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치료에 침술 및 중의약을 보조제 개입을 통한 중증 COVID-19 환자의 회복
Recovery of a patient with severe COVID-19 by acupuncture and Chinese herbal medicine adjuvant to standard care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095496421000601)
Author links open overlay panelXinYinaShu-binCaibLan-tingTaocLu-mingChenbZhong-deZhangdSu-hongXiaoefgArthur YinFanfghXuZoua
aDepartment of Critical Care Medicine, Second Clinical College, Guangzhou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Guangzhou 510120, Guangdong Province, China
bDepartment of General Medicine No. 3 Division, Second Clinical College, Guangzhou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Guangzhou 510120, Guangdong Province, China
c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Second Clinical College, Guangzhou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Guangzhou 510120, Guangdong Province, China
dSecond Clinical College, Guangzhou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Guangzhou 510120, Guangdong Province, China
eSH Clinic for Acupuncture & Chinese Medicine, Indianapolis, IN 46268, United States
fTCM American Alumni Association (TCMAAA), Indianapolis, IN 46268, United States
gAmerican TCM Association (ATCMA), Vienna, VA 22182, United States
hMcLean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PLC, Vienna, VA 22182, United States
Received 29 October 2020, Accepted 6 January 2021, Available online 8 June 2021.
개요
현재 전염성이 높고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2019 (COVID-19)를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이나 치료법이 없다 . 따라서 잠재적인 효과적인 치료법을 찾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심각한 호흡 곤란과 말초 산소 포화도 감소(SpO2)를 동반한 중증 COVID-19 사례를 가진, 중국 우한의 Leishhenshan병원의 한 노령 여성이 도수 침술 과 한약 과립 제제 Fuzheng Rescue Lung을 사용하여 치료를 받았다. 표준 치료에 추가로 Xuebijing 주사로. 환자의 호흡수, SpO2, 심박수, 호중구/림프구 비율(NLR), 단핵구/림프구 비율(MLR), C 반응성 단백질(CRP) 및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을 모니터링했다. 침술은 환자의 호흡 기능을 크게 향상시키고 SpO2를 증가시키며 심박수를 감소시켰다. 한약재는 침술의 효과를 보다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 한약의 사용은 또한 복용량을 늘릴 때 폐 감염 병변의 흡수를 가속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침술과 허브의 조합은 NLR을 14.14에서 5.83으로, MLR을 1.15에서 0.33으로, CRP를 15.25에서 6.01 mg/L로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침술과 한약이 표준 치료의 보조제로 COVID-19의 중증 사례를 치료하는 데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나타네 준다.
1 . 도입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 3월 12일 코로나바이러스 질병 2019 (COVID-19) 의 발병을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선언했습니다 [1] . 현재 COVID-19 전염병은 전 세계 인구의 많은 부분을 감염시켜 대량 질병, 입원 및 사망을 초래했습니다. 현재까지 이 전염성이 높고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을 치료하는 약은 없습니다. 따라서 잠재적인 치료법을 찾는 것이 시급한 작업입니다. 보고서에서 WHO-중국 공동대표부는 코로나19와 싸우는 '중국 모델'의 비약리적 조치를 높이 평가했다 [2] . COVID-19 치료를 위해 전통 중국 허브가 권장된 반면, 재활 단계에서는 침술 및 뜸이 제안되었습니다 [3] . 급성기의 COVID-19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중약 사용과 함께 활용된 침술의 효과는 아직 널리 보고되지 않았다. 이 사례 보고서는 CARE 지침[4]을 따른다. 중국 우한의 레이센산(뇌신산) 병원에서 표준 치료에 추가된 침술 및 중약에 의해 성공적으로 치료를 받은 중증 코로나19 노령 환자의 사례에 대한 연구이다.
2 . 질병 이력
81세 여성이 전날 외출을 했다가 2020년 1월 24일부터 열이 나기 시작했다. 그녀의 최고 체온은 39.3 °C였으며 중등도 오한, 발작성 마른 기침, 숨가쁨, 구강 건조, 미각 감소, 식욕 부진, 근육통을 동반한 피로 및 전신 권태감을 동반했습니다. 그녀는 질병 1일차(2020년 1월 24일)에 우한의 우창 병원에 입원했습니다. 3일 후, 그녀의 가슴에 대한 컴퓨터 단층촬영(CT) 검사에서 여러 개의 흐릿한 패치와 덧유리 그림자를 포함한 양측 폐 기형이 나타났습니다. "바이러스성 폐렴"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그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폐렴"(현재 공식 용어는 "COVID-19")의 임상 진단을 받았습니다. 노르플록사신 으로 구성된 통합 치료제(Jiangsu Yuexing Pharmaceutical Co., Ltd., Taizhou, China; 400 mg, po, bid, 1월 25일), 목시플록사신 10일 코스(Schering Ltd., 중국 광저우, 400 mg, po, qd.) , 15일 코스의 Lianhua Qingwen Capsules(Yiling Pharmaceutical Ltd., Shijiazhuang, China; 4 캡슐, po, tid) [3] 및 5일 코스의 oseltamivir (Shanghai Roche Pharmaceuticals Ltd., Shanghai, China; 75 mg, po, 입찰가). 2020년 1월30일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 바이러스 2(SARS-COV-2)에 대한 중합 효소 연쇄 반응 (PCR) 시험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그녀의 치료를 돕기 위해 2월 6일부터 2월 20일까지 15일 동안 Arbidol(Hainan Simcere Pharmaceuticals Ltd., Haikou, China; 100mg, po, tid)가 사용되었다. 그녀의 열, 설사, 미각 감소 및 근육통이 완화되었지만, 그녀는 여전히 흰 가래와 함께 기침, 숨가쁨, 피로, 구강 건조 및 식욕 부진 증상이 남아 있었다. 2월 10일 SARS-COV-2에 대한 그녀의 PCR 검사는 음성이었다.
그녀의 CT 스캔은 2월 14일 폐부종을 동반한 폐렴을 보여주었고, 그녀의 하지에 부종이 나타났다. 그녀의 상태가 악화되어 2월 20일 우창 병원에서 우한 레이산산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3 . 증상, 검사 및 진단
내원 당시 환자는 심한 숨가쁨, 흉부 압박감, 가벼운 가래를 동반한 기침 , 입술과 손톱의 상당한 청색증, 피로, 식욕 부진, 수면 부족, 쓴맛이 나지만 발열은 없는 구강 건조를 나타냈다. 그녀는 또한 정상적인 배뇨와 배변을 했다. 활력 징후는 심박수 108회/분, 호흡수 23회/분 및 말초 산소 포화도(SpO 2 ) 산소 90%(저산소증)에 대한 맥박 산소 측정기 테스트를 보여주었다 . 환자는호흡 부전을 동반한 중증 코로나19 [3] , [5] 진단을 받았다. 표 1 , 표 2 는 치료 기간 동안 염증 마커 데이터를 보여줍니다.
표 1 . COVID-19 심각도 및 예후 지표.
안건시점 2/20 2/24 2/29 3/4 3/8 4/29
젖산 탈수소효소(IU/L) | 455 | 330 | 286 | 301 | 264 | – |
C 반응성 단백질(mg/L) | – | 15.25 | 9.58 | 7.01 | 6.01 | – |
프로칼시토닌(ng/mL) | 0.22 | 0.12 | – | – | – | – |
호중구/림프구 비율 | 14.14 | 7.55 | 11.08 | 6.86 | 6.46 | 5.83 |
단핵구/림프구 비율 | 1.15 | 1.1 | 1.05 | 0.97 | 0.78 | 0.33 |
–: 누락된 값입니다.
표 2 . 혈액 루틴, 간 및 신장 기능의 지수.
안건시점2/202/242/293/43/84/29
백혈구(10 9 /L) | 21.38 | 11.53 | 14.43 | 10.76 | 12.76 | 8.52 |
호중구(%) | 84.1 | 75.4 | 83.6 | 74 | 75.1 | 80.9 |
림프구(%) | 5.9 | 10.0 | 7.6 | 10.8 | 11.6 | 13.8 |
단핵구(%) | 6.8 | 10.9 | 7.9 | 10.4 | 9 | 4.6 |
호중구 (10 9 /L) | 17.96 | 8.69 | 12.08 | 7.96 | 9.57 | 6.89 |
림프구 (10 9 /L) | 1.27 | 1.15 | 1.09 | 1.16 | 1.48 | 1.18 |
단핵구 (10 9 /L) | 1.46 | 1.26 | 1.14 | 1.12 | 1.15 | 0.39 |
적혈구 (10 12 /L) | 3.29 | 3.00 | 3.45 | 3.39 | 3.78 | 4.29 |
헤모글로빈(g/L) | 103 | 94 | 111 | 107 | 119 | 134 |
헤마토크릿(%) | 30.2 | 28.7 | 33.5 | 33.1 | 36.6 | 41.1 |
혈소판(10 9 /L) | 242 | 274 | 271 | 221 | 339 | 240 |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IU/L) | 38 | 32 | 48 | 50 | 35 | 10 |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IU/L) | 25 | 25 | 46 | 41 | 25 | 20 |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IU/L) | 119 | 97 | 122 | 131 | 135 | – |
γ 글루타밀 트랜스펩티다제(IU/L) | 56 | 39 | 41 | 41 | 38 | – |
총 단백질(g/L) | 59.7 | 60.6 | 74.3 | 74.4 | 75.5 | 72.7 |
알부민(g/L) | 29.9 | 35.8 | 45.2 | 42.9 | 43.6 | 46.7 |
글로불린(g/L) | 29.8 | 24.8 | 29.1 | 31.5 | 31.9 | 26.0 |
총 빌리루빈(μmol/L) | 12.3 | 11.1 | 11.1 | 14.9 | 8.3 | 7.2 |
직접 빌리루빈(μmol/L) | 4.7 | 4.3 | 4.2 | 4.4 | 2.5 | – |
총 담즙산(μmol/L) | 8.5 | 5.2 | 23.1 | 13.3 | 9.7 | – |
요소 질소(mmol/L) | 7.1 | 5.8 | 10 | 10 | 10 | 6.06 |
크레아티닌(μmol/L) | 57.6 | 71.4 | 115 | 95.9 | 83.6 | 78 |
요산(μmol/L) | 121 | 196 | 240 | 254 | 339 | – |
크레아틴 키나제(IU/L) | 78 | 57 | 67 | 70 | 71 | – |
공복 혈당(mmol/L) | 9.6 | 8.7 | 7.6 | 6.6 | 8.0 | – |
– : 누락된 값입니다.
4 . 치료 및 일정
입원 후 환자의 열악한 상태에 따라 마스크(5L/min)로 고용량 산소를 투여하고 목시플록사신 (Schering Ltd., Guangzhou, China; 0.4g, iv, qd, 0.4g, iv, qd, 7d). Metoprolol (AstraZeneca AB, Sweden; 47.5 mg, po, qd)도 심박수 조절을 돕기 위해 투여되었다. 입원 2일째 혈당 수치가 높아 혈당 조절을 위해 인슐린을 투여하였다. 2월 23일, 몬테루카스트 나트륨(Merck Pharmaceuticals Ltd., Darmstadt, Germany; 10mg, po, 21일 동안) 치료를 시작하여 잠재적인 천식으로 인한 쌕쌕거림과 숨가쁨을 관리하여 천식 발작의 횟수를 줄였다.
식후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아(3월 2일 아침 식후 26mmol/L, 점심 식후 9.7mmol/L, 식후 16.8mmol /L) 혈당강하제를 Novolin R(Novo Nordisk China Pharmaceuticals Ltd., Beijing, China), 생합성 인간 인슐린 주사제(16 IU, 아침 식사 전, 12 IU, 저녁 식사 전)로 변경하였다. acarbose(Shanghai Maokang Biotechnology Co., Ltd., Shanghai, China ; 점심에 50 mg, po)와 함께.
침술 치료는 입원 1일차(2월 20일, Leishenshan 병원에서) 현장에서 시행되었다. Taixi, Metabolic (Metabolic-point) 및 Zhichuan(Breathless-relief point)의 양측 경혈 ( 그림 1 )은 지점에 따라 1.5cm에서 2.5cm까지 다양한 깊이에서 사용되었다. Hwato 0.25 mm × 40 mm 일회용 침(중국 Suzhou, Suzhou Huatuo Acupuncture Equipment General Factory, Suzhou, China)을 모든 지점에 사용하였고, 득기 반응이 이루어질 때까지 염전 및 작탁을 하며 약 15-30초 동안 자침한다. 침술은 환자의 상태를 개선하는 주요한 치료법으로 매일 이루어진다. 침술은 호흡율, SPO2, 심박수 등에서 즉각적인효과를 올리기 때문이다. (아래 참조).
그림 1 . 경혈 위치 .
(A) KI3(태계), 내측 복사뼈 뒤쪽 가장자리, 내측 복사뼈 의 끝과 아킬레스건 뒤쪽 가장자리 사이의 중간 지점이다. 호흡기 질환에서 호흡 곤란, 빠른 호흡수, 폐 병변 의 느린 흡수의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B) 대사혈은 내측 복사뼈 끝에서 위로 8촌, 경골 뒤쪽 가장자리에 있으며, 식욕 부진, 식욕 부진, 허약 및 피로에 사용된다.
(C) 지천혈은 팔뚝 손바닥 쪽 중앙선, 손목띠와 팔꿈치띠를 연결하는 선의 위쪽에서 1/3에 위치하는 곳으로, 의식 결핍, 심장 두근거림, 가슴 답답함, 숨가쁨 등에 사용된다.
중국 전통 약초도 이 지원 치료 계획의 일부가 된다. Fuzheng Rescue Lung(Fuzheng Jiufei) 과립[6]( 표 3 )은 2월 21일부터 1회 1팩, 1일 2회 경구 복용했다. 3일 후(2월 24일) 한약 유래 치료제인 XBJ(Xuebijing Injection) [3] , [5] 를 1일 100mL씩 4일간 투여하였다.
표 3 . Fuzheng Rescue Lung 과립의 구성.
허브(용량) 작용
Aconm Lateralis Radix Praeparaia (Shufuzi) 10g | 신양을 따뜻하게 하고 강화한다 |
Zingiberis Rhizoma (Ganjiang) 15g | 신양을 따뜻하게 하고 강화한다 |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Zhigancao) 20g | 신양을 따뜻하게 하고 강화시킨다. 비장을 강화하다 |
Lonicerae Japonicae Flos(진인화) 10g | 열 제거 및 해독. 외부 병원체를 퇴치 |
Gleditsiae Spina (Zaojiaoci) 10g | 열 제거 및 해독. 고름을 빼다 |
Wuzhaolong 20g | 기운을 북돋아 주는 비장기 |
Pogostemonis Herba(Guanghuoxiang) 10g | 습기 제거 |
Citri Reticulatae Pericarpium (Chenpi) 5g | 습기 제거 |
3월4일 CT 스캔에서 폐 감염의 흡수가 느리게 진행되고 있었기 때문에, Fuzheng Rescue Lung 과립의 투여량을 2배로 늘려(투여량 당 2개 패킷, 하루 2회) 폐렴의 흡수를 촉진케 하였다. 환자의 수면 부족이 그녀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허브 탕약 Guizhi Gancao Longgu Muli 탕(Cinnamomi Ramulus,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dragon bone and Ostreae Concha를 포함하는 고전 허브약제)[7]이 또한 그녀의 치료 계획에 추가되었다(5일 과정 동안Leishenshan Hospital Pharmacy(중국 우한)에서만든 탕액 1회 복용량).
5 . 결과, 퇴원 및 후속 조치
5.1 . 증상 및 징후의 변화
입원 1일차(2월 20일) 첫 침 치료 10분 후, 환자는 가슴과 하복부가 더 이상 긴장되지 않았으며, 호흡이 더 쉽고 깊으며, 마음의 상태가 훨씬 편안해짐을 느꼈다. 그녀의 침대 옆 모니터는 그녀의 심박수가 분당 12회(96회/분으로)로 감소했고 SpO 2는 8%(98%) 증가 했음을 보여주었다 . 또한 그녀 의 입술과 손톱의 청색증은 2시간 후에 확인했을 때 훨씬 덜해졌다. 침술만으로도 증상이 완화되는 효과가 매우 컸고, 이러한 치료 효과는 몇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었다( Fig. 2 ).
그림 2 . 질병발생일 및 입원 날짜에 따른 이벤트, 검사 및 치료 상황(2020년 2월 20일 ~ 3월 14일).
ac: ante cibum; SOB: 숨가쁨; PCR : 중합효소연쇄반응; CT : 컴퓨터 단층 촬영; po: per os (구두로 복용); ih: 피하 주사; iv gtt: 정맥내 주사(점적); bid: bis in die(하루에 두 번); 오후: 자오선 이후; q2d: 격일; qd: quaque die(하루에 한 번). *: day of admission; **: 질병 일.
9일 치료 후(2월 29일) 환자의 숨가쁨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그녀는 기침과 가래가 없었고 양쪽 다리에 부종이 없었고 잠도 더 잘 잤다. 이 치료로 개선되지 않은 유일한 증상은 쓴 맛과 함께 그녀의 마른 입이었다.
5.2 . 혈액 검사의 변화
2월 22일과 25일 에 SARS-COV-2에 대한 그녀의 PCR 검사는 음성이었다. 그녀의 혈액 검사에서도 개선이 치료 후에 관찰되었다. 2월 24일에 호중구/림프구(NLR) 비율이 14.14에서 7.55로 감소하여 그녀의 심각한 상태가 감소했음을 보여주었다( 표 1 ). 3월 8일에 그녀의 혈액 검사는 더 많은 개선을 보였고( 표 1 , 표 2 ) NLR 6.46이 이러한 경향을 지지했다.
5.3 . CT 스캔의 변화
입원 6일차(2월 25일)에 CT 스캔에서 "바이러스성 폐렴"이 나타났다( 그림 3 ).
그림 3 . 환자의 CT 스캔에서 폐렴의 변화 . (A–C) 2월 25일 CT 스캔; (D-F) 3월 1일 CT 스캔; (G-I) 3월 6일 CT 스캔. (A, D 및 G) 상부 폐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B, E 및 H)는 중간 폐를 나타냅니다. (C, F 및 I)는 하부 폐를 나타낸다.
침과 중약으로 매일 치료를 받았고, 입원 11일(3월 1일)에 흉부 CT에서 "폐렴은 어느 정도 흡수된" 것을 보여주었다( 그림 3 ). 환자는 여전히 약간의 숨가쁨과 수면 부족을 겪고 있었지만 쓴맛과 함께 구강 건조가 크게 개선되었다. 3월 6일 CT 스캔에서 "명백한 흡수"가 나타났다( 그림 3 ).
5.4 . 퇴원
입원 19일째(3월 9일) 환자는 발열, 기침 또는 가래는 없었으나 활동 후 약간의 숨가쁨과 쓴맛이 있는 경미한 구강 건조를 동반하나 건강 상태는 양호했다. 피로도가 좋아지고 수면도 정상이었고 배뇨와 배변도 정상이었다. 활력 징후는 심박수 78회/분, 호흡수 18회/분 및 SpO2는 99%였다. 산소 요법은 2L/min의 유속으로 비강 카테터 산소 흡입으로 감소되었다. 그녀의 입술과 손톱의 청색증은 훨씬 줄어들었고, 그녀는 명백한 숨가쁨 없이 SpO2 95% 유지되며 매일 3-4시간 동안 매일 간헐적인 산소 흡입을 사용하게 되었다. 증상 완화에 따라 침 치료를 격일 1회로 줄였다. 입원 24일째(질병 발생 51일째, 3월 14일)에 환자는 퇴원하였다.
5.5 . 후속 조치
퇴원 후, 그녀는 회복을 위해 우한 홍산 커뮤니티의 지정된 검역소로 보내졌다. 그녀는 집으로 돌아가기 전에 2주 동안 그곳에 더 머물렀다. 격리 기간 동안 그녀의 PCR검사(2회 실시)는 음성이었다. 2020년 4월 25일에 후속 점검이 이루어졌다. 환자는 활동 후 약간의 가래, 약간의 구강 건조, 약간의 숨가쁨과 함께 때때로 가벼운 기침을 했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증상 외에 식욕과 수면은 괜찮았고 다른 불편함은 없었다. SARS-COV-2에 대한 그녀의 PCR 검사는 여전히 음성이었다. 다른 추적 검사는 2020년 4월 29일에 수행되었다( 표 1 , 표 2 ).
6 . 토론
이 사례 연구는 당뇨병 없는, 증상이 반복되고 질병이 장기화된 난치성 중증 COVID-19 노령 환자(2명, 총 51일 입원)에 사용된 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 질병 프로필은 일반적으로는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우한에서는 중증 또는 치명적인 코로나19 환자의 치사율이 45.4%에 달하였다[8]. 이 중증 COVID-19 환자의 진단은 그녀의 명확한 COVID-19 질병 이력, 전형적인 임상 증상, 징후 및 실험실 테스트를 기반으로 했다[3] ; 심지어 그녀의 PCR 비인두 면봉 샘플 검사는 음성이었지만, 그녀의 상태는 악화되었다. 병리학적 증거에 따르면 비인두 면봉에서 PCR 검사가 3일 연속 음성이었고 퇴원 준비가 된 환자의 폐 조직에는 잔류 SARS-CoV-2 바이러스가 존재했다[9]. 이는 PCR 검사에서 음성으로 나왔다고 해서 코로나19가 몸에서 사라졌다는 의미가 아니며, SARS-CoV-2 바이러스로 인한 병리가 계속해서 다발성 장기 손상, 기능 장애 및 환자 사망을 유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에 따르면 COVID-19 환자는 4-5일에 비인두 면봉 검사에서 바이러스 양이 가장 많고 혈청 전환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환자는 증상의 두 번째 주에 발생한다. 그러나 혈청전환이 즉시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아니며 바이러스 부하는 천천히 감소해 갈 것이다[10]. 코로나19의 주요 영향을 받는 기관은 폐로 큰 기도와 폐포가 손상되어 질병을 중환자 및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으로 전환하게 된다. 폐 조직은 유리막, 폐 혈관 확장, 울혈, 림프구 침윤 및 혈전증에 의해 형성된 폐부종을 발생시킨다[9], [11].
이 환자의 치료 계획에는 침술과 중의약이 통합되었다. 패턴 차별화를 바탕으로 이 경우에 사용한 침술과 중약은, 환자의 코로나19 질환이 아직 중증인 상황에서 숨가쁨, 빠른 심박수, 거식증 등의 주요 임상 증상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들 요법은 산소 요법, 포도당 수치 조정 및 항생제 약물을 포함하는 표준 치료와 통합되어 이루어졌다. COVID-19 환자에 사용되는 항 바이러스 약제, oseltamivir과 arbidol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상당한 임상적 이점과 연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12] 반면, 항균제 약물 moxifloxacin은 세균 감염의 예방에 도움이 되었다.
NLR은 COVID-19 환자 상태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NLR이 4.06이면 심각한 COVID-19를 나타낼 수 있고, NLR이 9.38이면 호중구 수가 증가하여 코로나19 환자가 위독한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13], [14]. 연구에 따르면 심각한 COVID-19 사례는 백혈구 수치, 호중구 수치, 단핵구/림프구(MLR) 비율 및 NLR이 더 높았다. 심각한 경우 NLR 수치가 14.44까지 보고되었다.[13], [14]. 이 환자의 NLR 및 MLR은 각각 14.14 및 1.15로 Leishenshan 병원에 입원한 날이었다. 치료 후와 퇴원 전에는 각각 6.46과 0.78로 감소했고, 추적관찰(4월 29일, 퇴원 후 46일)에서는 5.83과 0.33으로 계속 떨어졌다. 동시에 염증 표지자인 젖산 탈수소효소와 C-반응성 단백질(CRP)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표1, 표2). 이 모든 것은 상당한 개선의 징후였으며 그녀의 임상 증상은 거의 사라졌다.
특히 중증 단계의 COVID-19 치료를 위한 침술은 중국과 서양에서 과소 사용, 과소 평가, 과소 보고되었다. 이러한 현상의 가능한 이유 중 하나는 환자가 장기간의 긴밀한 접촉을 통해 이 질병을 의료 제공자에게 전염시킬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침술이 1차 요법으로 채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중의학 의사는 의사의 한 종류이다.[15], [16] 그들은 침술을 포함한 통합 치료로 사용하는 병원에서, COVID-19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자격을 갖는다[17]. 서구, 특히 미국에서는 법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중의학 제공자는 면허를 소지한 침술사(LAC)이다.[15], [16]. 법적 장벽으로 인해 특히 병원의 COVID 병동에서 COVID-19 환자를 직접 치료할 수 없다[18]. 일부 의학저널의 편집자와 평론가들은 LAC가 이 연구를 배워 스스로 COVID-19 환자를 치료하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미국에서 이 학술 논문을 게재하는 것조차 어렵다는 것이 현 저자의 경험이다. 그러한 환자 치료는 법률 분야에서 분쟁을 낳을 수 있다.
이 증례 보고에서 우리는 침술이 환자의 호흡 곤란을 감소시키고 SpO2 를 증가시키며 상승된 심박수를 감소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동시에 침술은 환자를 진정시키고 항염 효과를 나타냈다. 첫 번째 치료 직후부터 그 효과가 나타났고, 매일 침 치료를 하면 효과가 더욱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침술은 수행하기 쉬웠고 명백한 부작용이 없었다. 시술자의 안전을 유지하면서 추가 침술을 시행할 수 있었다. 침술이 더 많은 코로나19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LAC는 COVID 병동에서 침술과 서양의료를 통합할 수 있도록 의사 및 법률가와 협력하고 법적 장벽을 극복해야 한다.
생물 의학의 관점에서 침술이 대식세포와 림프구와 같은 면역세포의 활동을 조절할 수 있고[19] 염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0]. He et al.[21]은 코로나19의 경우 침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콜린성 항염증 경로를 통해 미주신경을 활성화시켜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지적했다[22]. 패혈증 단계와 같은 중증 염증에서 침술에 의한 자율신경계 활성화가 면역을 유의하게 조절하고 내부 장기의 기능을 보호하며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전임상 연구 및 임상 시험 모두의 증거가 있다[23]. 중의학의 관점에서 현재의 침 치료는 신장과 비장을 강화하고 폐, 심장, 간을 조절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태계혈(그림 1)은 숨가쁨, 빠르고 얕은 호흡 또는 호흡곤란, 염증성 병변의 느린 흡수를 개선하기 위해 임상 실습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전적인 경혈인 신경락의 원혈이다. 연구에 따르면 태계와 함께 삼음교(SP6), 족삼리(ST36), 내관(PC6) 및 기타 경혈을 사용하면 침을 쓰지 않은 그룹과 비교하여 천식 환자의 폐 기능을 유의하게 개선했다[24].
삼음교(SP6), 신유(BL23) 및 비유(BL20)와 함께 태계를 자침하면, 만성피로 증후군 환자의 피로, 불면증 및 기타 증상을 개선했다. 그 기전은 혈청 인터루킨-6 및 인터페론-γ 수준의 감소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25]. 대사혈과 지천혈(그림1)은 Xu Zou 교수의 경험에서 채택한 경외기혈이다. 전자는 비장과 간경락의 교차점에 있으며 식욕, 피로 및 허약을 개선하는 데 좋다. 후자는 팔뚝의 손바닥 쪽에 있으며 현기증, 심장 두근거림, 가슴 답답함 및 숨가쁨 등의 치료에 좋다. 지천혈의 위치는 Wang Wenyuan 교수의 균형침에서 "폐 질병점"(Lung Disease Point : LDP)의 위치와 일치한다. Xu et al.[26]은 LDP 자침이 심각한 부작용 없이 천식 증상의 완화에 긍정적이고 신속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했다. Chai et al.[27]은 기관지폐암에 이어 흉통 환자의 치료에서 LDP에 '흉통점'을 결합하여 자침할 경우 그 총유효율이 이 83.3%임을 밝혔다. 침술의 효과를 빠르게 느낄 수 있으며,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태계, 대사혈, 지천혈의 조합은 Zou 팀이 여러 단계의 COVID-19 환자에 대해 사용되어, "Leishen Three Acupoints"로 불린다. 그들은 환자의 폐와 심장 기능을 개선하고 호흡수와 심박수를 감소시키며 심폐 상태의 악화를 예방할 수 있었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코로나19 치료를 위해 약초 요법을 권장했으며[3] 중국의 COVID-19 환자의 91.5%(또는 74,187명)가 표준 치료와 함께 중약을 사용했다[17]. Zhang et al.[28]은 중약재가 면역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고 제안하였다. Songet al.[5] 및 Ren et al.[29]은 이러한 한약재가 코로나19 환자의 사이토카인 폭풍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약재인 XBJ는 사이토카인 폭풍 및 전신 염증반응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 중증 및 위중증의 경우에 사용 권장되었다[30]. 그 가이드라인에 따라[3] XBJ는 이 환자의 치료에 맞게 조정되었다. 패혈증 수준을 낮추고 장기 기능을 개선하며 환자 상태의 나쁜 예후를 성공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Wen et al.[31]은 중증 코로나19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XBJ가 백혈구 및 림프구 수를 개선하고 CRP 수준과 적혈구 침강 속도를 감소시키며 급성 생리 및 만성 건강 평가 II 점수(APACHE II 점수)를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환자의 예후가 개선되었다고 보고했다.
Ma et al.의 연구[32]에서는, XBJ는 COVID-19 중환자에서 폐렴 지수의 중증도, 증상 및 징후가 개선되는 평균 시간, 핵산(PCR-검사)이 음성이 되는 시간, 폐 영상(흉부 X-선/ 흉부 CT) 개선 시간 및 기계적 환기 시간 등의 면에서 현저한 개선효과를 보였다고 한다. 한약재는 또한 환자의 면역기능 균형에 보조 역할을 했다. 침술과 중약을 표준치료와 통합하면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부작용이 감소할 수 있다[17]. 이 경우 실험적 공식인 Fuzheng Rescue Lung granules(Zhongde Zhang 교수와 Xu Zou 교수가 개발한 중국 특허약물 과립)은 특히 여러 번 치료를 받은 후에도 환자의 폐 감염이 악화되고 잘 흡수되지 않을 때 기본 약물로 투여되었다. 병의 경과는 한 달 반 이상 지속되었다. 침과 한약, 특히 3월 4일(발병 41일째)에 한약 처방을 추가한 덕분에 환자의 폐 감염 흡수가 훨씬 좋아졌고 한약 복용을 두 배로 하면서 대부분의 증상이 사라졌다. 동시에 완전한 혈구 수와 간 및 신장 기능에 대한 명백한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침술 제공자는 COVID-19 환자를 보기 위해 의료용 보호복과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침술 수행의 어려움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 문서에서 논의된 통합 요법의 한 부분으로 침술과 한약의 역할은 COVID-19에 대한 특정 약물과 치료법이 여전히 부족하지만 표준 치료의 효과를 대체하진 못했다. 표준 치료, 특히 보조 요법, 항생제 및 대증 요법은 중증 COVID-19 환자의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7 . 결론
잠재적인 효과와 치료의 안전성을 바탕으로 중증의 경우에도 COVID-19 환자에 대한 표준 치료에 침술과 한약을 통합할 것을 권장한다. 상당히 심한 경우라도 그러하다. 현재 사례 보고서는 탐색 및 예비 연구이다. 따라서 COVID-19 또는 이와 유사한 상태의 치료에서 침과 한약의 효과와 안전성을 추가로 연구하기 위해 보다 엄격한 임상 시험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자료
[1]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irector-General’s opening remarks at the Mission briefing on COVID-19—12 March 2020. (2020-03-12) [2020-11-26]. https://www.who.int/dg/speeches/detail/who-director-general-s-opening-remarks-at-the-mission-briefing-on-covid-19---12-march-2020.
[2]World Health Organization. Report of the WHO-China joint mission on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2020-02-16) [2020-11-26]. https://www.who.int/docs/default-source/coronaviruse/who-china-joint-mission-on-covid-19-final-report.pdf.
[3]National Health Commission & State Administ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iagnosis and treatment protocol for novel coronavirus pneumonia (trial version 7). (2020-03-03) [2020-11-26]. http://www.nhc.gov.cn/yzygj/s7653p/202003/46c9294a7dfe4cef80dc7f5912eb1989.shtml.
J.J. Gagnier, G. Kienle, D.G. Altman, D. Moher, H. Sox, D. Riley, CARE Group
The CARE guidelines: consensus-based clinical case reporting guideline development. Glob Adv
Health Med, 2 (5) (2013), pp. 38-43
CrossRef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Y. Song, C. Yao, Y. Yao, H. Han, X. Zhao, K. Yu, et al.
Xuebijing Injection versus placebo for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severe community-acquired pneumon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rit Care Med, 47 (9) (2019), pp. e735-e743
[6]National Pharmacopoeia Commission. Pharmacopoeia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Beijing: China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15: 14, 45, 87, 177, 191, 221.
Z. Wang, D. Ke, X. Huang, Y. Ding, C. Wang
Effect of Guizhi Gancao Longgu Muli Tang on sleep disturbances in menopausal women
J Tradit Chin Med, 37 (1) (2017), pp. 23-29
ArticleDownload PDF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F. Zhou, T. Yu, R. Du, G. Fan, Y. Liu, Z. Liu, et al.
Clinical course and risk factors for mortality of adult inpatients with COVID-19 in Wuhan, China: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Lancet, 395 (10229) (2020), pp. 1054-1062
ArticleDownload PDF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X.H. Yao, Z.C. He, T.Y. Li, H.R. Zhang, Y. Wang, H.M. Mou, et al.
Pathological evidence for residual SARS-CoV-2 in pulmonary tissues of a ready-for-discharge patient
Cell Res, 30 (6) (2020), pp. 541-543
CrossRef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R. Wölfel, V.M. Corman, W. Guggemos, M. Seilmaier, S. Zange, M.A. Müller, et al.
Virological assessment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COVID-2019
Nature, 581 (7809) (2020), pp. 465-469
CrossRef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11]Zhou B, Zhao W, Feng R, Zhang X, Li X, Zhou Y, et al. The pathological autopsy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2019) in China: a review. Pathog Dis 2020; 78(3):ftaa026.
N. Lian, H. Xie, S. Lin, J. Huang, J. Zhao, Q. Lin
Umifenovir treatment is not associated with improved outcomes in patients with coronavirus disease 2019: a retrospective study
Clin Microbiol Infect, 26 (7) (2020), pp. 917-921
ArticleDownload PDF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13]Ma Y, Shi N, Fan YP, Wang JY, Zhao C, Li GX, et al. Predictive value of the neutrophil-to-lymphocyte ratio (NLR) for diagnosis and worse clinical course of the COVID-19: findings from ten provinces in China. SSRN. (2020-04-14) [2020-11-26].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3569838.
S. Sun, X. Cai, H. Wang, G. He, Y. Lin, B. Lu, et al.
Abnormalities of peripheral blood system in patients with COVID-19 in Wenzhou
China. Clin Chim Acta, 507 (2020), pp. 174-180
ArticleDownload PDF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A.Y. Fan, H. Wei, H. Tian, J. Huang, S.F. Alemi
Universities of Chinese medicine enter the global stage of best universities rankings in 2020
Med Acupunct, 32 (3) (2020), pp. 136-142
CrossRef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A.Y. Fan, D. He, S. Gu, H. Tian, H. Ouyang, H. Wei, et al.
Estimated number of acupuncture practitioners in mainland China in 2018: multiperspectives
Med Acupunct, 32 (5) (2020), pp. 310-319
CrossRef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A.Y. Fan, S. Gu, S.F. Alemi
Research Group for Evidence-based Chinese Medicine. Chinese herbal medicine for COVID-19: current evidence with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Integr Med, 18 (5) (2020), pp. 385-394
ArticleDownload PDF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18]National Certification Commission for Acupuncture and Oriental Medicine. NCCAOM updates on coronavirus (COVID-19). (2021-01-04) [2021-03-10]. https://www.nccaom.org/nccaom-covid19-hub-coronavirus-updates/.
N. Yamaguchi, T. Takahashi, M. Sakuma, T. Sugita, K. Uchikawa, S. Sakaihara, et al.
Acupuncture regulates leukocyte subpopulations in human peripheral blood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4 (4) (2007), pp. 447-453
CrossRef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20]Zhao YX, He W, Jing XH, Liu JL, Rong PJ, Ben H, et al. Transcutaneous auricular vagus nerve stimulation protects endotoxemic rat from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ion.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2;2012:627023. [PubMed] https://pubmed.ncbi.nlm.nih.gov/23346208/.
W. He, X.S. Shi, Z.Y. Zhang, Y.S. Su, H.Y. Wan, Y. Wang, et al.
Discussion on the effect pathways of preventing and treating coronavirus disease 2019 by acupuncture and moxibustion from the regulation of immune inflammatory response
Zhongguo Zhen Jiu, 40 (8) (2020), pp. 799-802
[Chinese with abstract in English]
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22]Gao YQ. Therapeutic strategies for COVID-19 based on its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Zhongguo Bing Li Sheng Li Za Zhi 2020; 36(3):568–72,576 [Chinese with abstract in English].
W.X. Pan, A.Y. Fan, S. Chen, S.F. Alemi
Acupuncture modulates immunity in sepsis: Toward a science-based protocol
Auton Neurosci, 232 (2021), Article 102793
ArticleDownload PDF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24]Zhang WP. Effects of acupuncture on the pulmonary funct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different state of bronchial asthma. Zhen Ci Yan Jiu 2007;1:42–8 [Chinese with abstract in English].
Y.X. Xu, H.S. Luo, D. Sun, R. Wang, J. Cai
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fatigue syndrome based on “interaction of brain and kidney” in TC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Zhongguo Zhen Jiu, 39 (2) (2019), pp. 123-127
[Chinese with abstract in English]
CrossRef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G.F. Xu, F. Yan, M. Li
Balance acupuncture for 33 cases of asthma syndrome
Zhongguo Zhen Jiu, 32 (6) (2012), pp. 527-528
[Chinese with abstract in English]
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X.S. Chai, W.Y. Wu, H. Deng, Y.S. Zhou, Y.J. Zhao
Treatment of 24 cases of chest pain following lung cancer by balancing acupuncture therapy
J Acupunct Tuina Sci, 6 (2008), pp. 363-365
CrossRef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Y.G. Zhang, R.R. Tan, S.C. Ren, X. Ma, Z.X. Yan, H. Hua, et al.
New method for evaluating pharmacodynamic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unds based on its moderate regulation and principle of balanced adjustment of immunity under pan-immunomic
Zhongguo Zhong Yao Za Zhi, 43 (16) (2018), pp. 3229-3234
[Chinese with abstract in English]
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Y. Ren, M.C. Yao, X.Q. Huo, Y. Gu, W.X. Zhu, Y.J. Qiao, et al.
Study on treatment of “cytokine storm” by anti-2019-nCoV prescriptions based on arachidonic acid metabolic pathway
Zhongguo Zhong Yao Za Zhi, 45 (6) (2020), pp. 1225-1231
[Chinese with abstract in English]
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Q. Yin, C. Li
Treatment effects of Xuebijing Injection in severe septic patients with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Evid Based Complement Altern Med, 2014 (2014), Article 949254
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L. Wen, Z. Zhou, D. Jiang, K. Huang
Effect of Xuebijing Injection on inflammatory markers and disease outcome of coronavirus disease 2019
Zhonghua Wei Zhong Bing Ji Jiu Yi Xue, 32 (4) (2020), pp. 426-429
[Chinese with abstract in English]
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Q. Ma, M. Qiu, H. Zhou, J. Chen, X. Yang, Z. Deng, et al.
The study on the treatment of Xuebijing Injection (XBJ) in adults with severe or critical corona virus disease 2019 and the inhibitory effect of XBJ against SARS-CoV-2
Pharmacol Res, 160 (2020), Article 105073
ArticleDownload PDFView Record in ScopusGoogle Scholar
© 2021 Shanghai Changhai Hospital. Published by ELSEVIER B.V.
코로나19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중국에서 전개되었던 동의학 요법의 활약과 그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아래의 책을 소개합니다
https://hooclim.tistory.com/4934
책 소개 : 코로나19와 동의학 그리고 침뜸요법
코로나19를 동의학 약물과 침뜸요법으로 치료한다! 과연 가능할까? 여기 그 현장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지난해 중국에서 숨가쁘게 전개되었던 동의학에 기반한 코로나19 치료 임상과 그 효과에
hooclim.tistory.com
'동의학 이야기 > 코로나와 동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항 떴더니.. 코로나 백신 효과 100배 높아졌다”??? (0) | 2021.11.08 |
---|---|
COVID-19 대응에서 중의학 및 침뜸요법의 활용 (0) | 2021.09.28 |
코로나19 치료에서 침뜸요법의 활용 (0) | 2021.08.26 |
코로나19의 침뜸치료, 그 효과는? (0) | 2021.08.25 |
예언자의 약-흑종초(블랙커민씨드) - COVID-19 치료가 가능한가?[펌] (0) | 2021.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