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말 일본 외과의사 大久保適斎의 침구 세계
大久保適斎, 20세기 초 일본 서양의로써, 자신의 신경증을 침구로 해소하였던 경험을 계기로 침구에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연구하여 침구의 신경지를 개척한 것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그런 만큼 그의 침구 세계는 통상의 동의학 경락론과는 크게 다르다. 즉 스스로가 잘 아는 현대의학의 해부생리학을 기초로 침구이론을 구축하고 있다. 스스로 ‘자율신경 수술’이라 칭하는 침구법을 제시하였다.
(이하 大久保適斎著『鍼治新書』<手術篇>の要点, 現代医学的鍼灸治療 블로그를 참조하여 정리한 것임)
그의 침구세계는 『鍼治新書』로 남겨져 있다. 明治25年 발간이니 1892년의 일로 그 내용을 감안할 때 매우 놀라울 뿐이다. 이 책은 「解剖編」「治療編」「手術編」의 3부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이 가운데 「手術編」이 침구치료법에 해당한다고 한다. 여기서 ‘手術’이란 외과수술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해부생리학적 이론에 기초한 침 시술을 의미한다.
大久保適斎는 「治療編」에서 침의 치효 작용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고 있다. ① 신경의 운동 가지에 작용한 경우에는 근육 경련을 진정시키고 마비(운동 마비)를 회복시킨다. ② 감각신경 가지에 작용했을 경우에는 통증을 진정하고 저림(지각둔마)을 회복시킨다. ③교감신경에 작용한 경우에는 내장기능을 조정한다고 한다. ③에서 말하는, 교감신경을 통해 내장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고는, 후대 학자들에 의해 이른바 신경반사(체성-자율(내장) 반사)로 구체화되었는데, 당시로서는 매우 선진적인 것으로 평가할 만하다.
그에게 있어 자침점은 매우 간명하다고 한다. ‘本’의 치료가 효과가 있으면, 일일이 말초를 치료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아래에서 소개하는 11점을 중시한다. 먼저 내장-교감신경 수술로서 사용하는 것 좌우 6점, 체성신경 자극점이 5곳이다.
내장-교감신경 자극점 : 경부 교감신경점(3곳), 요부 내장점(3곳)
체성신경 자극점 : 상지부(3곳), 하지부(2곳)
경부 교감신경점
후 경부의 후정중의 좌우 외방 1촌 지점으로, 심자(深刺)하면 상·중·하 교감신경절에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한다. 신경 자극을 통한 반사가 인체 생리의 조절에 작용을 할 것으로 이해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부 개소에서는 ‘해당부위의 천자(淺刺) 시 부교감신경에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도 볼 수 있는데, 사실 해부생리학적으로 이 부위는 교감신경보다는 부교감신경 자극과 통한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a) 경부 제1위점(상경신경절점, ‘천주’혈로 추정)
-위치/ 유양돌기 첨부와 하악각 사이의 중간에서 경추를 향해 경추 중앙에 이르는 수평선을 그린다. 그 중앙으로부터 좌우로 1횡지 떨어진 곳, 척추체의 좌우 근육 융기부이다.(C2~C3 사이 높이)
-자침법/
천층 수술 : 자입 5푼~8푼 정도. 부교감신경의 운동성 후지를 자극한다.(다소 모호)
심층 수술 : 자입 8푼~1촌. 척추동맥으로의 자입을 피하기 위해 약간 바깥쪽으로 자입한다.
-의의
심층 수술은 교감신경 상경신경절에 자극을 준다. 상경신경절에서는 상심장신경이, 중경신경절에서는 중심장신경이, 하경신경절에서는 하심장신경이 각각 심장신경총에 들어간다. 한편, 미주신경의 가지인 상경심장지와 하경심장지에 영향을 미친다.
폐와 관련해서는 심층 수술로 상경신경절의 후두지 미주신경에 영향을 미친다. 또 천층 수술은 부교감신경 지배의 승모근가지이며, 이는 폐와 기관에 흥분 또는 진정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천식과 동계의 진정에 사용될 수 있다.
b) 경부 제2위점(중경신경절점)
-위치/ 제1위점과 제3위점의 중간. 경추의 좌우로, 제4 제5 경추 횡돌기 간(C4~C5).
-자침법
천층 수술 : 6~7춘. 부교감신경의 운동성 후지를 자극한다.(모호?)
심층 수술 : 1촌~2촌. 숙련된 사람 이외에, 심층 수술을 신중히 할 것.
-의의/
심층 수술은 경부 교감신경 중경신경절에 자극을 전파한다. 제1위점의 보조.
c) 제3위점(하경신경절점 또는 성상신경절점. 치천 또는 정천)
-위치/ 경추 C6~C7, 또는 C7~T1 사이 횡돌기 간. 7경추 극돌기의 기준으로 좌우로 1횡지의 곳. 때로는 제1 흉추와 제2 흉추 사이인 경우도 있다.
-자침법
천층 수술 : 자입 6푼~8푼. 부교감신경의 운동성 후지를 자극한다.(모호)
심층 수술 : 1촌~2촌.
-의의
심층 수술은 하경신경절에 자극을 전파하는데, 무엇보다 심장을 고무하는용이 있다. 때로 호흡 촉진술로도 통한다. 호흡 촉진의 효능은 교감신경 가지로부터 반사적으로 상후두 가지 하후두 가지를 흥분시켜 호흡압제의 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자침점은 가래 분비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나타내기도 하지만, 완전히 그 효능을 발휘할 때까지는 이르지 않는다.
요부 내장점
3점의 치료점이 있는데, 요부 교감신경 가지를 자극하는 것이 목적인데, 침첨이 직접 해당 교감신경절에 도달해야 하는 거은 아니다. 척수신경의 앞 가지(전지)에 도달하면 그 자극이 교통지로 전달되어 교감신경절에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a) 요부 제1위점(삼초유)
-위치/ 제1요추와 제2요추의 횡돌기 사이. 복와위 자세로 계륵을 찾아 그 하선에서 수평으로 요추 극돌기에 이르는 라인보다도 1추체 혹은 2추체 올라간 곳을 취한다. 2추체 이상에서는 늑간신경통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요추 극돌기를 중심으로 좌우로 1횡지 내지 1횡지 반을 지점으로 한다.
-자침/ 2촌~2.5촌.
-의의/ 태양신경총의 분지에 자극을 전파함으로써 위·간의 기능 및 소변의 분비를 조리한다. 또한 장이 기능 항진하여 생긴 설사를 진정한다. 배설물의 후박은 배의 연동에 관련한다. 그 기능 항진하면 장 내용물의 통과가 빨라지고 액체 흡수 시간이 적어지고 수분은 증가하여 설사를 하게 된다. 그 밖에도 신경절단에 의해, 혹은 다른 사정에 의해, 장신경 및 림프관 마비일 경우에도 설사를 한다. 이 경우 강직성 자극이 필요하다.
b) 요부 제2위점(대장유)
-위치/ 제4~제5 요추 횡돌기간. 장골 능선을 찾아, 요추에 이르는 수평선을 긋고, 그 극돌기의 1절 위의 극돌기의 좌우 각각 1횡지~1횡지 반의 곳.
-자침/ 2촌~3촌 자입, 비상시는 4촌까지 자입. 이 때는 기준점보다 바깥쪽에서 침첨을 척추의 전면을 향해 자입.
-의의/
복대동맥 신경총에 대한 자극이 목적이다. 그 세포로부터 다수의 분지가 생기는데, 근층에 위치하는 마이스넬 점막하 신경총 및 아우엘바흐 장관점막 신경총, 미주신경의 말초단을 자극하면, 위 운동을 촉진하고 동시에 장관에도 동일한 운동을 유발한다. 이 운동은 하장간막 신경총에서 오고, 미주신경과 동일한 운동을 영위하는 장 상부의 운동은, 이 2위점의 수술을 필요로 하며, 그 이하에 대해서는 침첨을 아래쪽으로 향할 필요가 있다. 이 자극은 장의 통증을 치료한다. 침첨을 조금 아래쪽으로 향해 자입하면, 하장간막 신경총에 자극을 주어, 하행결장, S상결장 및 직장의 운동을 진행시켜, 변통을 촉진한다. 또한, 설사를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지속성 자극법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c) 요부 제3위점(관원유)
-위치/ 제5요추~천골외 상부와의 간극.
-자침/ 2촌~4촌 자입(제2위점과 같은 자입 요령) 자입. 腸骨櫛을 탐색하고 요추에 이르는, 그 횡돌기와 천골 날개(선골 상외방의 돌출 부분) 사이에 자침점을 구하는 것은 전례와 동일하다. 무엇보다, 이 점에서는, 제4 요추와 제5 요추의 극상돌기의 사이에 통신을 정해, 그것보다도 좌우로 자침점을 구하면, 침끝은 정확히 제5요추 극돌기와 천골 날개 사이의 틈으로 자입한다.
-의의/
하복신경총에 대한 목적은 방광·자궁에 대한 치료에 있다. 그 옆의 하복의 혈행을 조절한다. 그 밖에, 이 자침점은 하장간막 신경총의 하부를 보충하는 곳의 상치신경(上痔神経)을 자극해, 결장하부 및 직장의 운동에도 작용하기 때문에, 변비에도 효과가 있다.
자궁 기능에도 작용한다. 그러나 출산에 임했거나, 혹은 단순히 자궁을 수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견정, 합곡, 삼음교에 자침해도 좋다. 자궁을 운동시키는 요소는 다수 있지만 직접 자극과 반사에 의한 자극으로 대별된다. 직접 자극의 첫 번째는 하복신경총, 두 번째는 천골신경총에서 발하는 발기신경, 세 번째는 요부 천골부의 척수이다.
한편 반사에 의한 것은 좌골신경총과 완신경총(완신경총의 중심을 자극해야 한다)이다. 또한 유방을 자극하면 자궁 수축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견정은 침첨의 방향을 좌우로 가져가면 완신경총의 중심에 닿을 수 있다. 또한 삼음교도 침술을 좌우로 움직이면 좌골신경의 말단에 닿기 때문에 그 수축을 일으킬 수 있다.
이 2점을 모든 임산부 실시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좋지만, 분만시의 태아 배출을 돕고 불규칙한 진통을 없애는 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3위점을 필요로 한다.
임산부에게서 정규의 배출력에 더해 배출 작용을 강력하게 늘리고, 신속하게 배출을 시켜, 임산부에게 불필요한 노력, 피로를 증가시키지 않고, 또한 자극 자체를 위해서, 탈태 조산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신념을 가지고 수행하도록 한다.
d) 후천골공 자침(상료, 차료, 중료, 하료)
이 부위는 체성신경으로는 음부신경, 부교감신경으로는 골반신경이 지배하고 있다. 교감신경으로는 하복신경이 지배하고 있는데, 하복신경은 비뇨기과나 부인과의 의사 이외에는 그다지 의식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해부학적 특징을 무시하고 교감신경 수술 부위로는 후천골공 자침을 실시한다.
-위치/ 제1~제4 후천골공
-자침/ 제1 천골공은 약간 상방을 향해 자입. 제2 혹은 제3 천골공은 직자한다. 약 2촌.
능숙하게 자침하여 그 목적에 도달하면 환자는 치유 감각을 크게 느낀다.
-적응/ 자궁, 기타 소골반의 질환
상지의 침
상지에는 다음 3종류의 자침점이 있다. 상지의 질환은 경신경총에 자극이 전달되도록 해야 하므로 경부의 제2위점에서 시술토록 한다. 팔뚝과 손에 증상이 있을 때는 상지의 3점의 자극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a) 요골점(수오리)
삼각근 정지부와 상완골 외측 상과의 중간.
b) 척골점(청령)
상완골 내측 상과의 상부 4~5㎝의 곳으로, 척골신경 통로에서 찾는다.
c) 정중점(곡택)
상완골 내측 상과의 상부 2㎝의 상완 이두근 내측두 중임. 자입할 때는, 팔뚝을 구부리고 팔꿈치 관절을 상완을 향하도록 하여, 대략 1촌의 곳으로 요골 전면으로 침첨을 향하도록 자입한다. 1촌.
※부점으로, 전완 후면에 자침한다. 팔뚝을 구부리고, 그 후면의 척골 추상돌기와 요골두 사이의 중간에서 팔꿈치 쪽으로 1촌의 곳으로, 척골의 요골측에 1촌 자입한다.(위치 불명료)
하지의 자침점
a) 고골점(음염 또는 발오리)
상전장골극과 치골봉합의 중앙에서 약간 외방에 가상점을 취한다. 거기에서 사타구니구 아래로 약 2촌 지점에 자침점을 정한다. 약 1촌 자입하여 자침점 안쪽으로 침체를 기울이면 자침 때 피부에 자통을 느끼는 대퇴신경 자극이 이루어진다.
b) 좌골점(환도 취혈의 한가지)
좌골결절과 대전자의 중간. 약 1촌 자입. 이 자침점은 모든 가지에 격통을 일으키므로 극도로 완고한 신경통이나 마비증이 아니면 함부로 자침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 점은 대부분의 경우 시술할 필요가 없다. 고골근의 질환은 요추 제2 제3위에서, 통상의 자침점 약간 바깥쪽으로 잡으면 그 목적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강하게 이 좌골점에 자침하고자 한다면(마비증의 경우에는 가능하다), 중앙부, 대전자에서 슬와까지를 삼등분하여 자침하면 강한 통증을 피할 수 있다.
c) 하퇴의 부점
①족삼리
족삼리는 심비골신경을 자극함과 동시에 경골동맥과도 관련이 있다. 족삼리의 위치는 전경골근과 장지신근 사이에서 장지신근에 가깝게 자침하는 것이 좋다.
발등의 지각지에 자극을 주려고 하면, 동소에서 장지신근의 외측(천비골신경 자극의 대표 혈로서 양릉천)에 그 자침점을 구해야 한다.
②삼음교
삼음교는 후경골신경의 하단 및 발바닥신경에 자극을 준다. 내과첨에서 한 주먹 위의 장지굴근 뒤쪽에 자침점을 정한다. 이 점은 발바닥 운동·지각의 질환을 주치한다.
기타 자침점
a) 회기침(回気鍼)
①수구
수구, 즉 인중에 자침. 코 중격 직하에 자침하, 4~5푼. 비구개신경(삼차신경 제2지의 가지)을 자극할 수 있다. 이 자침점의 자극은 비구개신경으로부터 반사적으로 정신을 환귀시켜 준다. 이는 암모니아를 흡입시켜 비강 점막을 자극하는 것과 동일한 원리이다.
②자궁(紫宮) 직측(왼쪽)·옥당 직측(왼쪽)
왼쪽 제2 늑간 내지 제3 늑간에서 흉골 좌연. 흉골 후연을 향해 1.5촌 자침. 심장 자동성 운동 중추에 자극을 준다. 이 자침은 매우 주의해야 하는데, 폐 운동을 정지한 후가 아니면 자침해서는 안된다. 호흡 정지 후 3분 이내가 아니면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고 되어 있다.(자세한 것은 생략)
b) 방광침(곡골)
치골 봉합 상점에 자침점을 정해, 하사자, 1.5촌, 때로는 2.4촌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 목적은 방광에 도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肥痩를 고려해야 한다. 방광이 심하게 축뇨 팽창한 상태라면 굳이 하사자할 필요는 없다. 치골상연에 접해 자침하면 복막을 건드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것도 적다는 이점이 있다. 경련증에 대해서는 1침으로도 효과를 거둘 수 있으므로, 효과를 거둔 후에는 썰매에 침을 해서는 안된다. 마비증에 대해서는 하루에 한 번 또는 격일에 한 번 하는 것도 좋다.
c) 횡격막침
①경부의 점
횡격막의 근육에 강직을 일으키기 때문에 증상을 확실히 병태 파악하여 시술해야 한다. 그 위치는 흉쇄유돌근의 외연을 따라 사선을 긋고 또 환상연골 하연에서 수평선을 그어 그 두 선이 교차하는 곳. 한편 이 점은 경동맥의 손상이 우려되기 때문에 박동을 느끼면서 동맥을 피하도록 노력한다.
② 요부의 점(胃兪)
요추 제1위점(三焦兪)의 1추 위에서 좌우 1횡지의 곳을 자침점으로 한다. 이것은 横隔膜脚 자극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2~2.5촌 자침. 이 침은 때로는 늑간 신경통을 일으켜 호흡 운동을 방해할 수 있다. 대략 3 ~ 4일 만에 치료된다.
③기문(期門)
계륵부에서 제9 늑간의 연골부. 8푼 자입.(원저에서는, 「장문」이라 했는데, 오늘날 장문혈은 제11 늑골 첨으로 정하고 있다.)
d) 치통침
①상치통(객주인, 상관)
외이공 직하에 자침점을 정해, 하악지를 따라, 약간 전방으로 침첨을 진행시킴. 1~1.5촌. 이것은 상치조신경에 자극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②하치통(협거)
하악각의 첨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살짝 윗쪽으로, 가능한 한 하악골을 따라 진행, 1촌. 혹은, 하악각에서 뺨으로 1횡지 들러간 곳에서 협골 내면을 향해 위로 자침, 5푼. 이것은 하치조 신경에 자극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코멘트
본저는 침구의학사에 실릴 정도로 중요한 서적이다. 그런데 문체가 明治調이고, 전문적인 문장인데다 현대의학과는 다른 용어도 있어서 현대어로 파악하는데 의외로 시간이 걸린다. 이하, 본저에 대한 주석을 기재한다.
①大久保適斎라고 하면 경부 교감신경절에 영향을 주고자 하는 침으로 유명하다. 후경부의 후정중의 좌우 외방 1촌에서의 심자가, 상·중·하 교감신경절에 영향을 주는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같은 지점에서의 천자하는 경우에는 부교감신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 부분은 이해할 수 없다.
② 상지와 하지의 자침은 말초신경에 대한 것이므로 오늘날에도 같은 방법은 널리 행해지고 있다. 단, 상지 3점, 하지 2점으로 하는 자침점의 간소화는 대담한 것이다.
③회기침의 인중 자침은 청뇌개규법에서도 사용하는 것이다. 청뇌개규법에서는 뇌혈관장애에 의한 의식장애에 사용한다. 신경주행의 맥락에서 고찰하고 있는 것이 흥미롭다. 회기침의 왼쪽 늑골부 자침은 심 정지에 대한 응급 처치이다. 의사 특유의 내용이지만, 침구로 이런 일도 할 수 있을까라고 감탄한다.
④횡격막 침의 「경부의 점」의 위치는, 불명료했지만, C3∼C4 전가지에의 자침으로 펄스를 걸면 횡격막이 리드미컬하게 움직이는 것은 자주 볼 수 있다.
횡격막 침의 요부의 점(위유)이 横隔膜脚 자극하는 것으로 된다는 것은 石川太刀雄의「内臓体壁反射」에서도 동일한 기재를 볼 수 있다.
⑤치통 침의 내용은 柳谷素霊의「秘法一本鍼伝書」의 내용과 유사하지만, 「秘法一本鍼伝書」에는 국소 해부나 치효 이론의 기재는 없다.
'동의학 이야기 > 일본 침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침뜸의학의 역사 (0) | 2023.01.04 |
---|---|
현대 중국침구학 형성에서 일본의 영향 (0) | 2023.01.03 |
柳谷素霊先生의 業績 (0) | 2022.12.07 |
柳谷素霊이 말하는 침뜸의 과학적 작용 (1) | 2022.12.07 |
西條一止의 自然鍼灸学 (0) | 2019.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