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 787

고관절 교정 운동 : 礒谷역학요법 2

礒谷式屈伸体操 : 고관절 교정 운동 앞서 礒谷역학요법에 대해 그 주된 개요를 정리한 바 있다.('다리묶기' 교정 요법 : 礒谷力学疗法 1)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관절 불균형 상태에 있으며, 그로 인해 요통을 비롯하여 무릎 통증, 어깨 통증 그리고 나아가 내장기의 각종 질환이 유발된다는 관점에서, 고관절 바로 잡아주는 것이 이들 질환을 치료하는 첩경이 된다는 것이 이 요법의 핵심이다. 치료를 위한 핵심 요법은 잠 잘 때 다리를 묶어 주어 고관절의 균형을 바로 잡아주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다리를 묶고 수면을 취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은 방법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고관절의 균형을 잡아주기 위한 기타 요법 가운데, 벽을 마주 하고 고관절과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해주는 운동법도 간략히 소개한 바 있다. 관절을 바..

병인병기론 개설

병인병기론 개설 中医病因病机学(赵存娥 李明奎 编著)의 서론부 http://www.ecsponline.com/yz/BD5B2D4F58AF14A0E8A8F6252598A8D39000.pdf *동의학의 병인병기학은 동의학 이론에서 인체 질환을 일으키는 병인 및 질병의 발생, 발전 및 변화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논술하는 체계적 이론이다. 전통 동의학 이론체계에서 분화된 신학문으로 음양오행학설 등의 철학이론의 지도 하에, 장상경락이론을 기초로 임상실천의 관찰을 근거로 질병의 발생, 발전 및 그 변화의 메커니즘과 법칙을 연구하며, 이러한 변화와 임상실천의 관계를 논술한다. 따라서 병인병기학은 동의학 이론체계의 중요한 구성부분이며 임상변증논치를 지도하는 근거이며, 그것은 한의학 이론의 기본 특색을 반영하고 있다. 병인..

병인병기론 이해를 위한 고전 속 언설

병인병기론 이해를 위한 고전 속 언설 오랜된 옛 문헌에서는 우선 질병 이름들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역시 가장 오랜 기록이라 할 수 있는 갑골문에서 질병 이름이 등장한다고 한다. 예컨대 疾首、 疾目、 疾耳、 疾腹、 疾子、 疾盲 등 20여 가지 질병의 이름이 기록돼 있다. 어떤 질환은 병증의 특징에 따라 疟、 疥、 蛊、 龋 등과 같은 표현도 있다. ‘질년’(疾年)이라고 하여 질병이 많았던 해를 말하기도 했다. 서주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山海经》 등의 고전에 오면, 瘕疾、 瘿、 痔、疽、 疥、 痹、 风、 疟、 狂、 疫 등의 질병명과 嗌、 呕、 聋、 痛(인후, 구토, 귀머거리,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갑골문에서보다 한층 세분화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어 주목할 대목들은 자연, 계절, 기후 등 자연조건..

'다리묶기' 교정 요법 : 礒谷力学疗法 1

'다리묶기' 교정 요법(礒谷力学疗法) *잠 잘 때 다리를 묶어주어 틀어진 고관절을 교정해 주면 .. 놀랍게도 많은 병증을 치료할 수 있다고 한다. 일본의 礒谷公良 선생에 의해 창안된 요법으로, 통상 기계적 요법(역학적 요법)에 해당하는 것이다. 어떤 식으로 하는 것인지, 어떻게 효과가 있는지, 또 그 효과 기전은 무엇일까 등등.. 정리해 두려 한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균형중추를 가지고 움직이는 인간은 고관절의 이상과 좌우 다리 각도의 불균형만 교정하면 골반을 정상으로 복원하고 척추의 정상적인 생리적 만곡을 유지할 수 있다” -礒谷 *왼쪽은 礒谷公良의 대표 저작의 하나인 , 다리묶기(绑带) 요법에 대하여 은 일본의 礒谷公良(いそがい きみよし) 선생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

'一针一得'의 침구 비법(秘法)

贺普仁의 针灸秘法 贺普仁 国医大师、原北京中医医院针灸科主任 (https://www.hxzylt.com/threads/418922/) * 贺普仁의 주요 양력 1926年-2015年 河北省 涞水懸 출신, 저명한 针灸学家. “贺氏针灸三通法”을 창안, 国家级 非物质文化遗产 傳统医药项目의 대표적인 전승인. 1956年부터 北京中医医院에서 针灸科 主任으로 30年 근무. 2009年 “国医大師”로 선임 그외 第一、二届 北京针灸学会会長、中国针灸学会副会長、国际针灸医师水平考核委员会会员、国际中医中药研究学院名誉院長 등을 역임 “50年의 침술 임상을 거치며 심혈을 기울여 얻은 일생의 결정입니다. "一针一得"이라 함은 하나의 혈위로 하나의 질병을 치료함을 말합니다." “一针一得针灸臨証秘法"(이하 일 함)이라 이름한 그의 책은 놀랍게도 ..

고의서 <十一脉灸经>의 뜸자리

및 의 병증과 뜸자리 정리표 十一脉​ 주요 병증 뜸자리 관련 문헌 足泰阳脉​ 病足小趾废,腨痛,郄挛,脽痛,产痔,腰痛,挟脊痛,痛,项痛,首痛,颜寒,产聋,目痛,鼽衄,数癫疾​ 승근下(곤륜혈에 상당) 足太阳之本,在跟以上五寸中(《黄帝内经太素卷第十经脉之三》,이하 같음)(혹은 三寸)​ 足少阳脉​ 病足小趾次趾废,胻外廉痛,胻寒,膝外廉痛,股外廉痛,髀外廉痛,胁痛,头颈痛,产马,缺盆痛,瘘,聋,枕痛,耳前痛,目外眦痛,胁外肿,​ 족임읍혈에 상당 足少阳之本,在窍阴之间。​ 足阳明脉​ 病足中趾废,胻痛,膝中肿,腹肿,乳内廉痛,外肿,頯痛,鼽衄,数癫,热汗出,(左月右坒)搔,颜寒。​ 족대지간 위의 부양맥에 상당(충약맥) 足阳明之本,在厉兑(之间)。(《千金要方》注:足趺上大指间三寸骨解中。)​ 足少阴脉​ 病足热,腨内痛,股内痛,腹街、脊内廉痛,肝痛,心痛,烦心,洇..

황제내경 이전의 침뜸 고전 : <十一脉灸经> 2책

황제내경 이전의 침뜸 고전 : 2책 1973년 중국 마황퇴 묘소에서 여러 권의 의서가 출토되었는데, 이 가운데 경맥을 언급한 두권의 책이 주목받았다. 쓰여진 시기가 황제내경의 저작 연대보다 200년 정도 앞서는 데다, 특히 경맥에 대해 가장 오래된 기록이었기 때문이다. 과 의 2책이 그것이다. 통상 이 둘을 묶어 (이하 라 함)이라 한다. 이 두 권의 책에 경맥이 최초로 언급되는데, 황제내경의 12경맥과는 달리 11개의 경맥만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 언급된 11맥은 대체로 의 초기 형태 또는 경맥의 원시 형태로 보지만, 그 이름, 분포 및 방향은 고유한 특성을 가진다. 양자 간의 차이점을 탐구하는 것은 경락이론의 형성 및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이들 두 책의 주요 ..

경락과 침구 : 어제와 오늘

경락과 침구 : 어제와 오늘 经络与针灸的前世今生 浪濯风尘(中医学研究生)/ 知乎(2019 07 15) https://zhuanlan.zhihu.com/p/70419263 머리말 많은 사람들이 항상 경락이란 신비하고 애매모호하다고 느낄 뿐 아니라, 경락의 해부학적 구조는 현대 의학과 현대 과학기술에 의거하여 확인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경락은 가상의 미지의 것으로 남겨져 있다. 이 기사는 경락과 침술의 과거와 현재를 여러 각도에서 논의하여 그 신비한 베일을 탐구하고자 한다. 1. 경락의 개념과 기원 경락은 경맥과 낙맥을 합해서 지칭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신의 모든 맥으로 구성된 계통을 말한다. 경맥은 큰 맥이고 낙맥은 작은 맥이다. 그래서 문제는 곧 맥이란 무엇일까 하는 것이다. 에서 脉은 “派와 같고”, ..

"맥", "경맥" 및 "경락" 개념의 진화

"맥", "경맥" 및 "경락" 개념의 진화 “脉”、“经脉”与“经络”概念的演变 — "경맥의학"과 "경락 연구"의 논쟁과 더불어 □ 刘澄中/ 大连医科大学(2009 03 19) (http://zgmjzyy.com/2009/03/19/27030.html) 中国民间中医医药研究开发协会 天津中医药大学 实验针灸学研究中心 의 郭义 및 王广军의 “经络研究告诉了我们什么”(경락 연구가 우리에게 말하는 것)에 대한 기사가 발표된 이후, 陈业兴 의사가 "몇 가지 개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2009년 2월 25일자 본판 기사). 그는, “곽의 등이 경맥의 개념을 경락으로 대체하고, 경맥의 현상을 경락의 현상으로 착각하고, 경맥의 순행선을 경혈의 연결선으로 잘못 이해하고, 경맥 이론의 연구를 경락구조의 연구로 잘못 ..

현대침구와 경락연구

현대 침술 및 경락 연구 2007-01-12 중국침구학회 정리자료 (http://ecam.org.cn/Zjky/common/id/32.html) 1. 침뜸 연구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침뜸의 발전은 크게 네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 단계는 1950년대로 침구 기초직식의 보급 확대, 침구 학습반의 구성, 침구 책자 및 침구의 일반적인 임상 등의 등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두 번째 단계는 1960년대로 침구 임상 및 침마취 임상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침구치료의 원리와 침마취의 원리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가 진행된 시기이다. 세 번째 단계는 1970년대로 임상 침술 마취와 침의 진통 기전에 대한 광범위하고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된 시기이다. 네 번째 단계는 1980년대로 침구 임상 및 그 기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