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과침(腕踝针) 요법
완과침은 손목이나 발목의 해당 지점에서 호침으로 피하침을 찔러 질병을 치료하는 간단한 침술을 말한다. 아마도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침법이라 할 만한데 상당한 효과가 인정되므로 참고할 만하다.
완과침술은 1970년댜 중국의 第二军医大学 张心曙교수에 의해 창안되어 널리 임상에 응용되어 왔다고 한다. 이 침술은 전통적인 경락학설, 이침, 경혈, 자침법 등의 경험적 영향 아래 신경증에 대한 전기자극요법의 경험을 토대로 반복적인 임상 경험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 특수한 신종 침술이라 할 수 있다.
이 침술은 우리 인체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종으로 3개 구역으로 나눈다. 좌우에 각각 있으니 전면에 3개 구역 *2(좌/우), 모두 6개 구역, 그리고 후면에 3개 구역 *2, 모두 6개 구역으로 나눈다. 인체 전면의 정중앙부를 1구역으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그 외곽에 2구역, 그리고 몸의 측면쪽으로 3구역 그리고 몸의 후면으로 돌아 배부의 측면이 4구역, 그 다음 5구역 그리고 척추 협척부가 6구역이 된다. 그리고 팔과 다리도 이에 상응한 방식으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각 6개 구역으로 나눈다. 그런 다음 횡격막 부위를 기준으로 다시 상하로 나눈다. 따라서 1~6의 6개 구역은 상1~6과 하1~6으로 다시 나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한 자침점을 팔목과 발목 부위에서 각각 6개를 두어, 위의 인체 6개 구역에 대응시킨다. 팔목의 6개 침점은 상체 및 상지의 6개 구역에(상1~6), 발목의 6개 침점은 하체 및 하지의 6개 구역(하1~6)에 각각 대응시켜 치료한다.
인체 6개 구역과 주치증
앞뒤 정중선을 기준으로 몸의 양 측면을 앞쪽에서 뒤쪽으로 6개의 구역으로 나눈다.
-1구역 : 전면 정중선 양쪽의 영역으로 이마, 눈, 코, 혀, 인후, 기관, 식도, 심장, 복부, 회음부를 포함한다.
주치증 : 이마통, 목적통, 코막힘, 침 흘림, 인후종통, 기침, 위복통, 심계통, 생리통, 백대, 유뇨 등
-2구역 : 신체 앞쪽 양옆(1구역의 양쪽)으로 측두부, 볼, 뒷니, 턱밑, 유부, 폐, 측복부를 포함한다.
주치증 : 후치통, 천식, 흉협통 등.
-3구역 : 신체 앞쪽의 외연(2구역의 외연)으로, 범위가 좁다. 귀곽 전연의 두면부, 흉복부, 겨드랑이 앞을 포함한다.
주치증 : 동맥통, 겨드랑이 앞 연을 따라 수직선 부위의 흉통이나 복통(해당 병증이 적음).
-4구역 : 신체의 앞뒤 경계지점의 두항, 귀, 겨드랑이가 수직으로 아래로 내려가는 구역을 포함한다.
주치증 : 정수리통, 이명, 난청, 겨드랑이 중선 부위의 흉복통.
-5구역 : 신체 뒤쪽의 양옆(2구역과 마주 보임)으로 머리, 목 뒤쪽, 견갑구, 몸통 양측방, 하지 외측을 포함한다.
주치증 : 목 뒤쪽 통증, 낙침, 어깨 등 통증, 옆요통 등.
-6구역 : 신체 뒷쪽 정중선 양쪽의 영역(1구역과 마주보고 있음), 뒷머리, 침항부, 척추부, 천추꼬리부, 항문 등.
주치증 : 후두통, 항강통, 요척통 등.
*사지의 구분 : 양쪽 상지 및 하지는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외선위, 양 하지를 맞대고 있을 때, 사지의 내측면은 몸통의 앞쪽에 해당한다. 외측면은 몸통의 뒤쪽에 해당한다. 팔의 경우 손바닥측 새끼손까락 쪽이 몸앞의 정중선(1구역)에 해당하고, 손등 측 새끼손가락 쪽이 뒤의 정중선(6구역)에 해당된다. 이렇게 해서 사지의 구획을 몸통의 구획과 연계하여 파악한다.
*상하의 구분 : 또 가슴뼈 끝과 늑골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몸을 감싸는 수평선을 그어 횡격선이라고 하는데, 이를 기준으로 몸의 여섯 구획을 위아래로 나눈다. 횡격선 위의 각 구에는 ‘上’자를 붙이고, 횡격선 아래의 각 구에는 ‘下’자를 붙인다. 상 1구역, 하 1구역과 같이 칭한다. 그렇게 하여 상1~6의 6개 구역, 하1~6의 6개 구역으로 나누어진다.
완과침 자침법과 적응증
위 신체 상하 각 6개 구역(모두 12개 구역)에 대응한 자침점 12개를 상지 팔목부와 하지 발목부에서 각 6개, 모두 12개의 침점을 둔다. 그리고 이들 신체구역의 병증과 침점을 서로 연계하여 치료에 활용한다. 즉 분구별로 병증의 소재지를 밝혀 완과부의 해당 구역을 취하여 자침점으로 한다. 손목과 발목에 각각 여섯 개의 점을 두어, 앞의 신체의 상하 여섯 개의 구역에 상응하는 것으로 한다. 아래에 각 점들의 위치와 그 적응증을 정리한다.
각각의 침점과 적응증에 앞서, 완과침 활용에서 가장 많이 강조되는 것이 동통의 완화라는 점을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사실 침술 임상에서 가장 뚜렷하고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바로 통증 완화이기 때문이다. 한편 많이 추천되는 경우로는 천주와 견정혈에 압통이 있다면 반드시 완과침이 효과적이라고 한다. 이 경우 침점은 상5점이다. 이들 침점과 다른 경혈을 함께 활용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1) 손목부의 자침점
자침점 6개. 손목 가로금에서 2횡지 부위(내관, 외관)에서 한 바퀴 도는 라인에서 취한다. 내측(손바닥측)에서 척측으로부터 요측으로, 또 외측(손등)에서 요측으로부터 척측으로 순서대로 상1, 상2, 상3, 그리고 상4, 상5, 상6으로 한다. 아래 그림 참조.
-상1 :
위치 : 새끼손가락 측 척골연 앞쪽에서 엄지손가락 끝 방향으로 오목한 곳을 눌러준다.
적응증 : 앞이마, 목질환, 코질환, 안면신경염, 앞치아 부종통, 인후종통, 기침, 위복통, 가슴두근거림, 현기증, 도땀, 불면증, 울증, 간질 등.
-상2 :
위치 : 손바닥 측의 중앙에서 손바닥 긴 힘줄과 요측완굴근 사이, 즉 내관혈이다.
적응증 : 상2 구역의 병증, 턱밑 부종통, 가슴 답답함, 가슴통증, 젖가슴 회복, 천식 등.
-상3 :
위치: 요골 동맥 바깥쪽.
적응증 : 고혈압, 흉통증 등 3구역의 병을 치료.
-상4 :
위치: 손바닥 안쪽 향, 엄지손가락 측 요골 가장자리.
적응증 : 두정통, 귓병, 턱관절염, 오십견, 흉통 등 4구역 병증.
-상5 :
위치 : 손등 측의 중앙, 즉 외관혈.
적응증 : 후측두부통, 오십견, 상지저림, 비증, 상지운동장애, 팔꿈치, 손목과 손가락관문 등 5구역의 병증.
-상6 :
위치: 새끼손가락 측 척골 연.
적응증 : 후두통, 침항통, 척추(목가슴)통증 등 6구역 병증.
(2) 발목부
발목부의 침점 6개. 내과 및 외과의 최정점에서 3횡지 라인(현종, 삼음교 높이)에서 한 바퀴 도는 지점에서 취한다. 아킬레스건 안쪽에서 시작해 한바퀴 돌아 다시 아킬레스건 바깥쪽 방향으로 차례대로 각 하1, 하2, 하3, 그리고 하4, 하5, 하6으로 한다. 아래 그림 참조
-하1:
위치: 아킬레스건 내연.
적응증 : 하1 구역의 병증. 복부팽만증, 배꼽주위통, 생리통, 백대다, 유뇨, 음부소양증, 족근통 등
-하2:
위치 : 내측면 중앙, 정강이 후연.
적응증 : 협통, 측복통, 과민성 장염 등 하2구역의 병.
-하3:
위치 : 정강이뼈 앞쪽 가장자리 안쪽 1cm 지점.
적응증 : 무릎관절통 등 3구역의 병.
-하4:
위치 : 정강이 앞쪽 가장자리와 비골 앞쪽 가장자리의 중간점.
적응증 : 사두근부통, 무릎관절염, 하지부전증, 하지마비, 발가락관절통 등 4구역을 치료.
-하5:
위치 : 외측면 중앙에 위치한다.
적응증 : 고관절통, 발목 염좌 등 5구역을 치료.
-하6:
위치: 아킬레스건 외연
적응증: 하6구역 병증. 급성요통, 요근의 손상, 천추장관절통, 좌골신경통, 비장근경련, 앞발가락 통증 등.
완과침의 주요 적응증
그 적응증은 임상 적용이 확대되며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다고 한다. 불완전한 통계이긴 하지만, 대략 약 50개 이상의 질병에 적용되어 왔다고 한다. 혈관성 두통, 요추 염좌, 치통, 관절통, 월경통 등의 통증 질환에 특히 뚜렷한 진통 효과가 있으며 치료 효과가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정맥, 편측안면경련, 안면마비, 급성유방염, 천식, 가려움증, 야뇨증, 히스테리 등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급성 결막염, 근시, 고혈압, 뇌졸중 및 편마비에도 일정한 치료 효과가 있다고 한다.
완과침술 운용의 기본
국소적인 병증은 병증이 있는 곳과 같은 쪽의 침점을 선택하고, 전신성 병증인 경우에는(불면증, 도한증 등) 상응한 양측의 침점을 선택한다.
즉 上病取上、下病取下;左病取左、右病取右를 기본으로 한다. 즉 우측의 상2구역이면 침점도 우완의 상2점을 위하는 식이다. 참으로 간명한 운용이다. 다만 전신성이라면 양측의 침점을 취한다. 또한 그 구역이 불명확하다면, 양 팔의 상1점을 취혈하라고 한다.
완과침의 조작법
-침점(상1~6, 하1~6)을 선택한 후, 피부를 통상적으로 소독하고, 의사 왼손은 침점 윗부분을 고정하고(엄지손가락은 피부를 당겨준다), 오른손 엄지 및 식지, 중지로 30도 각도로 빠르게 피하로 자침한다.
-30도 각도의 사자를 기준으로 하지만 이는 기계적인 것이고, 실제 기준은 침첨이 피부와 기육 사이에 놓이는 각도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실제 자침은 비만도나 해당 침점의 피부기육 상태를 고려하되 그 기준은 침첨이 피부와 기육 사이에 놓이도록 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침의 자입 각도는 실제로는 30도 보다 더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특별히 침의 조작은 불필요하다. 환자가 시고, 저리고, 팽창하고, 무거운 느낌을 갖게 되기도 하는데, 환자가 편안함을 느끼지 않도록 조절해 주는 것이 좋다. 특히 자침시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에는 방향, 깊이 등을 적의 조절한다.
-자침 깊이는 0.5mm에서 1.5인치 정도 등 다양하다.
-침의 방향은 일반적으로 위를 향하는데, 만약 병변이 사지 말단에 있다면 사지 끝쪽을 향하도록 한다.
자침 후 20~30분 정도 유침한다. 유침 시간은 필요시 연장 등 조절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자침 후 침을 반창고로 장시간 고정해 두기도 한다. 통상 1~2시간 정도로 하고, 다만 길어도 24시간 이내로 한다. 물론 48시간 그대로 둬도 좋다고도 한다.)
-보통 격일로 1회, 7~10회를 1과정으로 치료한다. 급한 병은 1일 1회도 가능하다.
-완과침은 0.25mm × 25mm나 0.22mm × 5mm의 침이 주로 사용된다. 전자는 바늘이 짧고 근육층을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된다. 후자는 주로 완과침에 사용되는데,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의 근시 치료에 사용된다. 또한 난치성 통증, 현기증, 사지 저림, 천식 및 정신 증상에 대해 서서히 치료 효과가 나타난다고 한다.
완과침 주의사항
(1) 완과침의 자침은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침이 들어갈 때 아프지 않도록 조절해야 한다. 침의 조절은 침을 피하표층 부분까지 뺐다가 다시 깊게 찌른다. 또는 침첨을 수직 방향으로 삽입하지 않도록 한다.
(2)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즉각 발침하여 어지럼증을 방지한다.
(3) 임심 3개월 이내의 경우에는 양측 하1번을 금하는 경우도 있다.
완과침의 침구이론 상의 위치와 평가
완과침 요법은 언듯 단순해 보이지만, 잘 음미해 보면 전통적인 경락이론에 그 맥이 닿아 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제기한 신체의 6개 구역(좌우 12구역)은 경락이론의 이른바 '12피부'와 대응된다고 할 수 있고, 팔목과 발목의 자침점은 12경맥의 순행 경로 상에 놓여 있어 역시 경락이론에 상응함을 볼 수 있다. 또한 완과침의 자침점은 실제 경맥 상의 경혈과 그 위치가 같거나 유사하다. 예컨대 그 위치가 경혈론의 '낙혈'의 위치와 유사하고, '오수혈' 위치와도 밀접한 상관성이 있다.
경락연구자들에 따르면, 고대의 의사들은 경맥 감각의 순행을 관찰할 때 팔찌나 발찌를 착용하는 손목 또는 발목 약간 위쪽에 원을 그리며 6개의 자극점, 즉 음측에 3점, 양측에 3점을 취했을 것이라고 한다. 각각 수삼음(手三陰), 수삼양(手三陽), 족삼음(足三陰), 족삼양(足三陽)이라 이름하여, 경락을 따라 느끼는 감각을 구별하였다. 이렇게 3개의 맥을 1개조로 모두 12개의 맥이 된다. 물론 그 주치증 면에서도 경락이론의 그것과 밀접한 유사성을 갖는다. 즉 각 자침점의 주치증은 지나는 경맥의 병증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완과침의 전통 침구이론과의 밀접한 연관은 그 자치점의 위치 뿐만 아니라 자침시 침첨이 놓이는 위치까지 함께 고려하면 더욱 풍부해진다. 한편 완과침의 침법은 전통적인 침술이론의 피하천자 침법에 해당한다.
한편 현대의학적으로도 완과침에 의한 자극은 신경 종말의 전도를 통해 병변 부위의 경련을 완화하고 혈액 순환을 개선하며 증상을 완화 또는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완과침은 전통 침구이론에 닿아 있으며, 그 임상을 통해 풍부해진 중국의 현대적 침법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는가 하면, 현대의학적으로도 신경전도를 통한 치료효과가 기대되는 침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자료
针灸微针—腕踝针疗法(https://zhuanlan.zhihu.com/p/563028314)등 참조
*연관자료
-"3단론"수침법 :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침술 2
https://hooclim.tistory.com/5437
“三段論”手針法 :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침술2
“三段論”手針法 “三段論”手針法 이 침법은 러시아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보이는 한 중국 침구사(吴谨辰씨)가 네트워크 상의 토론방에서 소개한 것으로 그 출처와 이론 근거는 불명이지만,
hooclim.tistory.com
-뺨침 요법 :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침술 3
https://hooclim.tistory.com/6557
뺨침요법 :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침술 3
뺨침(頰針)요법과 그 의의(중국의 신침술) 뺨침(頰針)의 출현 새로운 침법은 대부분 우연한 기회를 통해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뺨침요법 역시 마찬가지였다. 1991년 7월, 중국인 王永洲라는
hooclim.tistory.com
-배꼽침 요법 :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침술 4
https://hooclim.tistory.com/6648
배꼽침 요법 :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침술 4
제침(臍針)요법(배꼽침 요법)의 원리와 임상운용 I. 제침요법(배꼽침법)의 출현 제침요법은 배꼽을 중심으로 한 침술로 전신을 치료하는 요법이다. 베꼽 주위의 몇 안되는 혈자리로 자침이 이루
hooclim.tistory.com
'동의학 이야기 > 침술 기법과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方云鹏의 두피침 (0) | 2022.05.11 |
---|---|
“三段論”手針法 :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침술2 (0) | 2022.05.10 |
'아시혈'(阿是穴) ='천응혈'(天應穴) 이야기 (0) | 2021.10.14 |
신 침구요법 소개 : 岐黃針療法 (0) | 2021.10.06 |
간접뜸 雷火灸의 방법과 임상 응용 (0) | 2021.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