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과 경락테스트
경락테스트란?
경락테스트란, 병증, 즉 심신의 이상은 경락의 이상으로 반영된다는 동의학 및 침구의학에 기초하여, 변증을 진단함은 물론 그 치료 프로세스를 이끌어내기 위한 침구의료의 한가지 기법이라 할 수 있다.
경락테스트를 주창한 向野義人에 따르면, 그 테스트의 수순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즉 上半身에서는, 頚・上肢・ 손목・体幹으로, 下半身에서는 下肢・발목・体幹으로, 각각 그 주요 관절에서 前屈,側屈,後屈 등의 운동 부하를 가하여 테스트한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을 참고할 수 있다.
*向野義人(2008), スポーツ領域の痛み, 田山文隆・加納龍彦(編), 痛みのマネジメント, 医歯薬出版株式 会社 pp.192-196
*向野義人(1999), 経絡テスト, 医歯薬出版株式会社
인체의 주요 관절에 前屈,側屈,後屈 등의 운동 부하를 가한 다음, 그에 대해서 통증이나 경직감 등의 반응이 나타나게 되면 관련 경락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해당 경락의 경혈을 취해 치료에 접근한다. 매우 심플하여 단시간에 습득할 수 있으므로 임상 활용에 대한 기대도 크다고 한다.
이때 병증을 유발하는 요인으로는, ①筋의 緊張, 硬結 및 疲労, ②日常生活에서 섭생의 부조, ③긴장 등 정신적 요인, ④날씨나 温度, ⑤수술 뒤의 후유증, ⑥ 病気 등이 거론된다. 이들 요인들로 인해 각 경락에 관련된 근 등이 긴장되고 그 결과로 통증이나 경직이 나타나게 된다고 보는 것이다
向野義人의 경락테스트
向野의 경락테스트는 頚・上肢・손목・体幹, 下肢・발목 등 전신에 존재하는 약 30여 곳의 관절을 대상으로 운동부하를 가해 테스트를 한다. 아래 그림을 참고할 수 있다.
*경락테스트 순서에서 각각의 운동의 부하는 아래와 같이 분류된다.
-1.頚後屈 2.頚前屈 3.頚側屈은 頸部에 대한 운동 부하
-4.肩伸展 5.肘回内 6.肩屈曲 7.肘回外 8.肩水平屈曲 9.肘屈曲 10.肩水平伸展 11.肘伸展은 肩 및 肘에 대한 운동 부하
-12.手尺屈 13.手橈 屈 14.手屈曲 15.手伸展은 手関節에 대한 운동 부하
-16.股伸展 17.膝屈曲 18.股屈曲 19.股屈曲 (膝屈曲) 20.股外旋 21.股内旋 22.股外旋은 膝関節에 대한 운동 부하
-23.足屈曲 24.足伸展 25.内返 26.外返은 足関節에 대한 운동 부하
-27.腰後屈 28.腰前屈 29.腰回旋 30.腰側屈은 腰部에 대한 운동부하
경락테스트는 기본적으로 각 관절에 대한 3방향의 운동 부하를 통해 이루어진다.
경부테스트를 통해 그 구체적인 절차에 대해 살펴보자.
먼저 준비 단계로, 좌위 상태에서 견 및 상반신의 긴장을 풀어주는데, 양 어깨를 2~3회 회전시켜 릴렉스해 준다.
다음으로 경부의 후굴, 전굴, 좌굴, 우굴 등의 순서로 운동부하를 가해준다.
이 때 통증, 경직감, 불편감, 늘어짐 등의 감각을 통해 평가한다.
통증의 평가는 주로 10단계(VAS)로 평가하지만, 환자에 따라서는 단계를 줄이거나 늘려 평가할 수도 있다. 이 평가 기준은 진단시와 치료 후에 공통으로 활용되어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데도 활용된다.
부위별로 관절운동을 진단이라는 관점에서 생각해 보면, 경부는 많은 경락이 주행하기 때문에 진단상 매우 중요한 부위이다. 경부는 팔다리의 관절과 달리 전신으로 이어지는 다수 경락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부 자체의 변증만이 아니라, 전신의 상태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경부 경락테스트와 관련 경락
-경부의 전굴 부하와 경락
경부의 후면에는 족태양방광경, 수태양소장경, 독맥 등이 주행한다. 따라서 경부 전굴 운동 부하 시 이들 경락이 직접 견인된다. 물론 표리관계의 경락(족소음신경, 수소음심경 등)도 함께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恐은 신장 및 신경과 또 喜는 심장 및 심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진단시 이에 대해서도 유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경부의 후굴 부하와 경락
경부 전면에는 양명경인 수양명대장경과 족양명위경 그리고 임맥이 주행한다. 후굴 부하시 이들 경락이 직접 견인된다. 더불어 표리관계인 수태음폐경이나 족태음비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思는 脾臓・脾経과, 悲憂는 肺臓・肺経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이에 대해서도 유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경부의 측굴 부하와 경락
경부의 측면은 수소양삼초경, 족소양담경이 주행한다. 측굴 부하 시 이들 경락이 직접 견인된다. 즉 경부의 측굴 부하는 수소양삼초경, 족소양담경 및 대맥에 영향을 미치며 또 표리관계의 수궐음심포경 및 족궐음간경과도 관련을 가질 것이다. 또 怒는 肝臓・肝経과 밀접한 연관이 이따는 점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참고
'동의학 이야기 > 침술 기법과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락테스트 3 : 경락테스트와 치료 예시 (1) | 2022.11.14 |
---|---|
경락테스트 2 : M-TEST와 그 활용 (0) | 2022.11.14 |
方云鹏의 두피침 (0) | 2022.05.11 |
“三段論”手針法 :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침술2 (0) | 2022.05.10 |
완과침(腕踝针) 요법 :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침술1 (0) | 2022.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