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 787

경락의 생리학적 특성

경락의 생리학적 기초 및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의 전개 经络的生理学基础和物理特性相关研究进展 中医学 Vol. 11 No. 4 (July 2022) 左杨洁:陕西中医药大学医学技术学院,陕西 咸阳;史宇兵:陕西中医药大学整合医学研究院,陕西 咸阳 (https://doi.org/10.12677/TCM.2022.114091) *경락이론은 동의학 이론의 핵심 부분으로, 그 실체를 비롯 작용기전의 과학적 해명 등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온 분야입니다. 이 글은 특히 경락의 생리학적 기초 및 그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그 전개 상황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경락의 생리학적 기초와 관련해서는, 경락의 구체적인 해부학적 연구, 근막이론, 신경조직이론, 간질액전달이론, 경락을 따른 감각 전도에 관한 연구 등..

경락이론의 기원

경락이론의 기원에 대한 연구의 전개 经络学说起源的研究进展 崔清馨, 张立东*:内蒙古医科大学,内蒙古 呼和浩特 中医学, Vol. 11 No. 4 (July 2022) (https://www.hanspub.org/journal/PaperInformation.aspx?paperID=54167&btwaf=92802787) *본 글은 중국 동의학계에서 이루어져 온 경락이론의 기원에 대해 이루어져 온 연구들을 정리해 주고 있습니다. 몇가지 그 기원에 대한 사고의 실마리들을 제시해 주고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요약 : 경락이론과 음양이론, 오행이론, 장상학설, 기혈진액 이론 등은 중의학 기본 이론의 중요한 부분으로, 수천 년 동안 중의학 문화 이론의 발전과 그 임상의 변증논치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해 왔다. 이 ..

체간부 주요 경혈의 인체단면 해부

체간부 주요 경혈의 인체단면 해부  *이하의 자료는 시간이 많이 경과된 자료이지만, 경혈의 해부구조를 실제 인체(사체이지만)를 대상으로 측정된 자료라는 점에서 침구술의 임상 및 연구에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어 정리해 둡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오늘날은 CT영상으로 보다 생생하게 해부 단면을 볼 수 있지만, 경혈을 본다는 관점에서 촬영된 자료는 아직 나와 있지 않으므로 여전히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있을 것입니다. 아울러 인체의 실제 구조는 생체일 경우 사체와 다를 수도 있고 남여, 연령, 신장이나 체중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이 점도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입니다.

경락의 실체?

(2010년) 경락의 존재 및 그 실체에 관련된 문헌적 연구 2010年相关经络存在及经络实质文献的研究 舒珊(江西中医学院 南昌 330006) 江 西 中 医 学 院 学 报 2012年 2月 第24卷 第1期 요약 목적: 침술요법은 세계 160여 개국에서 임상에 사용되고 있다. 경락에 대한 현대적 연구는 50년 이상 진행되어 왔으며, 여기서는 경락의 존재 여부와 그 실제를 둘러싸고 전개된 연구를 수집 정리하여, 향후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江西中医学院의 도서관, VIP 데이터베이스, CNKI 데이터베이스 등에서 경락의 실체(实质)와 관련된 문서를 검색하였다. 결과: 경락의 실체에 대한 인식과 연구방법은 다르지만 모두 경락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었다. 약 20가지의 학설 또는 가설이 제시되었는데, 어느..

신경을 노린 자침법과 그 의미

신경을 노린 자침법(일본의 傍神経刺를 중심으로) 신경을 자극하여 치료를 도모하는 신경자극 침구요법은, 특히 일본에서 오랜 역사를 갖는다. 가장 오래된 인물로는 19세기 말~20세기 초에 활동했던 의사 출신의 침구인인 大久保適斎를 들 수 있다. 외과의사였던 그는 신경증에 대한 침치료를 경험한 후 현대의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침술을 연구하고 임상을 거쳐, 1892년 『鍼治新書』(治療篇・手術篇)라는 책을 내놓았다. 여기에서 그는 2寸이나 3寸의 침(5番鍼)을 사용하여 신경을 표적으로 자침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물론 전통적인 경락이론과는 달리 신경을 표적으로 하였지만, 일부 자침점은 유사하였다. ‘側頚部에서 頚動脈部에 자침하여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기관지질환을 치료’하거나, ‘위경련이나 소화기계의 질환에 대해서는..

비염의 침구 : '익구개신경절 침술'

비염의 침구 : '익구개신경절 침술' 비염은 현대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다. 주로 코막힘, 코가려움증, 콧물, 재채기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에는 후각 저하를 수반하기도 한다. 이 질병은 물론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치료가 쉽지 않아 삶의 질에 적지 않게 영향을 미친다. 임상적으로 다양하게 분류되는데,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① 급성비염 :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흔히 ‘감기’에 수반된다. ② 알레르기성 비염 : 특정 자극 요인, 코가려움, 발작성 재채기, 다량의 콧물, 간헐적인 코막힘, 눈물, 약간의 저산소증 등. ③ 혈관성 신경병성 비염 : 알레르기성 비염과 유사하나 명확한 알레르겐이 없고 감정, 환경, 내분비 장애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④ ..

일본 침구의 역사

日本における鍼灸の歴史 -室町から江戸期にかけての受容と発展について - 順天堂大学医学部大学院医学研究科医史学研究室 東邦大学医療センター 大森病院 東洋医学科 筑波技術大学保健科学部保健学科 吉 田 和 裕 要 旨 鍼灸を正しく理解するためには、起源と発展経過を知識として理解しておくことは最低限必要である。鍼灸の起源は、周知の通り中国大陸であることは言及するまでもないが、紀元 3 世紀以降に大陸より導入されてから、現代に至るまで日本人の健康を支え続けいる日本の伝統医学(=東洋医学)となっている。医学文化である鍼灸を歴史的観点から捉えて見てみると、尐なくとも 3 世紀以降、朝鮮半島を介して中国から伝わり、 7 世紀には大陸と直接交流が行われようになり、中国との医学文化的交流により日本に移入されるようになった。その後、唐の医事制度が施行され、医事行政と医学教育が日本でも行われた。 更に..

일본 침뜸의학의 역사

일본 침뜸의학의 역사 일본에서 침뜸의학을 거론함에 있어 중국이나 한반도로부터 수입된 것이라는 언급이 자주 거론된다. 그 가운데 하나로 欽明천황 때(539~571년) 조선 고려에서 呉知聡이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일본에 와서 전파하고자 침뜸 경혈이 적혀 있는 「明堂圖」, 「儒釈方書」 164권을 전하면서 시작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柳谷素霊). 나라(奈良)왕조(710~794년) 이전 불교 문화가 일본에 도래할 무렵이었다. 더불어 중국 전통의학의 유입도 분명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하지만 일본인의 관점에서 보자면, 어느 지역에서나 그렇듯이 민간에서 전개되던 전통의 의술·의료도 존재했을 것이라는 점도 자명하다. 다만 그러한 민간 의료는 문자를 가지지 않았던 조건에서는 기록으로 남겨지지 못했을 것이다. 따라서 굳..

현대 중국침구학 형성에서 일본의 영향

現代中医鍼灸学の形成に与えた日本の貢献 真柳 誠 茨城大学人文学部(大学院人文科学研究科) (第55回全日本鍼灸学会学術大会(金沢、2006, 6, 18)特別講演③) The contribution of Japan for the formation of Chinese acupuncture moxibustion studies to the present (*https://square.umin.ac.jp/mayanagi/paper01/MoChiAcu.html) MAYANAGI Makoto The College of Humanities, Ibaraki University 要旨:日本は中国で失われた多くの佚存古医籍や善本を保存し、現代に伝えている。それらに基づき江戸末期まで高度な古典研究がなされ、明治以降は近代医学を導入して鍼灸の研究と教育方法が体..