 이 궁중 의사들을 존경한다. 하지만 그들을 생각하면 또한 나를 슬프게 한다. 위에서 말했듯이 1820년부터 1830년까지의 10년은 중국 역사상 서양의학을 고려해 볼 필요 없이 의학적 문제를 논의했던 마지막 시기였다. 이러한 역사적 상황에서 궁중 의사들은 작은 변화를 제안할 용기와 정신을 가지고 있었다. 오늘날 TCM 대학들 내에서 누가 이와 비슷한 용기를 가지고 있는가?

 

15. 1822년 이후 중국의 침술

 

칙령에 의해 금지된, 오래된 치료법. 우리가 알고 있듯이, TCM 역사에서 이런 일이 일어난 것은 이 사건만이 아니었다. 106년 후인 1928년 중국 국가보건위원회는 '토착전통요법 폐지 결의안'을 발표했다. 그리고 1822년과 1928년의 결과와 반응을 비교하는 것은 꽤 흥미롭다.

 

1928년의 결의안은 중국의 전통의학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수십만 명의 개업자와 4억 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했다(당시 과학적으로 훈련된 의사가 10,000명에 불과했고, 그들 대부분은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에서 일하고 있었다). 그 결과 전통적 의료인들은 스스로 조직하기 시작했다. 1928년의 결의안은 결코 현실화될 기회가 없었다.

 

그러나 1822년 칙령 이후에는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 이때 학자들과 의사들이 정말로 침술을 쓰지 않고는 의료행위가 불가능하다고 확신했다면, 이런 의견을 표현하는 보고서와 편지, 책들이 많이 나왔어야 했다. 그리고 황제에게 편지를 써서 침술이 필수적이라고 설득하려는 용기 있는 의사들이 있었어야 했다. 만약 두려웠다면 그들은 道光帝의 후계자 咸丰(문종)이 왕위에 오른 1850년까지 기다렸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런 행동이 있었다면, 침술책들에 언급이 있었을 것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극히 적거나 아예 없었다. 중국 의사 대다수는 1822년 공포된 침술 금지에 대해 항의하지 않았다.

위에서 보았듯이 오늘날 일부 책에서는 청나라 말기의 침술과 뜸의 감소를 공공연히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책들에서 그러한 진술에 관련된 문제를 살펴보고 있다. 만약 1822년 이후에 침술이 은신해 중국의 임상 실습에서 거의 사라졌다고 한다면, 1954년 이후에 침술이 되살아났을 때 어떻게 아직도 유능한 선생님과 의사들이 있다고 확신할 수 있겠는가? 그래서 중국의 침술 저자들 대다수는 다른 입장을 선호한다. 《针灸史话》과 같은 책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이 알려준다 : 태의원에서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침-뜸은 그 당시에도 민간에서 효과가 좋고 간단한 조작으로 가능하여 널리 이용되어 있었다.(虽然,针灸在 太医院中被禁止使用,但由于其疗效确切,操作简便, 在民间仍然得到广泛应用)[28].

 

정말일까? 이런 입지에 서있는 책들 중 어떤 것도 그것에 대한 어떠한 증거도 주지 못한다. 오히려, 우리는 그 반대였을 것이라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다. 1822년 이후 그 침술은 희귀한 것이 되었다(그 이전에는 희귀한 것이 아니었다면).

1822년 이후 침술 사용을 언급하는 보고서는 많지 않다. Prosper Giquel의 일기(1864년 타이핑 반군과의 싸움에서 프랑스 장교로 복무)와 같은 믿을 만한 소식통들은 콜레라의 경우에 적용된 침술을 기술하고 있다.[29] 분명히 그 당시에는 침이 표준요법이 아닌 응급조치로 간주되었다.

 

Wong & Wu가 1936년 중국 의학사를 발표했을 때, 그들이 쓸 수 있는 침술에 대한 유일한 동시대 보고서는 William Morse의 중국 의학에 나와 있다 : 차트에는 동전, 뜸, 그리고 길이가 3-24cm인 12개의 침이 놓여 있었다. 나는 침이 목의 쇄골 위의 홈과 suprasternal notch에 깊이 삽입되어, 큰 동맥에 가까이에서 진동하는 것을 보았다. 바늘은 간과 후두막에 5에서 15cm나 삽입되었다... 또 다른 침은 누낭을 통과하여 골 내벽을 따라 안쪽으로 진행되었는데, 분명히 뇌에 들어갈 만큼 충분히 깊었다. 한 번의 삽입은 오히려 충격적이고 섬뜩했다. 침이 코 속 깊이 들어갔고, 나는 그 방향이 에트모이드 판이라 생각했다. 그리고 나서 상당한 타격을 받았다. 나는 에트모이드 판을 지나 뇌로 뚫고 들어간 것으로 추측한다!... 작업자의 멸균 절차는 다양했다. 피부에 도포되지 않았다. 그는 엄지 손톱으로 바늘을 '세척'하고 털을 문질러 닦거나 가운이나 신발 밑창, 또는 이 모든 것을 비벼서 침에 침을 튀기고는 집으로 몰고 갔다. 적당한 시간이 지난 후, 그는 침을 제거하고 뜸을 뜨고, 그 재를 연기가 물집 속으로 으깨었다.[30]

 

이 책이 출간된 직후 마오쩌둥 주석과 중국 공산당의 다른 지도자들은 延安(1936년 12월)으로 자리를 옮겨갔다. 그 후 몇 년 동안 Norman Bethune(白求恩)이나 George Hatem(马海德)와 같은 몇몇 서양 의사들이 그 곳에 합류했다. 이 시기에 관한 책을 쓰거나 기자들의 인터뷰를 받은 사람도 있다. 그러나 나는 延安에서 사용되었던 침술에 대해 단 하나의 보고도 보지 못했다.

Paul Unschuld는 1970년 대만에서 현장 연구를 할 때 300명에게 자신이나 그 가족들이 침술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지 물었다.

 

16 재발명한 침술

 

사실, 연안에서의 처음 1년 동안은 침술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전쟁 때 수천 명의 중상자와 민간인들이 참석해야 하는 상황에서, 이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었다. 가장 중요한 목표는 가능한 한 빨리 많은 현대 의사와 외과의들을 훈련시키는 것이었다. 거의 1,000명의 의료인들이 Bethune위생학교에서 훈련을 받았다. 결국 80개가 넘는 서양 의료원(장비가 허술한 곳이 많음에도 불구하고)이 연안을 중심으로 해방구역을 누볐다.

 

당 지도부가 연안으로 옮긴 지 거의 10년이 지난 1945년 4월에야 Bethune국제평화병원에 첫 침술과가 개설되었다. 여기서, Zhu Lian(서양식으로 훈련받은 의사)과 같은 일부 의사들은 침술과 현대적 지식을 결합하려고 노력했다. Zhu Lian은 거의 교재를 손에 들지도 않고 그렇게 했다. 하지만, 침술의 부활은 그녀의 개인적인 사명이 되었다. 1951년 그녀는 《新针灸学》1판을 발표하였는데, 1954년 마오 주석이 '서양의들로 하여금 중의학을 연구하도록'(今后最重要的首先要西医 学中医,而不是中医学西医) 명령한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침술서가 되었다[32].

 

하지만 주롄의 새로운 침술은 정말 '전통적'이었을까? 실제로 경락이론과 전통적 경혈을 사용했다. 그러나 나머지는 모두 고대 침술과는 거의 관련이 없었다.

- TCM 요법가들은 먼저 과학적 해부학 및 생리학을 연구했으며, 나중에 TCM 이론과 용어를 제2외국어처럼 학습했다.

- 진단, 치료, 진료기록은 주로 현대적 사고와 질병 분류에 따라 수행되었다.

- 응급환자와 위험한 질병은 과학적으로 훈련된 동료에게 맡겨졌다.

- 침으로 치료하는 질병의 범위가 응급환자에서 기능질환, 통증치료, 신경과 및 마비 등으로 옮겨갔다.

- 침 소독 및 피부 소독 의무화

-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든 길이가 다른 편평한 침이 사용되었다.

- ST36-족삼리, LI4-합곡 또는 SP6-삼음교 같은 원위의 혈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 뜸은 흉터를 남기지 않고 주로 행해졌다.

- 동료 및 기타 환자의 입회 하에 치료하여 "비밀"이라고 주장될 여지가 없음

- 침술 진통, 이침 및 전기침 등과 같은 새로운 방법이 통합되었다.

- 한 번의 침술세션으로 병을 치료했지만, 보통은 4~20회 정도의 세션으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1954년 이후에 침술이 되살아났을 때 이것은 깨지지 않는 전통의 연속이 아니라 사실 완전히 새로운 발명이었다.

 

17 결론: 과거를 떠나 미래로 나아가는 것

 

위에서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침술 이론은 황제내경의 근본적 부분이지만 고대 중국에서의 침술의 임상 적용은 언제나 제한적이었다. 초기부터 1822년 침술이 금지될 때까지 침술이 해로울 수 있다는 경고가 늘 존재하였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해부학적 지식이 부족하고 소독이 없었기 때문에, 이 경고들은 정당화되었다. 그러므로 약물이나 침을 결정하는데 자유로웠던 저명한 의사, 장중경의 상한론에서 침술이 극히 미미한 역할만 한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중국 역사상 400명의 황제들 중, 침술이 적용된 경우는 거의 없다. 1757년 徐大椿이 침술을 '잃어버린 전통'이라고 부른 후, 침술 치료의 효과가 침술의 위험을 보상하지 못한다는 것은 일반적인 확신이었을 것이다. 1822년 태의원에서 침술과 뜸을 폐지한 것은 급진적이지만 이에 따른 행동이었을 것이다.

 

그 후 침술은 희귀한 것이 되었고, 주로 응급상황에 적용되었다. 연안에서 몇 년 동안 침술은 자주 사용되지 않았다. 마오 주석과 함께 적용된 침술에 대한 사진이나 보고도 없다. 그리고 1954년 이후 TCM이 부활했을 때, "새로운 침술"은 고대 중국에서 존재했던 것과는 완전히 달랐다.

 

그러나 이 상황의 결과는 어떤 것일까? 내 생각에, 한 부분은 나쁜 소식이고, 한 부분은 좋은 소식이다.

 

먼저 나쁜 뉴스 : 옛 침술과 새로운 침술의 극단적인 차이 때문에 지식, 용어, 질병, 설정, 위생 상태, 침의 재료, 선호 경락 등에 관한 고대 침술의 방법과 경험은 대부분 우리와 무관하다.

 

좋은 뉴스 : 우린 자유야! 낡은 저작들을 캐는 대신 오늘날 우리가 하고 생각하는 일에 집중할 수 있다. 지금까지 침술이 가장 좋았던 시기는 송나라나 원나라가 아니라 지금이다! 그리고 침술의 미래는 오래된 저작들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에게 있다. 그러니 용기 있고 열린 마음으로 전진합시다!

 

이것을 아는 것 – 이것이 바로 정말 좋은 소식이 아닌가?

 

*  *  *

REFERENCES

1 Unschuld PU. Medizin in China. München: Beck. 1980: 66.

2 Lu G, Needham J. Celestial Lancets. Cambridge, Lond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 129.

3 Cheng DA. Chinese acupuncture. 2nd ed.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56. Chinese.

4 Zhu L. New acupuncture. 2nd ed.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54. Chinese.

5 Academy of TCM. Outline of Chinese acupuncture. Peking: Foreign Languages Press. 1975.

6 Beijing Colleg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hanghai Colleg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Nanjing Colleg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Essentials of Chinese acu- puncture. Beijing: Foreign Languages Press. 1980.

7 Cheng XN. Chines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Beijing: Foreign Languages Press. 1987.

8 Zhang EQ. A practical English-Chinese librar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14 volumes). Shanghai: Publishing house of Shanghai Colleg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1990.

9 Xu XC. The English-Chinese encyclopedia of practical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1 volumes). Beijing: Higher education Press. 1991.

10 Zuo YF. A newly compiled practical English-Chinese librar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14 volumes). Shanghai: Publishing House of Shanghai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3.

11 Sun GJ. Acupuncture.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000. Chinese.

12 Chen MZ. A general history of Chinese medicine.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000. Chinese.

13 Xiao SQ. History of Chinese Zhenjiulogy. Yinchuan: Ningxia People’s Publishing House. 1997. Chinese.

14 Chen P. History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Beijing,Amsterdam, Tokyo: Science Press. 1999: 28. 15 Huan LX. An illustrated book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inese acupuncture (2 volumes). Qingdao: Qingdao Publishing Group. 2003: 437. Chinese.

16 Wu LS, Wu Q (transl.). Yellow Emperor’s canon of internal

17 Heilongjiang Academ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endium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4: 398-399. Chinese. 18 Lu G, Needham J. Celestial Lancets. Cambridge, Lond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 77.

19 Lu G, Needham J. Celestial Lancets. Cambridge, Lond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 113.

20 Goldschmidt A. The evolution of Chinese medicine – Song dynasty, 960-1200. London, New York: Routledge. 2009: 29. 21 Lu G, Needham J. Celestial Lancets. Cambridge, Lond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 135.

22 Goldschmidt A. The evolution of Chinese medicine – Song dynasty, 960-1200. London, New York: Routledge. 2009: 30.

23 Goldschmidt A. The evolution of Chinese medicine – Song dynasty, 960-1200. London, New York: Routledge. 2009: 23.

24 Wong KC, Wu LT. History of Chinese medicine. Taipei: Southern Materials Center. 1977: 315.

25 Li DA, Shi M. University textbook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f overseas advanced students, Vol. acupuncture- moxibustion.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99: 2, 155.

26 Cheng XN. Chines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Beijing: Foreign Languages Press. 1987: 6.

27 Cheng XN. Chinese acupuncture. 3rd ed.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6. Chinese.

28 Zhang LJ. Historical narratives of acu-moxibustion.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010: 77. Chinese.

29 Giquel P. A journal of the Chinese civil war 1864.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5: 88-90.

30 Morse WR. Chinese medicine. New York: Paul B. Hoeber. 1934: 155-157.

31 Unschuld PU. Die Praxis des traditionellen chinesischen Heilsystems. Wiesbaden: Steiner. 1973: 138.

32 Taylor K. Chinese medicine in early communist China, 1945-63. London, New York: Routledge. 2005: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