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션8 : COVID-19의 침 치료의 방법과 원리에 대해..
*2020년 3월부터 세계침구연합회 (WFAS), 중화중의약학회 중국침구학회의는 공동 주최로 "COVID-19 치료대응에 관한 국제강좌(国際專家抗疫大講堂)"를 온라인 강좌로 실시하셨다. 이 가운데 침구와 관련된 세션 몇 가지를 차례로 올립니다. 관련 세션은 세션8, 세션9, 세션10, 세션11 등이다. 아래는 강연 줄거리와 질의응답 부분를 옮긴 것입니다. 강연 내용은 어학이 짧아 충실히 옮기지 못하였고, 질의응답 부분은 위의 WFAS 홈페이지에 올려져 있는 것을 옮긴 것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세션8 : COVID-19의 침 치료의 방법과 원리
*세션8 강좌는 아래 사이트
im.yuge.com/im/live/13462945-k8qnumaa
세션8 : COVID-19의 침 치료의 방법과 원리에 대해..(2020 04 08)
강사
ㅡ劉保延(세계침구학회연합회 회장)
ㅡ鄒旭(광동중의원 흉통센터 주임)
ㅡ龚亚斌(上海中医薬大学 附属岳陽中西医结合医院 腫瘤一科 副主任)
《강연 요약》
■劉保延은, COVID-19에 대한 침술의 프로토콜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했다. 역독의 사기는 먼저 폐를 범하고, 이어 비위대장으로 확장하며, 나아가서는 거꾸로 심포와 간신을 범하는 것으로 본다.
이에 대한 치료와 관련, 서의에서는 감염경로 차단, 지지요법, 대증치료로 접근한다면, 중의에서는 경락통창, 양기고양, 장부기능 개선으로 접근한다.
이를 토대로 침술은 邪氣가 침입한 장부를 살펴보고, 손상된 経脈을 찾아, 邪氣를 쫓아버리고 장부를 강화한다. 膜原은 募穴로 통하니, 兪募 配穴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복부 각 모혈 접근에 의한 사기의 제거를 강조한다. 변증에 따라 각각의 병기에 맞는 다른 치료법을 사용하는데, 기본적으로는 의학관찰기, 임상치료기, 회복기로 구분한다. 격리와 보호 등 엄격한 관리와 안전확보도 중시한다.
침구는 미주신경 및 교감신경 및 HPA축을 매개로 면역계에 작용하는 한편, 항염증작용을 통해 병의 진행을 저지하여 치료의 길로 이끌게 된다고 본다.
더해서, 자가요법으로 쑥뜸, 첨부제, 경혈추나, 족욕훈세, 기공, 정서안정 등을 제시한다.
한편 그간의 치료에서 정립된 중의약을 '3약3방'으로 정리해 준다. 즉 연화청온, 금화청감, 혈필정의 3약과 청폐배독탕, 화습패독방, 선폐패독방의 3방이 그것이다.
■鄒旭은, COVID-19의 진단을 위한 임상 증상의 중요한 지표를 소개했다. 무한시의 雷神山병원에서 중증 환자를 치료하는 침술은 적은 빈도로 하면서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다고 한다. 치료의 포인트는 早期의 解表発汗、便通、胃腸의 작동、睡眠、早期 解毒、산소가 부족한 臓器의 保護、扶正에 두었다고 한다. 관찰기와 경증 및 보통형에는 선폐해표를, 회복기에는 익신기 및 비위조리의 관점에서 치료에 접근한다. 이때 중요 포인트로는, 대변, 위납, 수면을 중요시한다. 침술은 주로 平補平瀉法으로 하고 필요시 보사조작도 하되, 得気를 얻도록 했다.
특기할 점은, 비위조절의 경혈로 대사혈(내과첨 위로 8촌)을, 병 확산 방지하는 경혈로 지천혈(하완 내측 중간으로 완관절 위로 2/3 지점)을 제시하였다.
■龚亚斌는, 천자하는 경우 둘이서하고 평보평사법을 사용한다. 또한, 귀에 圧豆, 中医 外治, 음악 요법을 사용한다. 또한 기공의 비디오를 보여 주면서 운동을 시켰다고 한다.
《질의 응답》
Q1 : COVID-19의 치료는 침 치료는 얼마나 자주 실시하면 좋을까요? 침술, 부항, 활법 등을 병용할 수 있습니까?
응답(龚亚斌) : 12일간 1일 1회, 병동에서 환자에게 침술을 실시했다. 부항은 음압실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부항 치료는 권장되지 않는다. 병동 입원환자의 80% 이상이 虚損형 환자이다. 체질이 허약하기 때문에 활법도 추천하지 않았다.
Q2 : 미각과 후각의 상실의 증상은 주로 유럽인에게서 일어나는 것을 알려져 있으며, 아시아인은 10 ~ 15% 밖에 없다. 유럽에서는 약 90%의 사람이 이러한 증상에 시달리고 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침 치료가 효과가 있을까요?
응답(劉保延) : 바이러스 감염 후 미각이나 후각의 상실과 같은 증상은 자주 나타나는 증상이다. 2016년 中国中西医结合 耳鼻咽喉科 学術誌에, '바이러스 감염 후 후각 기능 장애에 대한 침구와 혈위주사의 치료 효과'라는 논문이 게재되었다. 논문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후각 기능 장애를 가진 환자 90명을 무작위로 3개의 그룹, 즉 침술군, 혈위주사군,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환자는 양측의 迎香, 상迎香, 鼻丘의 경혈에 자침하고, 리도카인을 迎香혈에 주사하여 간단한 임상 관찰을 하고 치료 전후의 결과를 비교했다. 치료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침치료군과 리도카인 주사군 모두 환자의 후각 기능을 향상시시켜, 상당한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미각과 후각의 저하라는 증상에는 침술을 시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미각 기능 장애와 후각 기능 장애도 기본적으로는 말초신경계에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중추신경성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미각 장애를 수반하는 안면신경 마비 환자는 본원에서 실시하는 침 치료가 효과를 발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질환은 어떤 식으로든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이 있다. 왜 아시아인보다 유럽인에게서 미각이나 후각의 상실 증상이 많은지는 연구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침 치료와 관련한 연구를 찾아 볼 수 있으며, 배울 가치가 있다.
Q3 : COVID-19은 전염성 바이러스입니다. 침구사 중에는 살균의 개념이 없는 사람도 있는데, 어떻게 방어하면 좋을까요?
응답(鄒旭) : 감염 환자와 접촉하게 되므로, 평소보다 주의가 필요하다. 방호복과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刺鍼할 때는 천천히 움직이도록 한다. 따라서 너무 많이 取穴할 필요는 없다.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둘째, 일부 환자는 刺鍼할 때 출혈이나 분비물이 누출될 수도 있다. 자침하기 전에 손을 소독해야 한다. 분비물이 나오면 장갑을 교환하고 물로 씻도록 한다. 교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침을 하나 찌를 때마다 장갑을 바꾸고 손을 소독하도록 한다. 누출되는 혈액이나 분비물이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에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인 경우 보다 천천히 진행한다. 침치료를 수행하는 동안 방호는 매우 중요하다.
Q4 : 환자의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鍼管을 사용하는 것은 권장됩니까?
응답(龚亚斌) : 가능한 鍼管를 사용하고, 환자 마다 각자의 鍼管을 갖는 것이 좋을 것이다. 각 침은 각자 개별의 鍼管을 포함하도록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환자의 교차 감염을 피하기 위해 별도의 鍼管을 사용하도록 한다. 시술자는 치료 후 바로 손을 소독해야 한다.
Q5 : 침구 치료 중 시술자는 환자와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집니다. 감염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요?
응답(龚亚斌) : 자침 시에는 확실히 환자에게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특히 기침이나 가래가 나오는 환자와 접촉하면 위험이 높아진다. 雷神山병원의 의사는 방호복과 고글을 착용하도록 한다. 병동에 들어가기 전에 신분 확인은 물론, 보호 장비의 확인도 담당자에 의해 특별하게 관리되며, 피부가 노출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의사는 반드시 2 ~ 3층 구조의 장갑, 고글, 얼굴 가림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엄중한 보호를 전제로 한 침술은 안전하다.
Q6 : 약물 없이 침만으로 치료하는 경우도 있나요?
응답(鄒旭) : COVID-19 환자의 치료는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로써는 약을 사용하지 않고 침만으로 치료하지는 않는다. 침술만으로 치료하여 환자의 병태가 악화되는 경우 윤리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COVID-19 환자의 치료를 침술만으로는 하고 있지 않다.
Q7 : 침술과 약물 치료를 비교한 연구는 있습니까?
응답(鄒旭) : 이 같은 중증감염증의 연구를 수행하는데는, 환자에 대한 책임이 크기 때문에 침술과 약물치료의 비교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침술과 약물치료의 비교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윤리 심사를 거치고, 더 많은 증례를 얻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현재 침술과 약물치료의 비교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Q8 : 미국 각주에서 인공호흡기가 부족한 현상을 감안하면, 침술로 환자의 호흡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면, 지지요법으로 매우 우수하다고 생각합니다. 무한의 최전선에서 침치료의 임상응용에 대해 알려주세요. 또한 경증, 중등증, 중증 환자 각각에 대한 침치료의 선택에 대해서도 알려주세요.
응답(鄒旭) : 인공호흡기가 부족한 경우 호흡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침술을 특별히 사용할 수 있다. 지난 2개월 COVID-19의 치료 경험에 의하면,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포괄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예를 들어 겉으로 邪氣가 있는 초기단계에서는 최대한 빨리 침구 등 중의학적 치료를 하여 発汗解表토록 한다. 인공호흡기가 없는 경우에는 약 10%의 환자가 중증에서 重篤으로 발전하고, 3%의 환자가 사망하게 되므로, 이러한 시점에서는 역시 인공호흡기가 필요할 것이다. 포괄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현재 서양의학의 대증요법, 특히 코 튜브나 산소마스크에 의한 산소 공급 또는 비 침습적인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고, 중의약(호흡 기능을 개선해 주는)과 침구 치료를 실시하고 있는데, 치료 효과는 훨씬 좋다. 따라서 이 바이러스에 조기에 개입하는 것에 동의하지만, 경증의 환자인 경우도 침구와 약물치료를 병용한 포괄적인 치료가 효과가 있다. 즉, COVID-19의 치료는 포괄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침구는 인체의 경락의 기를 자극하여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침구, 약제, 대증요법을 조합한 경험이, 추진할 만한 충분한 가치를 갖는다고 생각한다.
* * *
*코로나19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중국에서 전개되었던 동의학 요법의 활약과 그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아래의 책을 소개합니다
https://blog.daum.net/hooclim/4934
책 소개 : 코로나19와 동의학 그리고 침뜸요법
blog.daum.net
'동의학 이야기 > 코로나와 동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VID-19의 중의치료 국제강연. 세션10 : 뜸치료의 효과와 훈증 소독 (0) | 2020.09.05 |
---|---|
COVID-19의 중의치료 국제강좌. 세션9 : 뜸요법의 적용과 효과 (0) | 2020.09.05 |
(코로나 대응에서) 中医 内病外治의 원리와 경로에 대한 전문가 토론 (0) | 2020.08.30 |
COVID-19의 침구치료 지침(中国針灸学会) (0) | 2020.08.16 |
Covid-19의 중의약 치료에 대한 오해의 해명 (0) | 2020.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