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락테스트와 치료 예시
*이하는 경락테스트를 주창한 向野義人이 주도하는 일본의 'M-Test研究会'가 예시로 정리하고 있는 치료 실례이다. 근골격계의 치료 스킴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한가지 좋은 범례로써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부, 어깨, 팔꿈치, 손목 부위의 치료
1. 상지 척측, 두경부 후면에서의 동작 제한
![]() |
- 손목관절을 요측으로 굴곡시켜 새끼손가락을 신전시킴 - 이때 통증이 유발된다면 소장경, 심경의 문제 - 소장경의 후계, 완골, 양노/ 심경의 신문 통리 등으로 치료 小海나 少海를 추가할 수 있음 |
-상지를 신장시킨 채 어깨를 굴곡시킴 - 이때 제한, 통증이라면 다시 팔꿈치 굴곡, 어깨를 외선시킴 -이 동작에서 문제가 없다면 小海나 少海를 활용 -동작에 문제가 있다면 파꿈치~어깨 사이의 소장경, 심경으로 대응 견정, 천종, 청령 등 -이 상태에서 내선, 외선의 동작으로 소장경, 심경의 부하 부담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
|
-경부의 기울어진 하방굴곡 시 통증이라면, 견외유, 견중유, 천종 -더불어 방광경, 독맥의 문제 유무를 판단, 문제가 있다면 천주, 대저, 풍문, 승산(방광경), 대추, 신주(독맥) 활용 |
2. 상지 요측, 두경부 전면, 전흉부에서의 동작 제한
![]() |
-수관절을 척골측으로 굴곡, 모지측을 신전함. 대장경 및 폐경에 부하가 걸림. -문제가 있다면 대장경의 합곡, 양계, 폐경의 어제, 열결 등을 취함 -추가로 수삼리, 공최 등을 배함 -상지를 펴고 어깨를 신전하여 문제가 있으면, 팔꿈치를 골곡시켜 어깨를 내선시킴 -이때 문제가 없다면, 곡지, 척택 등 손목 및 팔꿈치 주변의 경혈을 취함 문제가 있다면, 팔꿈치~어깨 사이의 대장경 및 폐경을 취함. 수오리, 천부 등 -어깨의 내선 시 문제라면 대장경을, 외선시 문제라면 폐경을 각각 취함 |
3. 상지 척측, 두경부 후면에서의 동작 제한
![]() |
-손바닥을 바닥쪽으로 굴곡, 수관절 배근을 신전, 삼초경에 부하를 가함 -문제가 있다면 삼초경의 중저, 외관 등을 취함 -반대로 수관절을 배굴, 심포경에 부하를 가함 -문제가 있다면, 심포경의 내관, 대릉, 노궁 등을 취함 -상지를 수평으로 내전, 외측의 삼초경에 부하를 가함. 견갑간부 견갑골하방도 신전 -반대로 외전하면 견 내측의 심포경에 부하가 가해짐 -이때 문제가 있다면 팔꿈치를 살짝 굽혀(팔꿈치 부하 완화), 내정/외전 부하를 가함 -문제가 없다면, 팔꿈치 전완을 대상으로 삼초경의 삼양락, 천정, 심포경의 곡택, 간사 등을 취함 -문제가 있으면, 팔꿈치~어깨 사이의 삼초경(청냉연 등)이나 심포경(천천 등)을 취함 -다음으로, 경부에 측굴 부하를 가함. 문제가 있다면, 견~경부의 삼초경(견정, 예풍, 이문 등)을 취함. 담경 문제로 판단될 경우에는 양릉천, 풍시, 일월 등을 취함 |
腰部・股・膝・발목 관절의 치료
4. 하지 후면, 체간 배면에서의 동작 제한
![]() |
-앙와위로 발목을 배굴, 족관절 부위의 방광경, 신경에 부하를 가함 -문제가 있다면, 방광경의 곤륜, 신맥, 금문, 신경의 태계, 태종, 조해 등을 취함 -한쪽편 하지를 거상. 문제가 있다면 무릎을 살짝 굴곡, 고관절을 굴곡시킴 -문제가 있다면 관련부 취함(그림 참조). 슬부의 위중, 합양, 대퇴부의 은문, 승부, 둔부에서는 질변, 백환유 등을 취함 -입위(좌위)에서, 전굴 부하로 문제가 있다면(요배부 방광경, 독맥의 신전 제한), 신유, 대장유, 명문, 요양관 등을 취함 -급성 요통 시에 상지까지 문제가 있다면, 소장경의 후계, 완골 등을 취함 |
5. 하지 전면, 체간 전면에서의 동작 제한
![]() |
-앙와위에서 발목을 저굴. 문제가 있다면 족관절 주위의 위경(해계, 내정), 비경(공손, 상구)을 취함 추가로 풀륭, 하거허 등을 배함 -복와위로, 한쪽 하지를 거상, 하지 전면에 부하를 가함. -문제가 있다면 대퇴부는 바닥에 내리고 슬을 굴곡시킴. 이렇게 하여 문제가 없다면 대퇴 전면의 위경(비관, 복토), 비경(혈해, 기문)을 취함 슬 굴곡 시 문제가 있으면, 대퇴/하퇴 전면의 위경(족삼리, 상거허), 비경(삼음교, 음릉천)을 취함 -입위(좌위)에서, 배굴 부하. 문제가 있다면 복부 위경(천추, 수도), 비경(대횡) 및 임맥을 취함 -급성요통으로 상지에까지 문제가 있다면 대장경의 수삼리, 곡지를 추가함 |
6. 하지 내외측, 체간 측면의 동작 제한
![]() |
-앙와위에서, 발목을 내전. 문제가 있다면 족관절 주위의 담경(족임읍, 구허, 현종)을 취함. 양릉천을 배할 수 있음 -한쪽 슬을 살짝 굴곡, 대측 슬 위에 올리고 외전(패트릭 테스트). -여기서 문제가 있다면, 슬을 굽힌 상태로 고관절을 굴곡시켜 내정/외전시킴 -패트릭테스트만으로 문제라면 양릉천, 풍시(담경), 곡천, 음포(간경)을 취함 고관절 굴곡 시 문제라면, 환도(담경)를 취함 -입위(자위)에서, 측굴로 요의 회선 동작. 문제가 있다면 좌측은 간경의 장문, 담경의 경문을, 우측은 담경의 대맥, 오추를 취함 -급성요통으로 상지까지 문제라면 상지 삼초경(중저, 외관)을 취함 |
*참고
'동의학 이야기 > 침술 기법과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제내경의 九鍼 (0) | 2024.03.30 |
---|---|
침술(鍼術)의 성립에 관한 연구[펌] (0) | 2023.07.06 |
경락테스트 2 : M-TEST와 그 활용 (0) | 2022.11.14 |
경락테스트 1 : 경락테스트를 통한 진단과 치료 (0) | 2022.11.14 |
方云鹏의 두피침 (0) | 2022.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