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경락, 경맥의 이해

귀안혈(鬼眼穴)에 대하여

지운이 2025. 3. 21. 12:52

귀안혈(鬼眼穴)에 대하여

 

 기혈로서의 귀안혈(鬼眼穴)

 

침뜸 치료에서 빠뜨릴 수 없는 경혈에 대해 옛날에는 穴이라든가 孔穴이라 했는데, 14경에 속하는 정혈과 14경에 속하지 않는 기혈로 대별된다. 다만 독맥의 양관·중추, 방광경의 고황, 궐음수 등과 같이 나중에 14경에 편입되어 현재는 정혈이 된 기혈도 적지 않다. 기혈(奇穴)이라는 말은 명대의 『奇効良方』권55에서 처음으로 사용된 단어로 경외기혈(経外奇穴)이라고도 했던 것으로, 기혈에는 四花穴・患門穴 등과 같이 이미 혈명, 취혈법, 주치증이 정해져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취혈법이 없는 것도 있다.

 

이들 가운데, 귀안혈(鬼眼穴)이라는 기혈이 있다. 주로 졸증 발작이나 전간 및 간질의 발작 등에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귀안혈은 별명도 다양하고 취혈법이나 주치증이 다른 것도 있는 등 다소 혼랍스럽기도 하다. 이들 논의의 갈래를 정리해 둔다.

 

경혈명과 관련하여이

 

귀안혈은 귀곡혈(鬼哭穴)이라는 별병으로도 불린다. 혈명으로는 귀안혈이 앞선다. 明代 『신응경』 心邪癲狂部에, "鬼眼(四穴, 在手大指, 足大指內側爪甲角, 其艾灶半在爪上, 半在肉上,三壮極妙)"이라는 표현이 처음 보인다. 즉 귀안혈은 손발의 대지 내측 조갑각에 해당하며, 뜸이 조갑과 기육에 반반씩 놓이도록 하여 뜸을 3장 뜨면 효과가 매우 좋다고 했다. 그 후『奇効良方 권 55에서 기혈로 분류되고, 「医学統宗』 『灸大成』 에도 마찬가지였다. 『類経図翼』 10권・奇兪類集에서는 '手鬼眼' '足鬼眼'이라 하여, 손과 발을 구분하였다.

 

그런데 귀안혈은 의학입문 권1·治病奇穴, 『医宗金鑑』 권 86· 灸痨虫穴歌에서는 모두 요안혈(腰眼穴)이라 지칭하였고, 『古今医鑑』 권 12· 産後에서는 슬안혈(膝眼穴)의 속칭이라 하였다. 『灸捷径』巻下・ 病之証의 취혈도에서도 슬안혈이라 했다. 즉 귀안혈이 요안혈이나 슬안혈의 별명으로 여겨지게 된 셈이다. 이렇게 되면 귀안혈의 위치도 완전히 달라지고, 그 원래의 의미와도 멀어지게 된다

 

한편, 귀곡혈(鬼哭穴)은 明代의 『灸聚英』권2・秦承祖鬼法에 처음으로 보이고, 그 후 『의학입문』 권1・ 治病奇穴에도 보인다. 이 취혈법은 『太平聖恵方』 권100의  '秦承祖灸狐魅神邪及瘋狂病…(진의 승조는 여우귀신, 요사한 귀신, 간질 발작 등의 병에 뜸을 떴다'라는 대목에서 인용한 것인다. 그 대목에서 양 손의 엄지에 반은 조갑에 반은 기육에 애주를 올려 뜸을 뜬다고 하며 귀곡혈을 언급하였다. 이를 두고 秦承祖灸鬼邪法이라는 뜸법으로 불려지게 되었다. 『医宗金鑑』 권 86에서는 손에서 취혈한 것을 귀곡혈이라 하고(灸鬼哭穴歌) , 발에서 취혈하는 것을 귀안혈이라 한다(灸暴絶穴歌). 앞의『類経図翼』에 구별했던 '手鬼眼'은 귀곡혈로, 또 '足鬼眼'은 귀안혈로 구분한 것이다.

 

또 혈명이 아니라,  南宋의 『資生経』에 처음 나왔던 秦承祖灸鬼邪法이라는 뜸법명이 『普済方』 권417, 『医学正伝』권5, 『万病回春 권4, 医学新知』 권8에도 보인다. 이는 물론 『태평성혜방』권100에서 인용한 것이다.

 

취혈은..

 

귀안혈은 阿是要穴』 卷4에 보이는 '환자의 양손을 합하여 부드러운 면줄을 사용하여 양 엄지손가락을 묶어 양쪽 조갑 사이의 기육에 절반씩 놓이도록 하여 뜸을 뜬다,·· 발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뜸을 뜬다'라고 한 것처럼 수족의 4곳을 취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취혈법은 옛날 『千金方』 권14・ 風 제5에 '卒中邪魅恍惚振嘴에는 양 수족 대지 조갑에 뜸쑥환을 반은 조갑에 반은 기육 위에…'라고 한 것이 그 원류이다.

 

또한, 鬼哭穴이나 秦承祖灸鬼邪法의 취혈은 손에서만 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대, 이것도 『千金方』 권14巻・風癲 권5의 '狐 魅에는 엄지를 합하여 묶어서 그 사이에 뜸을 뜬다'라고 한 것이 원류이다.

 

*귀안혈은 여러 논의가 있지만, 통상은 수족 대지의 조갑부 2개씩 4혈을 가리킨다. 수귀안을 귀곡혈이라도 하고 족귀안을 귀안혈이라고도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혈의 혈명, 취혈법, 주치증이 정해지는 동안에 다양한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리하자면..

① 귀안혈은 여러 논의가 있지만, 수족 대지 조갑부 내측에 2개씩 4개의 혈자리를 가리킨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이를 통상 '귀안 4혈'이라 한다. 또한 손에 있는 것은 수귀안, 발에 있는 것은 족귀안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② 귀안혈은 귀곡혈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또 수귀안혈을 귀곡혈로, 족귀안혈을을 귀안혈로 구분하기도 하였다.

③ 한편 요안혈이나 슬안혈을 귀안혈이라 칭한 예도 볼 수 있으나, 귀안혈의 주치증이 졸증 발작 등의 정신적 질환이라는 원래의 의미와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하지만 그럼에도 요안혈 맟 슬안혈의 별명으로 부르는 경우도 종종 있으므로 알아둘 필요는 있을 것이다. 

 

 

 

 

 

*참조

-鬼眼是什么意思(https://m.ximalaya.com/ask/q12978348)

-针灸医案丨古代医家对秦承祖灸鬼法的运用(https://zhuanlan.zhihu.com/p/434038057)

- 鬼眼穴の考察(上田善信) 등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