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립보건원(NIH) 국립보완통합보건센터의 침술 접근에 대한 평가와 활용
(https://nccih.nih.gov/health/acupuncture/introduction)
Bottom Line
■ 침술에 대해
침술에 관한 연구(특히 배부통증, 목통증, 변형성관절염/무릎 통증, 두통)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다양한 건강 상태에 대한 침술의 효과에 대해 이해하기 시작한 정도이다.
■ 침술의 효과에 대해서
연구에서 침술은 일종의 통증 상태를 제어하는 데 효과적일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다. 물론 기타 건강 문제와 관련한 그 가치에 대한 증거는 분명하지 않다.
■ 침술의 안전성에 관해
침술은 경험이 풍부하고 잘 훈련 된 시술자가 소독한 침을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 부적절하게 이루어진 침술은 심각한 부작용을 수반하는 경우도 있다.
침술은?
침술은 종종 시술자가 신체의 특정 부위의 피부에 가느다란 바늘(침)을 刺入하여 그 부위를 자극하는 것으로, 중국 전통의학의 치료법 중의 하나이다. 중국의 전통의학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NCCIH 웹 사이트를 참조할 수 있다.
(https://nccih.nih.gov/health/whatiscam/chinesemed.htm)
침술의 효과의 과학적 근거
많은 연구 결과에 따라 침 치료는 요통, 목 통증, 변형성관절염/무릎 통증 등 많은 만성 통증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다. 또한 긴장형 두통의 빈도를 감소시켜 편두통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침술은 만성 통증이 있는 사람에게 가능한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표준 치료지침에는 일관성이 없다.
두부나 신체에 대한 침술의 효과 및 평가는, 이제 막 이해되기 시작하였. 최신 증거에 의해 침술과 관련이 없는 많은 요소(기대나 믿음 등)가 침술의 통증에 대한 효과에 중요한 역할을하고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고도 있다.
침술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다음을 참조하십시오.
-허리 통증에 관하여
+ 2012년에 행해진, 요통과 경부 통증에 대한 침술의 데이터분석은 실제 침술치료가 침 치료를 받지 않거나 가짜 침술을 행한 경우에 비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의료연구 · 품질 조사기구(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의 2010년 리뷰에서는, 침술 치료 후 허리 통증이 즉시 완화되지만 그 효과는 오래 지속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2008년 허리 통증에 대한 침술연구의 체계적인 검토(Systematic Review)에서는, 일반적인 치료 단독 보다는 일반적 치료와 침 치료를 병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확실한 증거가 인정되었다. 이 리뷰는 또한 요통 환자에 대한 실제 침술과 가짜침 치료 효과에 차이가 없다는 확고한 증거도 인정했다.
+ 2007년 미국통증학회(American Pain Society) 및 내과학회(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에 의해 발행된 임상 진료 지침에서는 만성 요통 환자의 셀프케어(몸을 움직이거나 따뜻하게 하거나 진통제를 복용하거나 하는 환자 스스로 할 수 있는 요법)에 효과가 보이지 않을 경우 의사가 고려해야 할 비약물 치료의 하나로서 침술을 권장하고 있다.
-경부 통증에 대해
+2009년의 분석은 경부 통증의 경우 실제 침술이 가짜침술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분석은 아직 적은 수의 증거(참가자 수가 적은 단 3건의 시험)에 기반하고 있다. 14,000명 이상의 대규모 독일 시험연구에서는 경부 통증의 일반적 치료에 침술을 병용하였을 경우의 효과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이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보다 통증 완화에 매우 효과가 있었다고 참가자가 보고한 것이 인정 되고 있다. 그러나 가짜침 치료와 실제 침술과의 비교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관절염 / 무릎 통증에 대해
+ 남여 282명을 대상으로 한 2014년 호주의 임상시험에서는 침술과 레이저 침술 치료가 관절염/무릎 통증 치료에서 침술 없이 치료하는 것 보다 중등도로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가짜 레이저 침술에 대한 우위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참가자는 8 ~ 12회 침술 및 가짜침 치료를 12주 동안 받았다. 이 시험의 결과는 과거의 시험 결과와 거의 일치하고 있으며, 침술은 관절염 통증을 완화한다는 점에서 침술 없는 치료 보다 항상 유효하지만 가짜침술보다 반드시 유효하지는 않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 침치료 시험 참가자에 대한 2012년의 대규모 데이터 분석은 실제 침술이 가짜 침술이나 침술없는 치료에 비해 관절염 통증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슬관절 또는 고관절의 관절염에 대한 침술 연구의 2010년의 체계적인 검토에서는 관절염 통증은 가짜 침술이나 침술 없는 치료에 비해 실제 침술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제시한다. 그러나 실제 침술과 가짜침술 치료에 차이는 거의 없지만, 침술과 침술 없는 치료는 차이가 크다.
-두통
+ 2012년 열린 편두통과 긴장성 두통에 대한 침술 분석에서는 두통의 빈도와 중증도의 개선에 침술 없음 또는 가짜 침술보다 실제 침술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2009년의 체계적인 검토에서는 실제 침술은 가짜 침술 또는 진통제에 비해 긴장성 두통 환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2008년의 체계적인 리뷰에서는 긴장성 두통의 심각도와 한달 동안의 두통 발생 빈도를 비교한 결과 실제 침술이 가짜 침술보다 약간 개선되었음을 시사하고 있었다.
+또한 2009년의 체계적인 검토는 편두통의 기본 치료에 침술을 병용하면 편두통의 발생 빈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실제 침술을 가짜침술 치료와 비교하는 시험에서는 이러한 치료의 차이가 우연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기타 증상에 대해
침술 연구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다음을 참조하시라
가짜 침술이란?
임상 시험에서는 반응이 시험 프로토콜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뭔가dp 의한 것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불활성 약물이나 요법(위약이라 부른다)과 실제 약물 또는 요법을 비교하게 된다. 침술에 관한 많은 시험은 가짜침술이라는 끝이 둥근고 안으로 감기는 침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침은 피부에 접촉되지만 관통하지는 않는다(실제 침술은 침이 피부를 관통한다). 다른 방법으로 가짜 침술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가짜 침술이 어느 정도 통증을 완화 할 수 있음이 인정되고 있다.
침술의 안전성과 부작용의 과학적 근거
침술에 의한 합병증은 거의 보고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살균하지 않은 바늘의 사용이나 부적절한 치료로 인한 합병증이 언급되고 있다.
치료가 부적절한 경우 침술에 의해 감염, 장기 손상, 폐의 손상, 중추신경계 손상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침술의 안전성과 부작용의 과학적 근거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다음을 참조할 수 있다.
NCCIH 의한 연구 조성
NCCIH은 다양한 통증 및 증상에 대한 침술의 효과를 평가하고 몸이 침술에 어떻게 반응하고 침술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더욱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조성하고 있다. NCCIH가 최근 지원하고 있는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침술이 폐경 후 홍조의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가?
침술이 화학요법에 따른 수 있는 통증 및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가?
객관적으로 보아 실제 침술은 가짜 침술 또는 일반 치료에 비해 통증 완화에 효과적인지, 또한 얼마나 효과적인지 등등
또한 고려하여야 할 점들
건강 문제에 대해 의료 기관을 진찰하는 것을 지연하기 위해 침술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침술을 받을 것으로 결정되면 시술 자격을 확인한다. 침술을 실시하는데는 면허, 인증서, 등록증 등이 필요한 주가 많지만, 이 증명서 교부를 위한 교육, 훈련 기준, 요구 사항은 주마다 다르다. 면허는 치료의 질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침술에 관한 지식과 시술법에 대해 일정한 기준에 도달했음을 증명해 준다. 면허 취득에는 전국침구동양의학인증위원회의 수료증이 필요한 주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의료를 담당하는 의사(내과 의사나 치과 의사 등)에는 침술을 하는 의사도 있다. 또한 전국침치료협회(도서관 또는 인터넷 검색에서 검색 가능)가 침술사를 소개하는 경우가 있다.
침구사를 선택할 때, 그들의 교육 및 경험에 대해 확인하라. 치료 횟수 및 매회의 치료비에 대한 물어보라. 의료보험이 적용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자세한 내용은 NCCIH 자료 "Paying for Complementary Health Approaches(보완대체의학의 비용)"를 참조할 수 있다.)
담당 의료진에 당신이하고있는 치료를 모든 이야기해 둔다. 그렇게 함으로써 더 나은 조직적이고 안전한 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건강 관리를 위해 당신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모든 이야기해 두도록 한다.
추가 정보
■ NCCIH 정보 센터
NCCIH 정보 센터는 NCCIH 정보 및 과학 논문 · 의학 논문 연방 데이터베이스 게시 및 검색 등의 보완 통합 요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정보센터에서는 의학적인 조언, 치료의 권장 및 시술자의 소개는 하지 않는다.
미국 내 무료 전화 : 1-888-644-6226
텔레 타이프라이터 (TTY 청각 장애인 및 난청 용) : 1-866-464-3615
웹 사이트 : nccih.nih.gov (영어)
E- mail : info@nccih.nih.gov
■ PubMed®
미국 국립의학도서관(NLM) 서비스인 PubMed®에는 공표 자료의 정보 및 (대부분의 경우) 과학 · 의학 잡지의 논문에 대한 짧은 요약이 게재되어 있다. PubMed의 이용에 관한 NCCIH의 지침은 How To Find Information About Complementary Health Approaches on PubMed를 참조할 수 있다.
웹 사이트 : www.ncbi.nlm.nih.gov/pubmed
■ NIH Clinical Research Trials and You (NIH 임상 연구)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개설한 웹 사이트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임상 시험의 중요성이라든가어떻게 하면 임상시험에 참여할 수 있는지를 알리기 위해 개설되었다. 사이트에는 임상시험에 관한 질문과 답변, 임상시험의 정보를 찾는 방법(ClinicalTrials.gov 등의 정보 검색사이트 및 기타 자료), 임상시험에 참여한 사람들의 체험담 등이 게재되어 있다. 임상시험은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 데 더 나은 방법을 찾기 위해 필요한 시험이다.
웹 사이트 : www.nih.gov/health/clinicaltrials/
■ Research Portfolio online Reporting Tools Expenditures & Results (RePORTER)
RePORTER는 연구 기관에서 정부가 조성하여 현재 실시되고 있는 과학 · 의학연구프로젝트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베이스이다.
웹 사이트 : https://report.nih.gov/
■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미국 식약청)
FDA는 식품, 의약품, 건강 보조 식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의 많은 제품의 안전성을 감독하고 있다.
웹 사이트 : www.fda.gov
주요 참고 문헌
Acupuncture. Natural Standard Database Web site. Accessed at www.naturalstandard.com (영어) on June 28, 2007.
Barnes PM, Powell-Griner E, McFann K, Nahin RL.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Health use among adults : United States, 2002. CDC Advance Data Report # 343 2004.
Berman BM, Lao L, Langenberg P, et al.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as adjunctive therapy in osteoarthritis of the knee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4; 141 (12) : 901-910.
Eisenberg DM, Cohen MH, Hrbek A, et al. Credential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al provider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2; 137 (12) : 965-973.
Ernst E. Acupuncture-a critical analysis.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06; 259 (2) : 125-137.
Kaptchuk, TJ. Acupuncture : theory, efficacy, and practic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2; 136 (5) : 374-383.
Lao L. Safety issues in acupunctur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1996; 2 (1) : 27-31.
MacPherson H, Thomas K. Short-term reactions to acupuncture-a cross-sectional survey of patient reports. Acupuncture in Medicine 2005; 23 (3) : 112-120.
National Cancer Institute. Acupuncture (PDQ) . National Cancer Institute Web site. Accessed at www.cancer.gov/cancertopics/pdq/cam/acupuncture on August 16, 2007.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onsensus Panel. Acupuncture :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Statement .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Web site. Accessed at consensus.nih.gov/1997/1997acupuncture107html.htm on June 22, 2007.
Reston J. Now, about my operation in Peking; Now, let me tell you about my appendectomy in Peking ... New York Times . July 26, 1971 : 1.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FR-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21.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eb site. Accessed at www.accessdata.fda.gov/scripts/ cdrh / cfdocs / cfCFR / CFRSearch.cfm? FR = 880.5580 on August 2, 2011.
감사 드림
NCCIH이 사이트의 정보에서 기술적인 전문 지식 및 리뷰에 대해 다음 분들에게 감사드린다.
Lixing Lao, Ph.D., University of Maryland School of Medicine; Karen Sherman, Ph.D., MPH, Group Health Research Institute, Seattle; Maria E. Suarez-Almazor, MD, Ph.D., The 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 and Kristin Huntley, Ph.D., Partap Khalsa, DC, Ph.D., and John (Jack) Killen, Jr., MD, NCCIH.
이 사이트의 정보는 저작권에 의해 보호되지 않고 공개되어 있다. 복제를 권장하고 있다.
미국 국립보완통합보건센터(NCCIH)는 개인의 참고 자료로 이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 문서는 당신의 일차 보건의료 제공자(주치의 등)의 의학 전문지식과 조언을 대체하지는 않는다. NCCIHsms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의사 결정을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담당 의료진과 상의하는 것을 권고한다. 이 문서에서 설명된 특정 제품, 서비스, 치료 모두 NCCIH가 권장하는 것은 아니다.
(*芝雲 옮김/정리)
'동의학 이야기 > 과학적 침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킨슨병과 운동 그리고 침술.. (0) | 2019.08.22 |
---|---|
침 자극과 신경재생 (0) | 2019.08.19 |
鍼의 통증완화 작용.. (0) | 2019.08.06 |
흉선면역과 침뜸활용 (0) | 2019.07.19 |
장-뇌 질환의 연관성과 마이크로바이옴 (0) | 2019.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